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 또 10만 명대…5개월 연속 부진
지난달 취업자 수가 10만 6천 명 느는 데 그치면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5개월째 10만 명대에 머물렀습니다. 정부 목표치에도 턱없이 모자란데, 하반기 전망도 좋지 않습니다.
휴가철 소·돼지고기, 배춧값 고공행진
쇠고기와 돼지고기값 오름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본격적인 휴가철을 앞두고 수요가 몰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쌀값과 배춧값 등도 크게 올라 밥상 차리기가 쉽지 않아졌습니다.
‘新농업 경쟁력’ 디자인 배우는 농민들
농업에도 디자인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애써 키운 농산물이 제값을 받으려면 포장부터 잘 해야 한다는 인식 이 농민들 사이에 퍼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현금 없는 사회, 어디까지 왔나
구걸도 모바일 결제로 하는 시대. 간편 결제 기술이 발달하면서 '현금 없는 사회'가 성큼 다가왔습니다. 변화 속도가 너무 빨라 현금을 지키자는 움직임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찬반 논란까지 일고 있는 '현금 없는 사회', <글로벌경제>에서 자세히 살펴봅니다.
지난달 취업자 수가 10만 6천 명 느는 데 그치면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5개월째 10만 명대에 머물렀습니다. 정부 목표치에도 턱없이 모자란데, 하반기 전망도 좋지 않습니다.
휴가철 소·돼지고기, 배춧값 고공행진
쇠고기와 돼지고기값 오름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본격적인 휴가철을 앞두고 수요가 몰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쌀값과 배춧값 등도 크게 올라 밥상 차리기가 쉽지 않아졌습니다.
‘新농업 경쟁력’ 디자인 배우는 농민들
농업에도 디자인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애써 키운 농산물이 제값을 받으려면 포장부터 잘 해야 한다는 인식 이 농민들 사이에 퍼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현금 없는 사회, 어디까지 왔나
구걸도 모바일 결제로 하는 시대. 간편 결제 기술이 발달하면서 '현금 없는 사회'가 성큼 다가왔습니다. 변화 속도가 너무 빨라 현금을 지키자는 움직임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찬반 논란까지 일고 있는 '현금 없는 사회', <글로벌경제>에서 자세히 살펴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제타임 헤드라인]
-
- 입력 2018-07-11 18:01:50
- 수정2018-07-11 18:06:56

취업자 증가 또 10만 명대…5개월 연속 부진
지난달 취업자 수가 10만 6천 명 느는 데 그치면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5개월째 10만 명대에 머물렀습니다. 정부 목표치에도 턱없이 모자란데, 하반기 전망도 좋지 않습니다.
휴가철 소·돼지고기, 배춧값 고공행진
쇠고기와 돼지고기값 오름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본격적인 휴가철을 앞두고 수요가 몰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쌀값과 배춧값 등도 크게 올라 밥상 차리기가 쉽지 않아졌습니다.
‘新농업 경쟁력’ 디자인 배우는 농민들
농업에도 디자인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애써 키운 농산물이 제값을 받으려면 포장부터 잘 해야 한다는 인식 이 농민들 사이에 퍼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현금 없는 사회, 어디까지 왔나
구걸도 모바일 결제로 하는 시대. 간편 결제 기술이 발달하면서 '현금 없는 사회'가 성큼 다가왔습니다. 변화 속도가 너무 빨라 현금을 지키자는 움직임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찬반 논란까지 일고 있는 '현금 없는 사회', <글로벌경제>에서 자세히 살펴봅니다.
지난달 취업자 수가 10만 6천 명 느는 데 그치면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5개월째 10만 명대에 머물렀습니다. 정부 목표치에도 턱없이 모자란데, 하반기 전망도 좋지 않습니다.
휴가철 소·돼지고기, 배춧값 고공행진
쇠고기와 돼지고기값 오름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본격적인 휴가철을 앞두고 수요가 몰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쌀값과 배춧값 등도 크게 올라 밥상 차리기가 쉽지 않아졌습니다.
‘新농업 경쟁력’ 디자인 배우는 농민들
농업에도 디자인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애써 키운 농산물이 제값을 받으려면 포장부터 잘 해야 한다는 인식 이 농민들 사이에 퍼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현금 없는 사회, 어디까지 왔나
구걸도 모바일 결제로 하는 시대. 간편 결제 기술이 발달하면서 '현금 없는 사회'가 성큼 다가왔습니다. 변화 속도가 너무 빨라 현금을 지키자는 움직임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찬반 논란까지 일고 있는 '현금 없는 사회', <글로벌경제>에서 자세히 살펴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