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시설 일부 재가동…9년 미가동 육불화우라늄 설비

입력 2018.06.28 (10:17) 수정 2018.06.28 (17: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란이 서방과 맺은 핵 합의가 미국의 탈퇴로 결국 폐기될 것에 대비해 9년간 놀리던 핵시설 일부를 재가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란원자력청(AEOI)은 현지시간 어제(27일) 육불화우라늄(UF6) 생산 설비를 재가동해 옐로 케이크(yellow cake) 한 통을 산출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원자력청은 이 설비의 재가동은 최고 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가 이번달 유럽 국가들의 핵 합의 구출 노력이 실패할 것에 대비해 농축 역량 개선을 준비하라고 지시한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UF6은 우라늄 농축을 위해 원심 분리기에 주입되는 기체 물질입니다.

옐로케이크는 우라늄 원광을 화학 처리해 순도를 높인 물질로, 우라늄 농축에 앞서 UF6 가스로 전환됩니다.

이란의 UF6 공장은 이스파한 우라늄 변환 시설의 일부로, 2009년 이후 가동이 중단돼왔습니다.

이란은 2015년 7월 핵 합의 후 많은 양의 옐로케이크를 수입해왔으며 일부만 자체 생산해왔습니다.

이란 핵 합의에 따라 이란의 우라늄 농축은 핵무기 제조가 가능한 농ㄷ 90%를 크게 밑도는 농도 3.67%까지 허용됩니다.

또 농축된 UF6를 최대 300㎏까지 보유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이란의 이번 조치는 핵 합의에 따라 허용되는 수준이고 상징적인 움직임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

또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 5일 이란원자력청이 UF6 생산 재개를 위한 잠정적인 계획을 알려왔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란으로서는 핵 합의를 살리기 위한 유럽 국가들의 노력을 예의 주시하면서도 폐기 가능성에 적극적으로 대처한다는 입장입니다.

미국은 오는 8월과 11월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를 되살릴 예정입니다.

1979년 이란의 이슬람 혁명 후 앙숙 관계였다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아래서 잠시 화해 국면에 들어섰던 이란과 미국은 다시 정면 대결의 길로 치닫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중국 등 6개국과 이란 사이에 체결된 핵 합의에 결함이 많다며 지난 5월 탈퇴를 발표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란, 핵시설 일부 재가동…9년 미가동 육불화우라늄 설비
    • 입력 2018-06-28 10:17:11
    • 수정2018-06-28 17:00:16
    국제
이란이 서방과 맺은 핵 합의가 미국의 탈퇴로 결국 폐기될 것에 대비해 9년간 놀리던 핵시설 일부를 재가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란원자력청(AEOI)은 현지시간 어제(27일) 육불화우라늄(UF6) 생산 설비를 재가동해 옐로 케이크(yellow cake) 한 통을 산출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원자력청은 이 설비의 재가동은 최고 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가 이번달 유럽 국가들의 핵 합의 구출 노력이 실패할 것에 대비해 농축 역량 개선을 준비하라고 지시한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UF6은 우라늄 농축을 위해 원심 분리기에 주입되는 기체 물질입니다.

옐로케이크는 우라늄 원광을 화학 처리해 순도를 높인 물질로, 우라늄 농축에 앞서 UF6 가스로 전환됩니다.

이란의 UF6 공장은 이스파한 우라늄 변환 시설의 일부로, 2009년 이후 가동이 중단돼왔습니다.

이란은 2015년 7월 핵 합의 후 많은 양의 옐로케이크를 수입해왔으며 일부만 자체 생산해왔습니다.

이란 핵 합의에 따라 이란의 우라늄 농축은 핵무기 제조가 가능한 농ㄷ 90%를 크게 밑도는 농도 3.67%까지 허용됩니다.

또 농축된 UF6를 최대 300㎏까지 보유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이란의 이번 조치는 핵 합의에 따라 허용되는 수준이고 상징적인 움직임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

또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 5일 이란원자력청이 UF6 생산 재개를 위한 잠정적인 계획을 알려왔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란으로서는 핵 합의를 살리기 위한 유럽 국가들의 노력을 예의 주시하면서도 폐기 가능성에 적극적으로 대처한다는 입장입니다.

미국은 오는 8월과 11월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를 되살릴 예정입니다.

1979년 이란의 이슬람 혁명 후 앙숙 관계였다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아래서 잠시 화해 국면에 들어섰던 이란과 미국은 다시 정면 대결의 길로 치닫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중국 등 6개국과 이란 사이에 체결된 핵 합의에 결함이 많다며 지난 5월 탈퇴를 발표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