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올해 성장률 전망치 2.8% 유지…투자 증가세는 둔화

입력 2018.06.28 (11:10) 수정 2018.06.28 (11: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8%로 유지했습니다. 설비·건설 투자의 증가세 둔화가 작년(3.1%)보다 성장률을 낮추는 주원인으로 꼽혔습니다.

한경연은 오늘(28일) 발표한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18년 2분기'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전망했습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분기 전망 때와 마찬가지로 2.8%로 예상됐습니다.

한경연은 투자 증가세의 둔화가 올해 국내 성장 흐름의 약화를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작년 14.6%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던 설비투자는 기존 증설 계획의 조정, 금리 상승, 성장 둔화에 따른 추가 설비증설 유인 부족으로 올해는 3.0%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특히 이미 둔화 추세에 진입한 건설 투자는 하반기로 갈수록 둔화 폭이 확대되며 증가율이 -0.1%까지 위축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수출 부문은 증가세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주요 품목의 단가 하락 가능성이 있지만 글로벌 수요 확대에 힘입어 수출은 작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민간 소비는 소비심리 회복 기조가 이어지면서 정부의 소득 지원 정책이 저소득층의 소득 개선에 영향을 줘 작년과 비슷한 2.7%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시장금리 상승,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 국제무역 갈등으로 인한 교역조건 악화 가능성 등은 성장의 하방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고 한경연은 지적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9%에서 올해 1.7%로 소폭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최저임금의 대폭 상승에도 불구하고 성장세 둔화로 인한 낮은 수요압력이 물가 상승세를 둔화시킬 것으로 한경연은 예측했습니다.

경상수지는 서비스수지의 적자가 유지되는 가운데 수입이 늘면서 작년보다 94억 달러 감소한 690억 달러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1,087원으로 작년 평균 환율(1,130.5원)에 비해 소폭 절상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시장 금리(회사채 AA-, 3년)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속화에 따라 국내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높아지며 2.9% 수준으로 상승할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경연, 올해 성장률 전망치 2.8% 유지…투자 증가세는 둔화
    • 입력 2018-06-28 11:10:52
    • 수정2018-06-28 11:13:32
    경제
한국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8%로 유지했습니다. 설비·건설 투자의 증가세 둔화가 작년(3.1%)보다 성장률을 낮추는 주원인으로 꼽혔습니다.

한경연은 오늘(28일) 발표한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18년 2분기'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전망했습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분기 전망 때와 마찬가지로 2.8%로 예상됐습니다.

한경연은 투자 증가세의 둔화가 올해 국내 성장 흐름의 약화를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작년 14.6%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던 설비투자는 기존 증설 계획의 조정, 금리 상승, 성장 둔화에 따른 추가 설비증설 유인 부족으로 올해는 3.0%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특히 이미 둔화 추세에 진입한 건설 투자는 하반기로 갈수록 둔화 폭이 확대되며 증가율이 -0.1%까지 위축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수출 부문은 증가세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주요 품목의 단가 하락 가능성이 있지만 글로벌 수요 확대에 힘입어 수출은 작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민간 소비는 소비심리 회복 기조가 이어지면서 정부의 소득 지원 정책이 저소득층의 소득 개선에 영향을 줘 작년과 비슷한 2.7%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시장금리 상승,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 국제무역 갈등으로 인한 교역조건 악화 가능성 등은 성장의 하방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고 한경연은 지적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9%에서 올해 1.7%로 소폭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최저임금의 대폭 상승에도 불구하고 성장세 둔화로 인한 낮은 수요압력이 물가 상승세를 둔화시킬 것으로 한경연은 예측했습니다.

경상수지는 서비스수지의 적자가 유지되는 가운데 수입이 늘면서 작년보다 94억 달러 감소한 690억 달러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1,087원으로 작년 평균 환율(1,130.5원)에 비해 소폭 절상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시장 금리(회사채 AA-, 3년)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속화에 따라 국내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높아지며 2.9% 수준으로 상승할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