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준수’ 거부…편의점 “동시 휴업”

입력 2018.07.13 (07:07) 수정 2018.07.13 (07: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저임금위원회가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화 방안을 부결한데 대해, 소상공인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최저임금을 준수하지 않겠다고 선언했고, 편의점 점주들은 전국 동시 휴업도 불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년 사이 직원 수를 절반으로 줄인 편의점주, 인건비 부담이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편의점 점주/음성변조 : "올해 임금이 너무 많이 올라서 인건비가 감당이 안 되다 보니까 주말에도 아르바이트생 안 쓰고 하루 12시간씩 일하고..."]

5명 미만 사업장이라도 최저임금을 차등 적용해달라는 요구가 최저임금위원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자, 편의점 가맹점주들이 단체 행동을 예고하고 나섰습니다.

최저임금이 지금보다 더 오르면 편의점들의 연쇄 폐업이 불가피하다며, 회원 3만 명이 편의점 공동 휴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신상우/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 공동대표 : "이걸 감당키 어려워서 파산에 이르러야 되고 또한 극단적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립니다."]

종량제 봉투 판매와 교통카드 충전 거부, 그리고 야간 근로 할증제 도입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소상공인 모라토리엄을 선포한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최저임금위가 사용자측을 배제하고 이대로 내년도 최저임금을 결정한다면 그 결정을 아예 무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냥 각 사업장에서 근로자와 자율적으로 정하겠다는 겁니다.

[김대준/소상공인연합회 노동인력환경위원장 : "최저임금위원회는 명백히 기울어진 운동장 임을 스스로 입장하며 절차적, 내용적, 정당성마저 상실하고 말았습니다."]

사용자위원들이 불참을 선언한 가운데, 최저임금위원회는 근로자, 공익위원들만 모여서라도 내일까지 내년도 최저임금 논의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저임금 준수’ 거부…편의점 “동시 휴업”
    • 입력 2018-07-13 07:13:16
    • 수정2018-07-13 07:49:19
    뉴스광장
[앵커]

최저임금위원회가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화 방안을 부결한데 대해, 소상공인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최저임금을 준수하지 않겠다고 선언했고, 편의점 점주들은 전국 동시 휴업도 불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년 사이 직원 수를 절반으로 줄인 편의점주, 인건비 부담이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편의점 점주/음성변조 : "올해 임금이 너무 많이 올라서 인건비가 감당이 안 되다 보니까 주말에도 아르바이트생 안 쓰고 하루 12시간씩 일하고..."]

5명 미만 사업장이라도 최저임금을 차등 적용해달라는 요구가 최저임금위원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자, 편의점 가맹점주들이 단체 행동을 예고하고 나섰습니다.

최저임금이 지금보다 더 오르면 편의점들의 연쇄 폐업이 불가피하다며, 회원 3만 명이 편의점 공동 휴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신상우/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 공동대표 : "이걸 감당키 어려워서 파산에 이르러야 되고 또한 극단적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립니다."]

종량제 봉투 판매와 교통카드 충전 거부, 그리고 야간 근로 할증제 도입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소상공인 모라토리엄을 선포한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최저임금위가 사용자측을 배제하고 이대로 내년도 최저임금을 결정한다면 그 결정을 아예 무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냥 각 사업장에서 근로자와 자율적으로 정하겠다는 겁니다.

[김대준/소상공인연합회 노동인력환경위원장 : "최저임금위원회는 명백히 기울어진 운동장 임을 스스로 입장하며 절차적, 내용적, 정당성마저 상실하고 말았습니다."]

사용자위원들이 불참을 선언한 가운데, 최저임금위원회는 근로자, 공익위원들만 모여서라도 내일까지 내년도 최저임금 논의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