여성 사회 진출 확대…‘유리 천장’ 여전
입력 2018.06.03 (21:29)
수정 2018.06.04 (08: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국내 대기업 직원 네명 가운데 한명은 여성이고, 이 비율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이런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활발하구나 싶지만 사실 OECD 평균에도 못미치는 수준입니다.
여성인력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한걸까요?
윤지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안녕하세요, 선생님"]
직장인 전은진 씨가 쌍둥이 아이를 데리러 직장 어린이집에 들렀습니다.
집 근처 어린이집에 보낼 땐 서둘러 퇴근해도 늦기 일쑤였지만 이제는 다릅니다.
[전은진/효성 ITX 대리 : "예전 같은 경우에는 가장 늦게 데리러 가다 보니까 어린이집에 찾으러 가면 아이도 지쳐서 울고, (이제는) 7시 반에 찾던 아이를 6시 정도에 하원을 하게 되니까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이 더 길어지고…"]
여직원이 전체의 80%가 넘는 이 업체는 한해 300명 가량의 직원들이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당당히 쓰고 있습니다.
패션, 화장품 전문 기업인 이 업체 역시 직원 4명 가운데 3명이 여성입니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한 달 동안 휴직할 수 있고, 하루 7시간 근무제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김묘순/신세계 인터내셔널 상무 : "저희가 시행하고 있는 '9 to 5' 근무제가 여성들에게 굉장히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덕에 이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은 23%를 넘어섰습니다.
하지만 국내 30대 그룹을 보면 여성 임원은 평균 3% 선, 이른바 '유리 천장'은 여전합니다.
바뀌고 있다고는 하지만, 우리 사회 남성중심적 분위기는 이 '유리천장'을 뚫는데 여전히 큰 걸림돌입니다.
[김묘순/신세계 인터내셔널 상무 :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상당부분 인맥이라고 할까요, 네트워크가 도움이 되면서 작용을 하는데 그 부분이 남성 중심의 네트워크로, 이미 남성들은 단련이 돼 있고…"]
남녀간 임금 격차 해소도 제대로 된 여성 인력 활용을 위해 풀어야할 과젭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요즘 국내 대기업 직원 네명 가운데 한명은 여성이고, 이 비율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이런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활발하구나 싶지만 사실 OECD 평균에도 못미치는 수준입니다.
여성인력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한걸까요?
윤지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안녕하세요, 선생님"]
직장인 전은진 씨가 쌍둥이 아이를 데리러 직장 어린이집에 들렀습니다.
집 근처 어린이집에 보낼 땐 서둘러 퇴근해도 늦기 일쑤였지만 이제는 다릅니다.
[전은진/효성 ITX 대리 : "예전 같은 경우에는 가장 늦게 데리러 가다 보니까 어린이집에 찾으러 가면 아이도 지쳐서 울고, (이제는) 7시 반에 찾던 아이를 6시 정도에 하원을 하게 되니까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이 더 길어지고…"]
여직원이 전체의 80%가 넘는 이 업체는 한해 300명 가량의 직원들이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당당히 쓰고 있습니다.
패션, 화장품 전문 기업인 이 업체 역시 직원 4명 가운데 3명이 여성입니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한 달 동안 휴직할 수 있고, 하루 7시간 근무제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김묘순/신세계 인터내셔널 상무 : "저희가 시행하고 있는 '9 to 5' 근무제가 여성들에게 굉장히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덕에 이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은 23%를 넘어섰습니다.
하지만 국내 30대 그룹을 보면 여성 임원은 평균 3% 선, 이른바 '유리 천장'은 여전합니다.
바뀌고 있다고는 하지만, 우리 사회 남성중심적 분위기는 이 '유리천장'을 뚫는데 여전히 큰 걸림돌입니다.
[김묘순/신세계 인터내셔널 상무 :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상당부분 인맥이라고 할까요, 네트워크가 도움이 되면서 작용을 하는데 그 부분이 남성 중심의 네트워크로, 이미 남성들은 단련이 돼 있고…"]
남녀간 임금 격차 해소도 제대로 된 여성 인력 활용을 위해 풀어야할 과젭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성 사회 진출 확대…‘유리 천장’ 여전
-
- 입력 2018-06-03 21:31:00
- 수정2018-06-04 08:31:44

[앵커]
요즘 국내 대기업 직원 네명 가운데 한명은 여성이고, 이 비율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이런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활발하구나 싶지만 사실 OECD 평균에도 못미치는 수준입니다.
