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곤 씨 국립극장장 유임

입력 2003.01.09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영화 서편제로 유명한 김명곤 씨가 국립극장 극장장을 계속 맡게 됐습니다.
침체됐던 국립극장을 새롭게 일으킨 공을 인정받았습니다.
선재희 기자가 만났습니다.
⊙기자: 영화 서편제에서 소리꾼의 집념과 한을 절절이 풀어냈던 김명곤 씨.
배우겸 연출가로 자유로움을 추구하던 김 씨의 삶은 3년 전 극장장이 되면서 송두리째 바뀝니다.
새로운 도전은 타성과 안일에 젖은 기존 조직 문화의 싸움이었습니다.
다른 공연장보다 찾기 힘든 국립극장으로 관객들을 끌어들이는 것도 결코 쉽지 않았습니다.
⊙김명곤(국립극장 극장장): 새로운 기획, 홍보, 마케팅 개념을 도입하면서 극장이 많이 활성화되고...
⊙기자: 조직관리에 경쟁 개념을 도입했고 공연콘텐츠를 실험적 분야까지 확대했습니다.
무엇보다 소외받는 이웃을 위해 객석의 10%를 무료로 제공하는 파격을 단행했습니다.
⊙김명곤(국립극장 극장장):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극장인만큼 그러한 분들에게 복지를 나누어 준다...
⊙기자: 대학 3학년 때 늦깎이로 판소리에 뛰어든 뒤 다시 극장장으로 인생을 바꾼 김 씨의 도전은 계속됩니다.
⊙김명곤(국립극장 극장장): 국립극장이 민족예술의 요람지로 우뚝서는 데 일익을 담당했다, 그런 극장장으로 기억되고 싶습니다.
⊙기자: 사양길 국립극장의 관객 수와 재정자립도가 3년 만에 2배가 된 것은 올곧은 정열과 줄기찬 개혁의지가 꽃피운 당연한 과실이었습니다.
KBS뉴스 선재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명곤 씨 국립극장장 유임
    • 입력 2003-01-09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영화 서편제로 유명한 김명곤 씨가 국립극장 극장장을 계속 맡게 됐습니다. 침체됐던 국립극장을 새롭게 일으킨 공을 인정받았습니다. 선재희 기자가 만났습니다. ⊙기자: 영화 서편제에서 소리꾼의 집념과 한을 절절이 풀어냈던 김명곤 씨. 배우겸 연출가로 자유로움을 추구하던 김 씨의 삶은 3년 전 극장장이 되면서 송두리째 바뀝니다. 새로운 도전은 타성과 안일에 젖은 기존 조직 문화의 싸움이었습니다. 다른 공연장보다 찾기 힘든 국립극장으로 관객들을 끌어들이는 것도 결코 쉽지 않았습니다. ⊙김명곤(국립극장 극장장): 새로운 기획, 홍보, 마케팅 개념을 도입하면서 극장이 많이 활성화되고... ⊙기자: 조직관리에 경쟁 개념을 도입했고 공연콘텐츠를 실험적 분야까지 확대했습니다. 무엇보다 소외받는 이웃을 위해 객석의 10%를 무료로 제공하는 파격을 단행했습니다. ⊙김명곤(국립극장 극장장):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극장인만큼 그러한 분들에게 복지를 나누어 준다... ⊙기자: 대학 3학년 때 늦깎이로 판소리에 뛰어든 뒤 다시 극장장으로 인생을 바꾼 김 씨의 도전은 계속됩니다. ⊙김명곤(국립극장 극장장): 국립극장이 민족예술의 요람지로 우뚝서는 데 일익을 담당했다, 그런 극장장으로 기억되고 싶습니다. ⊙기자: 사양길 국립극장의 관객 수와 재정자립도가 3년 만에 2배가 된 것은 올곧은 정열과 줄기찬 개혁의지가 꽃피운 당연한 과실이었습니다. KBS뉴스 선재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