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일·러 북핵 전문가들 모여 ‘한반도 평화’ 논의
입력 2018.06.28 (07:40)
수정 2018.06.28 (07: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 중 일 러의 북한 전문가들이 서울에 모여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문제를 놓고 머리를 맞댔습니다.
북한 비핵화에 대해서는 시각이 비슷했지만, 주한미군이나 대북 제재 문제에선 나라별로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윤 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열린 국제 포럼.
국제 전문가들은 북한이 비핵화 외에 다른 선택지가 없는 상황인 만큼, 북한의 비핵화 과정은 계속 진행될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조셉 디트라니/前 6자회담 미국 특사 : "김정은 위원장은 전략적 결정을 내린 것입니다. 경제 발전에 주력하겠다는 것이고,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입니다."]
[페도롭스키/러시아 국제경제 국제관계연구원 아태지역문제센터장 :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 경제 개혁을 동시에 추진하는 작은 첫걸음입니다."]
비핵화와 동시에 진행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관련해선 중국이 적극적 역할을 하겠단 의지를 밝힌 반면,
[천동샤오/중국 상하이국제문제연구원 원장 : "중국은 정전협정의 체결 당사국이고, 전체 평화협정 체결 과정에서 이해 당사자라는 입장입니다."]
일본에서는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왔습니다.
[다나카 히토시/전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 : "주한미군 철수가 한반도에 안정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주한미군의 유용성에 대해 한국이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대북 제재 해제 시점을 놓고는 중국 전문가는 핵과 미사일 실험 중단이 명확해졌을 때 해제하자고 했지만, 미국과 일본 전문가들은 실험 중단만으론 불충분하다며 더 높고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미 중 일 러의 북한 전문가들이 서울에 모여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문제를 놓고 머리를 맞댔습니다.
북한 비핵화에 대해서는 시각이 비슷했지만, 주한미군이나 대북 제재 문제에선 나라별로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윤 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열린 국제 포럼.
국제 전문가들은 북한이 비핵화 외에 다른 선택지가 없는 상황인 만큼, 북한의 비핵화 과정은 계속 진행될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조셉 디트라니/前 6자회담 미국 특사 : "김정은 위원장은 전략적 결정을 내린 것입니다. 경제 발전에 주력하겠다는 것이고,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입니다."]
[페도롭스키/러시아 국제경제 국제관계연구원 아태지역문제센터장 :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 경제 개혁을 동시에 추진하는 작은 첫걸음입니다."]
비핵화와 동시에 진행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관련해선 중국이 적극적 역할을 하겠단 의지를 밝힌 반면,
[천동샤오/중국 상하이국제문제연구원 원장 : "중국은 정전협정의 체결 당사국이고, 전체 평화협정 체결 과정에서 이해 당사자라는 입장입니다."]
일본에서는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왔습니다.
[다나카 히토시/전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 : "주한미군 철수가 한반도에 안정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주한미군의 유용성에 대해 한국이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대북 제재 해제 시점을 놓고는 중국 전문가는 핵과 미사일 실험 중단이 명확해졌을 때 해제하자고 했지만, 미국과 일본 전문가들은 실험 중단만으론 불충분하다며 더 높고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중·일·러 북핵 전문가들 모여 ‘한반도 평화’ 논의
-
- 입력 2018-06-28 07:42:41
- 수정2018-06-28 07:47:34

[앵커]
미 중 일 러의 북한 전문가들이 서울에 모여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문제를 놓고 머리를 맞댔습니다.
북한 비핵화에 대해서는 시각이 비슷했지만, 주한미군이나 대북 제재 문제에선 나라별로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윤 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열린 국제 포럼.
국제 전문가들은 북한이 비핵화 외에 다른 선택지가 없는 상황인 만큼, 북한의 비핵화 과정은 계속 진행될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조셉 디트라니/前 6자회담 미국 특사 : "김정은 위원장은 전략적 결정을 내린 것입니다. 경제 발전에 주력하겠다는 것이고,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입니다."]
[페도롭스키/러시아 국제경제 국제관계연구원 아태지역문제센터장 :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 경제 개혁을 동시에 추진하는 작은 첫걸음입니다."]
비핵화와 동시에 진행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관련해선 중국이 적극적 역할을 하겠단 의지를 밝힌 반면,
[천동샤오/중국 상하이국제문제연구원 원장 : "중국은 정전협정의 체결 당사국이고, 전체 평화협정 체결 과정에서 이해 당사자라는 입장입니다."]
일본에서는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왔습니다.
[다나카 히토시/전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 : "주한미군 철수가 한반도에 안정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주한미군의 유용성에 대해 한국이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대북 제재 해제 시점을 놓고는 중국 전문가는 핵과 미사일 실험 중단이 명확해졌을 때 해제하자고 했지만, 미국과 일본 전문가들은 실험 중단만으론 불충분하다며 더 높고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미 중 일 러의 북한 전문가들이 서울에 모여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문제를 놓고 머리를 맞댔습니다.
북한 비핵화에 대해서는 시각이 비슷했지만, 주한미군이나 대북 제재 문제에선 나라별로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윤 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열린 국제 포럼.
국제 전문가들은 북한이 비핵화 외에 다른 선택지가 없는 상황인 만큼, 북한의 비핵화 과정은 계속 진행될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조셉 디트라니/前 6자회담 미국 특사 : "김정은 위원장은 전략적 결정을 내린 것입니다. 경제 발전에 주력하겠다는 것이고,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입니다."]
[페도롭스키/러시아 국제경제 국제관계연구원 아태지역문제센터장 :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 경제 개혁을 동시에 추진하는 작은 첫걸음입니다."]
비핵화와 동시에 진행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관련해선 중국이 적극적 역할을 하겠단 의지를 밝힌 반면,
[천동샤오/중국 상하이국제문제연구원 원장 : "중국은 정전협정의 체결 당사국이고, 전체 평화협정 체결 과정에서 이해 당사자라는 입장입니다."]
일본에서는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왔습니다.
[다나카 히토시/전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 : "주한미군 철수가 한반도에 안정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주한미군의 유용성에 대해 한국이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대북 제재 해제 시점을 놓고는 중국 전문가는 핵과 미사일 실험 중단이 명확해졌을 때 해제하자고 했지만, 미국과 일본 전문가들은 실험 중단만으론 불충분하다며 더 높고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
-
윤진 기자 jin@kbs.co.kr
윤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한반도, 평화로 가는 길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