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조작’ 은행 3곳 환급 착수…직원 단순 실수?

입력 2018.06.26 (21:40) 수정 2018.07.02 (19: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시중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조작해서 막대한 부당이득을 챙겨왔다는 내용 얼마전에 전해드렸는데요..

부당하게 챙긴 이득을 고객들에게 환급해 주겠다면서도 만 건이 넘는 금리 조작 사례가 모두 단순한 실수였다고 해명하고 있습니다.

김수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 초 KEB하나은행에서 2천백만 원을 대출받은 한 개인사업자.

은행이 일괄적으로 자체 최고 금리를 적용하면서 넉 달 동안 이자 28만 원을 더 내야 했습니다.

경남은행은 대출자의 소득을 빠뜨렸고, 한국씨티은행은 제공된 담보를 없다고 입력해 높은 이자를 받아 챙겼습니다.

은행 3곳에서 금리를 높게 물린 사례는 만 2천 2백여 건,

환급 조치 하기로 한 이자금액만 26억 원이 넘습니다.

은행들은 지점 직원의 실수 탓으로 돌리고 있습니다.

[전병도/경남은행 여신기획부장 : "직원들이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실수나 소홀로 조금 누락이 됐던 부분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경남과 하나은행은 100곳이 넘는 지점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습니다.

지점의 실수만으로 돌리기에는 '금리조작'이 너무 광범위하게 이뤄진 겁니다.

게다가 함께 지적됐던 다른 은행 7곳은 내규에 따라 금리를 산정했을 뿐이라며, 아예 환급 조치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내규가 허술해도 금융당국이 제재할 근거가 없다 보니 버티는 겁니다.

그런데도 금융감독원은 구체적 사례를 스스로 밝히라며 은행들의 입만 바라보고 있습니다.

[조남희/금융소비자원 원장 : "소비자 입장에선 내가 그런 피해 유형에 속하는지 아닌 지 조차 모르고, 어떤 실행(조치)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인 거죠."]

금감원이 여전히 은행들의 잘못을 감싸주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윱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리 조작’ 은행 3곳 환급 착수…직원 단순 실수?
    • 입력 2018-06-26 21:41:30
    • 수정2018-07-02 19:41:20
    뉴스 9
[앵커]

시중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조작해서 막대한 부당이득을 챙겨왔다는 내용 얼마전에 전해드렸는데요..

부당하게 챙긴 이득을 고객들에게 환급해 주겠다면서도 만 건이 넘는 금리 조작 사례가 모두 단순한 실수였다고 해명하고 있습니다.

김수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 초 KEB하나은행에서 2천백만 원을 대출받은 한 개인사업자.

은행이 일괄적으로 자체 최고 금리를 적용하면서 넉 달 동안 이자 28만 원을 더 내야 했습니다.

경남은행은 대출자의 소득을 빠뜨렸고, 한국씨티은행은 제공된 담보를 없다고 입력해 높은 이자를 받아 챙겼습니다.

은행 3곳에서 금리를 높게 물린 사례는 만 2천 2백여 건,

환급 조치 하기로 한 이자금액만 26억 원이 넘습니다.

은행들은 지점 직원의 실수 탓으로 돌리고 있습니다.

[전병도/경남은행 여신기획부장 : "직원들이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실수나 소홀로 조금 누락이 됐던 부분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경남과 하나은행은 100곳이 넘는 지점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습니다.

지점의 실수만으로 돌리기에는 '금리조작'이 너무 광범위하게 이뤄진 겁니다.

게다가 함께 지적됐던 다른 은행 7곳은 내규에 따라 금리를 산정했을 뿐이라며, 아예 환급 조치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내규가 허술해도 금융당국이 제재할 근거가 없다 보니 버티는 겁니다.

그런데도 금융감독원은 구체적 사례를 스스로 밝히라며 은행들의 입만 바라보고 있습니다.

[조남희/금융소비자원 원장 : "소비자 입장에선 내가 그런 피해 유형에 속하는지 아닌 지 조차 모르고, 어떤 실행(조치)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인 거죠."]

금감원이 여전히 은행들의 잘못을 감싸주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윱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