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최근 우리 경제 회복 흐름 지속”
입력 2018.06.08 (10:00)
수정 2018.06.08 (10: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경제는 전반적으로 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진단이 나왔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오늘(8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에서 "설비투자‧소비는 일부 줄었지만 광공업 생산과 건설투자가 증가로 전환되면서 전반적으로 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DI에 따르면 올해 4월 중 고용은 서비스업 고용이 개선됐지만, 지난해 기저효과와 제조업 고용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에 비해 12만3천 명 증가했습니다. 청년실업률의 경우 지난해 4월 11.2%에서 올해 4월엔 10.7%를 기록하며 소폭 떨어졌습니다.
5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세에도 축산물 가격과 공공요금 안정 등으로 인해 지난해에 비해 1.5% 상승했습니다.
4월 산업생산은 전달에 비해 1.5% 증가했습니다. 이 중 광공업 생산이 반도체(0.9%)와 자동차(1.5%)를 중심으로 3.4% 늘었습니다. 하지만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보험(2.2%)과 운수창고(3.4%) 등이 증가했지만 도소매업 등이 감소하며 보합이었습니다.
4월 설비투자는 기계류 투자는 늘었지만 운송장비가 줄며 전달에 비해 3.3% 감소했습니다. 건설투자는 토목은 감소했지만 건축 공사실적이 늘면서 4.4% 증가했습니다.
5월 수출은 반도체, 석유제품, 컴퓨터 등의 수출호조가 이어지며 사상 최초로 3개월 연속 500억 달러를 넘었습니다.
5월 국내 금융시장은 주가는 남북정상회담 개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이태리 정치불안 등으로 하락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 인플레 기대 등으로 상승했고, 국고채 금리는 하락했습니다.
5월 주택시장은 지방을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전달에 비해 0.03% 하락했고, 전세가격은 서울 강남 등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확대되며 0.28% 떨어졌습니다.
미래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와 선행지수는 4월 중 각각 0.1p, 0.4p 떨어졌습니다.
KDI는 세계경제에 대해서는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와 투자심리 회복 등에 힘입어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우리 경제의 고용 상황이 미흡한 가운데 금리인상 등 대내외 위험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면서 정부가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경기 회복세가 일자리와 민생 개선을 통해 체감될 수 있도록 추경을 신속히 집행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또 청년 일자리대책 등 정책 노력을 가속화해야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오늘(8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에서 "설비투자‧소비는 일부 줄었지만 광공업 생산과 건설투자가 증가로 전환되면서 전반적으로 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DI에 따르면 올해 4월 중 고용은 서비스업 고용이 개선됐지만, 지난해 기저효과와 제조업 고용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에 비해 12만3천 명 증가했습니다. 청년실업률의 경우 지난해 4월 11.2%에서 올해 4월엔 10.7%를 기록하며 소폭 떨어졌습니다.
5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세에도 축산물 가격과 공공요금 안정 등으로 인해 지난해에 비해 1.5% 상승했습니다.
4월 산업생산은 전달에 비해 1.5% 증가했습니다. 이 중 광공업 생산이 반도체(0.9%)와 자동차(1.5%)를 중심으로 3.4% 늘었습니다. 하지만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보험(2.2%)과 운수창고(3.4%) 등이 증가했지만 도소매업 등이 감소하며 보합이었습니다.
4월 설비투자는 기계류 투자는 늘었지만 운송장비가 줄며 전달에 비해 3.3% 감소했습니다. 건설투자는 토목은 감소했지만 건축 공사실적이 늘면서 4.4% 증가했습니다.
5월 수출은 반도체, 석유제품, 컴퓨터 등의 수출호조가 이어지며 사상 최초로 3개월 연속 500억 달러를 넘었습니다.
5월 국내 금융시장은 주가는 남북정상회담 개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이태리 정치불안 등으로 하락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 인플레 기대 등으로 상승했고, 국고채 금리는 하락했습니다.
5월 주택시장은 지방을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전달에 비해 0.03% 하락했고, 전세가격은 서울 강남 등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확대되며 0.28% 떨어졌습니다.
미래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와 선행지수는 4월 중 각각 0.1p, 0.4p 떨어졌습니다.
