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말 대부업체서 빌린돈 16.5조…P2P대출 2배 증가

입력 2018.06.28 (14:00) 수정 2018.06.28 (15: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대부업체에서 빌린 돈이 16조 5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금융위원회와 행정자치부, 금융감독원이 오늘(28일) 발표한 대부업 실태조사를 보면, 지난해말 대부 잔액은 16조 5천억 원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조 1천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자산 100억 원이 넘는 대형 대부업자의 대출 잔액이 14조 2천억 원으로 7천억 원 늘었고, P2P연계 대부업체의 대부 잔액이 5천억 원에서 9천억 원으로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금융위는 지난2월부터 적용된 법정 최고금리 인하 방안(27.9%에서 24.0%로 인하)이 지난해 7월에 발표돼 이에 대비한 대형 대부업자가 영업을 확대한 영향이 있다고 풀이했습니다.

대부업체 거래자는 247만 3천 명으로, 저축은행 인수 대부업체의 영업이 위축돼 6개월 전보다 2만 2천 명 줄었습니다.

등록 대부업체는 8천84개로, 매입채권추심업자 등록이 2016년 말 기준 608개에서 지난해 말 994개로 급증하면서 전체 대부업체수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업체 거래자 가운데 1년 미만 거래자의 비중은 60.8%였습니다. 이같은 단기 거래자 비중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1.8%포인트 줄었습니다.

대부 자금의 용도는 생활비가 54.6%로 가장 많았고, 사업자금이 21.1%를 차지했습니다.

금융위는 "대형 대부업자가 수익성에 치중해 과도하게 대출 권유를 하는 등 불건전 행위가 없도록 대부 감독과 지도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법정 최고금리가 인하된 만큼, 급격한 신용공급 변동이 없는지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금융위는 소규모 매입채권추심업자의 난립으로 불법 채권추심이 늘어나지 않도록 진입 규제와 영업 규제 방안을 올해 3분기 중 내놓을 계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말 대부업체서 빌린돈 16.5조…P2P대출 2배 증가
    • 입력 2018-06-28 14:00:04
    • 수정2018-06-28 15:29:42
    경제
지난해 말 기준 대부업체에서 빌린 돈이 16조 5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금융위원회와 행정자치부, 금융감독원이 오늘(28일) 발표한 대부업 실태조사를 보면, 지난해말 대부 잔액은 16조 5천억 원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조 1천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자산 100억 원이 넘는 대형 대부업자의 대출 잔액이 14조 2천억 원으로 7천억 원 늘었고, P2P연계 대부업체의 대부 잔액이 5천억 원에서 9천억 원으로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금융위는 지난2월부터 적용된 법정 최고금리 인하 방안(27.9%에서 24.0%로 인하)이 지난해 7월에 발표돼 이에 대비한 대형 대부업자가 영업을 확대한 영향이 있다고 풀이했습니다.

대부업체 거래자는 247만 3천 명으로, 저축은행 인수 대부업체의 영업이 위축돼 6개월 전보다 2만 2천 명 줄었습니다.

등록 대부업체는 8천84개로, 매입채권추심업자 등록이 2016년 말 기준 608개에서 지난해 말 994개로 급증하면서 전체 대부업체수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업체 거래자 가운데 1년 미만 거래자의 비중은 60.8%였습니다. 이같은 단기 거래자 비중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1.8%포인트 줄었습니다.

대부 자금의 용도는 생활비가 54.6%로 가장 많았고, 사업자금이 21.1%를 차지했습니다.

금융위는 "대형 대부업자가 수익성에 치중해 과도하게 대출 권유를 하는 등 불건전 행위가 없도록 대부 감독과 지도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법정 최고금리가 인하된 만큼, 급격한 신용공급 변동이 없는지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금융위는 소규모 매입채권추심업자의 난립으로 불법 채권추심이 늘어나지 않도록 진입 규제와 영업 규제 방안을 올해 3분기 중 내놓을 계획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