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4분의 3, 북미정상회담 지지”
입력 2018.06.08 (00:41)
수정 2018.06.08 (02: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인 4명 중 거의 3명꼴로 '세기의 담판'이 될 6·12 북미정상회담을 지지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7일(현지시간) 미 퀴니피액대학이 미 전역의 유권자 1천223명을 상대로 조사(5월 31일∼6월 5일)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2%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회담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이는 회담이 성사된 직후인 지난 4월 같은 조사 때 지지율(66%)보다 6%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회담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21%에 그쳤다.
응답자 52%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취하고 있는 정책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또 49%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협상을 잘 다룰 수 있을 것으로 신뢰한다는 응답을 내놨다.
한 번의 전격적인 무산 발표 이후 극적으로 다시 성사된 이번 회담에 관해 미국 내 지지 여론이 전반적으로 더 강화된 양상을 띠고 있다.
두 달 전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문제를 다루는 것을 신뢰한다는 응답률이 40%대 초반에 그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무산 카드를 들이밀며 벼랑 끝 전술을 펼친 것이 대북 협상에 대한 신뢰도를 더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실현될 가능성에 대한 미국 내 여론의 기대감은 그리 높지 않았다.
응답자의 불과 20% 만이 '북한이 핵무기를 완전히 포기할 것'이라고 답했다.
7일(현지시간) 미 퀴니피액대학이 미 전역의 유권자 1천223명을 상대로 조사(5월 31일∼6월 5일)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2%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회담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이는 회담이 성사된 직후인 지난 4월 같은 조사 때 지지율(66%)보다 6%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회담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21%에 그쳤다.
응답자 52%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취하고 있는 정책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또 49%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협상을 잘 다룰 수 있을 것으로 신뢰한다는 응답을 내놨다.
한 번의 전격적인 무산 발표 이후 극적으로 다시 성사된 이번 회담에 관해 미국 내 지지 여론이 전반적으로 더 강화된 양상을 띠고 있다.
두 달 전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문제를 다루는 것을 신뢰한다는 응답률이 40%대 초반에 그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무산 카드를 들이밀며 벼랑 끝 전술을 펼친 것이 대북 협상에 대한 신뢰도를 더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실현될 가능성에 대한 미국 내 여론의 기대감은 그리 높지 않았다.
응답자의 불과 20% 만이 '북한이 핵무기를 완전히 포기할 것'이라고 답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인 4분의 3, 북미정상회담 지지”
-
- 입력 2018-06-08 00:41:54
- 수정2018-06-08 02:43:24
미국인 4명 중 거의 3명꼴로 '세기의 담판'이 될 6·12 북미정상회담을 지지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7일(현지시간) 미 퀴니피액대학이 미 전역의 유권자 1천223명을 상대로 조사(5월 31일∼6월 5일)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2%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회담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이는 회담이 성사된 직후인 지난 4월 같은 조사 때 지지율(66%)보다 6%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회담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21%에 그쳤다.
응답자 52%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취하고 있는 정책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또 49%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협상을 잘 다룰 수 있을 것으로 신뢰한다는 응답을 내놨다.
한 번의 전격적인 무산 발표 이후 극적으로 다시 성사된 이번 회담에 관해 미국 내 지지 여론이 전반적으로 더 강화된 양상을 띠고 있다.
두 달 전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문제를 다루는 것을 신뢰한다는 응답률이 40%대 초반에 그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무산 카드를 들이밀며 벼랑 끝 전술을 펼친 것이 대북 협상에 대한 신뢰도를 더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실현될 가능성에 대한 미국 내 여론의 기대감은 그리 높지 않았다.
응답자의 불과 20% 만이 '북한이 핵무기를 완전히 포기할 것'이라고 답했다.
7일(현지시간) 미 퀴니피액대학이 미 전역의 유권자 1천223명을 상대로 조사(5월 31일∼6월 5일)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2%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회담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이는 회담이 성사된 직후인 지난 4월 같은 조사 때 지지율(66%)보다 6%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회담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21%에 그쳤다.
응답자 52%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취하고 있는 정책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또 49%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협상을 잘 다룰 수 있을 것으로 신뢰한다는 응답을 내놨다.
한 번의 전격적인 무산 발표 이후 극적으로 다시 성사된 이번 회담에 관해 미국 내 지지 여론이 전반적으로 더 강화된 양상을 띠고 있다.
두 달 전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문제를 다루는 것을 신뢰한다는 응답률이 40%대 초반에 그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무산 카드를 들이밀며 벼랑 끝 전술을 펼친 것이 대북 협상에 대한 신뢰도를 더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실현될 가능성에 대한 미국 내 여론의 기대감은 그리 높지 않았다.
응답자의 불과 20% 만이 '북한이 핵무기를 완전히 포기할 것'이라고 답했다.
-
-
최성원 기자 swchoi@kbs.co.kr
최성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6·12 북미 정상회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