KDI는 세계경제에 대해서는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와 투자심리 회복 등에 힘입어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우리 경제의 고용 상황이 미흡한 가운데 금리인상 등 대내외 위험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면서 정부가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경기 회복세가 일자리와 민생 개선을 통해 체감될 수 있도록 추경을 신속히 집행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또 청년 일자리대책 등 정책 노력을 가속화해야한다고 덧붙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KDI “최근 우리 경제 회복 흐름 지속”
-
- 입력 2018-06-08 10:00:16
- 수정2018-06-08 10:07:46
최근 우리경제는 전반적으로 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진단이 나왔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오늘(8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에서 "설비투자‧소비는 일부 줄었지만 광공업 생산과 건설투자가 증가로 전환되면서 전반적으로 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DI에 따르면 올해 4월 중 고용은 서비스업 고용이 개선됐지만, 지난해 기저효과와 제조업 고용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에 비해 12만3천 명 증가했습니다. 청년실업률의 경우 지난해 4월 11.2%에서 올해 4월엔 10.7%를 기록하며 소폭 떨어졌습니다.
5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세에도 축산물 가격과 공공요금 안정 등으로 인해 지난해에 비해 1.5% 상승했습니다.
4월 산업생산은 전달에 비해 1.5% 증가했습니다. 이 중 광공업 생산이 반도체(0.9%)와 자동차(1.5%)를 중심으로 3.4% 늘었습니다. 하지만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보험(2.2%)과 운수창고(3.4%) 등이 증가했지만 도소매업 등이 감소하며 보합이었습니다.
4월 설비투자는 기계류 투자는 늘었지만 운송장비가 줄며 전달에 비해 3.3% 감소했습니다. 건설투자는 토목은 감소했지만 건축 공사실적이 늘면서 4.4% 증가했습니다.
5월 수출은 반도체, 석유제품, 컴퓨터 등의 수출호조가 이어지며 사상 최초로 3개월 연속 500억 달러를 넘었습니다.
5월 국내 금융시장은 주가는 남북정상회담 개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이태리 정치불안 등으로 하락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 인플레 기대 등으로 상승했고, 국고채 금리는 하락했습니다.
5월 주택시장은 지방을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전달에 비해 0.03% 하락했고, 전세가격은 서울 강남 등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확대되며 0.28% 떨어졌습니다.
미래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와 선행지수는 4월 중 각각 0.1p, 0.4p 떨어졌습니다.
KDI는 세계경제에 대해서는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와 투자심리 회복 등에 힘입어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우리 경제의 고용 상황이 미흡한 가운데 금리인상 등 대내외 위험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면서 정부가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경기 회복세가 일자리와 민생 개선을 통해 체감될 수 있도록 추경을 신속히 집행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또 청년 일자리대책 등 정책 노력을 가속화해야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오늘(8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에서 "설비투자‧소비는 일부 줄었지만 광공업 생산과 건설투자가 증가로 전환되면서 전반적으로 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DI에 따르면 올해 4월 중 고용은 서비스업 고용이 개선됐지만, 지난해 기저효과와 제조업 고용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에 비해 12만3천 명 증가했습니다. 청년실업률의 경우 지난해 4월 11.2%에서 올해 4월엔 10.7%를 기록하며 소폭 떨어졌습니다.
5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세에도 축산물 가격과 공공요금 안정 등으로 인해 지난해에 비해 1.5% 상승했습니다.
4월 산업생산은 전달에 비해 1.5% 증가했습니다. 이 중 광공업 생산이 반도체(0.9%)와 자동차(1.5%)를 중심으로 3.4% 늘었습니다. 하지만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보험(2.2%)과 운수창고(3.4%) 등이 증가했지만 도소매업 등이 감소하며 보합이었습니다.
4월 설비투자는 기계류 투자는 늘었지만 운송장비가 줄며 전달에 비해 3.3% 감소했습니다. 건설투자는 토목은 감소했지만 건축 공사실적이 늘면서 4.4% 증가했습니다.
5월 수출은 반도체, 석유제품, 컴퓨터 등의 수출호조가 이어지며 사상 최초로 3개월 연속 500억 달러를 넘었습니다.
5월 국내 금융시장은 주가는 남북정상회담 개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이태리 정치불안 등으로 하락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 인플레 기대 등으로 상승했고, 국고채 금리는 하락했습니다.
5월 주택시장은 지방을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전달에 비해 0.03% 하락했고, 전세가격은 서울 강남 등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확대되며 0.28% 떨어졌습니다.
미래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와 선행지수는 4월 중 각각 0.1p, 0.4p 떨어졌습니다.
KDI는 세계경제에 대해서는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와 투자심리 회복 등에 힘입어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우리 경제의 고용 상황이 미흡한 가운데 금리인상 등 대내외 위험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면서 정부가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경기 회복세가 일자리와 민생 개선을 통해 체감될 수 있도록 추경을 신속히 집행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또 청년 일자리대책 등 정책 노력을 가속화해야한다고 덧붙였습니다.
-
-
신선민 기자 freshmin@kbs.co.kr
신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