여성인력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한걸까요?
윤지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안녕하세요, 선생님"]
직장인 전은진 씨가 쌍둥이 아이를 데리러 직장 어린이집에 들렀습니다.
집 근처 어린이집에 보낼 땐 서둘러 퇴근해도 늦기 일쑤였지만 이제는 다릅니다.
[전은진/효성 ITX 대리 : "예전 같은 경우에는 가장 늦게 데리러 가다 보니까 어린이집에 찾으러 가면 아이도 지쳐서 울고, (이제는) 7시 반에 찾던 아이를 6시 정도에 하원을 하게 되니까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이 더 길어지고…"]
여직원이 전체의 80%가 넘는 이 업체는 한해 300명 가량의 직원들이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당당히 쓰고 있습니다.
패션, 화장품 전문 기업인 이 업체 역시 직원 4명 가운데 3명이 여성입니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한 달 동안 휴직할 수 있고, 하루 7시간 근무제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김묘순/신세계 인터내셔널 상무 : "저희가 시행하고 있는 '9 to 5' 근무제가 여성들에게 굉장히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덕에 이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은 23%를 넘어섰습니다.
하지만 국내 30대 그룹을 보면 여성 임원은 평균 3% 선, 이른바 '유리 천장'은 여전합니다.
바뀌고 있다고는 하지만, 우리 사회 남성중심적 분위기는 이 '유리천장'을 뚫는데 여전히 큰 걸림돌입니다.
[김묘순/신세계 인터내셔널 상무 :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상당부분 인맥이라고 할까요, 네트워크가 도움이 되면서 작용을 하는데 그 부분이 남성 중심의 네트워크로, 이미 남성들은 단련이 돼 있고…"]
남녀간 임금 격차 해소도 제대로 된 여성 인력 활용을 위해 풀어야할 과젭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요즘 국내 대기업 직원 네명 가운데 한명은 여성이고, 이 비율은 계속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이런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활발하구나 싶지만 사실 OECD 평균에도 못미치는 수준입니다.
여성인력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한걸까요?
윤지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안녕하세요, 선생님"]
직장인 전은진 씨가 쌍둥이 아이를 데리러 직장 어린이집에 들렀습니다.
집 근처 어린이집에 보낼 땐 서둘러 퇴근해도 늦기 일쑤였지만 이제는 다릅니다.
[전은진/효성 ITX 대리 : "예전 같은 경우에는 가장 늦게 데리러 가다 보니까 어린이집에 찾으러 가면 아이도 지쳐서 울고, (이제는) 7시 반에 찾던 아이를 6시 정도에 하원을 하게 되니까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이 더 길어지고…"]
여직원이 전체의 80%가 넘는 이 업체는 한해 300명 가량의 직원들이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당당히 쓰고 있습니다.
패션, 화장품 전문 기업인 이 업체 역시 직원 4명 가운데 3명이 여성입니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한 달 동안 휴직할 수 있고, 하루 7시간 근무제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김묘순/신세계 인터내셔널 상무 : "저희가 시행하고 있는 '9 to 5' 근무제가 여성들에게 굉장히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덕에 이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은 23%를 넘어섰습니다.
하지만 국내 30대 그룹을 보면 여성 임원은 평균 3% 선, 이른바 '유리 천장'은 여전합니다.
바뀌고 있다고는 하지만, 우리 사회 남성중심적 분위기는 이 '유리천장'을 뚫는데 여전히 큰 걸림돌입니다.
[김묘순/신세계 인터내셔널 상무 :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상당부분 인맥이라고 할까요, 네트워크가 도움이 되면서 작용을 하는데 그 부분이 남성 중심의 네트워크로, 이미 남성들은 단련이 돼 있고…"]
남녀간 임금 격차 해소도 제대로 된 여성 인력 활용을 위해 풀어야할 과젭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
-
윤지연 기자 aeon@kbs.co.kr
윤지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