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소비 30% 증가

입력 1990.08.13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성범 앵커 :

우리 생활이 모든 면에서 좀 과하지 않느냐 하는 것을 반성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에너지 소비는 유엔 통계 기준으로 85년에는 세계 11위에서 지난해는 6위로 껑충 뛰어 올라서 경제성장률에 비해서는 에너지 소비가 급격히 느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의 급증이 휘발유 소비를 매년 30%씩 늘리는 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홍기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홍기섭 기자 :

휘발유 소비가 최근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지난 87년에는 천만 배럴을 사용해 전년 대비 21%의 증가를 보였던 것이 지난 해에는 1,800만 배럴로 무려 34%의 증가 추세를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휘발유가 총 석유 수요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커져서 지난 86년 4.3%에서 지난해에는 6.4%로 크게 높아졌습니다.


김관영 (동자부 과장) :

자동차 중에서도 휘발유를 많이 쓰는 승용차들의 증가율이 연 40%씩 늘어나기 때문에 휘발유 소비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홍기섭 기자 :

정부의 유가정책에도 문제는 있습니다.

한때 휘발유 값은 지금보다 두 배나 비싼 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가운전자들에게 1리터에 373원하는 현행 휘발유값은 사실 거의 부담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운전자 1:

지금은 싸다고 생각해요.


운전자 2:

현재까지는 뭐 이 아직 큰 부담이 없는 것 같은데 앞으로 유가가 인상되고 그러면은 상당히 부담이 될 것 같습니다.


홍기섭 기자 :

우리나라 휘발유값을 100으로 할 때 미국을 제외하고는 현행 휘발유 값이 외국에 비해 낮은게 사실입니다.

결국 휘발유가 생산 활동과 거의 무관하고 가격인상이 일반 소비자 물가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체의 석유 수요 감소에 큰 효과가 있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자동차 정책과 유가 정책에 변화가 있어야 휘발유 과소비를 막을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에너지 소비 30% 증가
    • 입력 1990-08-13 21:00:00
    뉴스 9

박성범 앵커 :

우리 생활이 모든 면에서 좀 과하지 않느냐 하는 것을 반성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에너지 소비는 유엔 통계 기준으로 85년에는 세계 11위에서 지난해는 6위로 껑충 뛰어 올라서 경제성장률에 비해서는 에너지 소비가 급격히 느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의 급증이 휘발유 소비를 매년 30%씩 늘리는 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홍기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홍기섭 기자 :

휘발유 소비가 최근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지난 87년에는 천만 배럴을 사용해 전년 대비 21%의 증가를 보였던 것이 지난 해에는 1,800만 배럴로 무려 34%의 증가 추세를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휘발유가 총 석유 수요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커져서 지난 86년 4.3%에서 지난해에는 6.4%로 크게 높아졌습니다.


김관영 (동자부 과장) :

자동차 중에서도 휘발유를 많이 쓰는 승용차들의 증가율이 연 40%씩 늘어나기 때문에 휘발유 소비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홍기섭 기자 :

정부의 유가정책에도 문제는 있습니다.

한때 휘발유 값은 지금보다 두 배나 비싼 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가운전자들에게 1리터에 373원하는 현행 휘발유값은 사실 거의 부담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운전자 1:

지금은 싸다고 생각해요.


운전자 2:

현재까지는 뭐 이 아직 큰 부담이 없는 것 같은데 앞으로 유가가 인상되고 그러면은 상당히 부담이 될 것 같습니다.


홍기섭 기자 :

우리나라 휘발유값을 100으로 할 때 미국을 제외하고는 현행 휘발유 값이 외국에 비해 낮은게 사실입니다.

결국 휘발유가 생산 활동과 거의 무관하고 가격인상이 일반 소비자 물가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체의 석유 수요 감소에 큰 효과가 있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자동차 정책과 유가 정책에 변화가 있어야 휘발유 과소비를 막을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