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마 폭염 탓 영유아 ‘수족구병’ 극성…증상은?
입력 2018.07.27 (09:42)
수정 2018.07.27 (09: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연일 이어지는 폭염에 6살 이하의 영유아를 중심으로 수족구병이 늘어 올 들어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폭염에 영유아의 면역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바이러스의 활동력도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수족구병에 걸린 3살 어린입니다.
입술 주변에 붉은 반점이 여러 개 보입니다.
손바닥과 발바닥도 마찬가지.
양 무릎은 수포가 생겼다가 사라지면서 피부가 벗겨졌습니다.
[김춘분/보호자 : "손, 발, 무릎까지 이 얼굴 주변에 또 그랬었고요. 그리고 이제 열은 한 38.5도까지 올랐었고요. 먹는 걸 잘 못 먹고 있어요."]
수족구병 환자가 크게 늘자 어린이집에선 주의를 당부하는 문자를 학부모에게 보내고 있습니다.
7월 3주차 수족구병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천 명당 34명으로 올 들어 최고치, 6세 이하 영유아만 따지면 40명에 달합니다.
기온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수족구병은 기온이 1도 오를 때마다 발생률이 4.5%씩 증가합니다.
온도가 오르면 수족구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활동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폭염에 어린이들의 면역력이 떨어지는 것도 원인입니다.
[이윤/고려대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 "대부분의 경우는 대증치료를 하고도 해결이 되기는 하지만 장바이러스 중에서 엔테로 바이러스 E71에 의한 수족구병 같은 경우는 합병증으로 뇌수막염 같은 걸 일으켜서 굉장히 안 좋은 결과가 초래되는 경우도 있어서..."]
수족구병은 접촉을 통해 쉽게 전파됩니다.
수족구병에 걸린 영유아는 전염력이 강한 발병 1주일까지 어린이집 등에 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 어린이집에선 아이들이 만지는 물건을 자주 닦아주고, 손을 자주 씻도록 해야 합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연일 이어지는 폭염에 6살 이하의 영유아를 중심으로 수족구병이 늘어 올 들어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폭염에 영유아의 면역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바이러스의 활동력도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수족구병에 걸린 3살 어린입니다.
입술 주변에 붉은 반점이 여러 개 보입니다.
손바닥과 발바닥도 마찬가지.
양 무릎은 수포가 생겼다가 사라지면서 피부가 벗겨졌습니다.
[김춘분/보호자 : "손, 발, 무릎까지 이 얼굴 주변에 또 그랬었고요. 그리고 이제 열은 한 38.5도까지 올랐었고요. 먹는 걸 잘 못 먹고 있어요."]
수족구병 환자가 크게 늘자 어린이집에선 주의를 당부하는 문자를 학부모에게 보내고 있습니다.
7월 3주차 수족구병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천 명당 34명으로 올 들어 최고치, 6세 이하 영유아만 따지면 40명에 달합니다.
기온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수족구병은 기온이 1도 오를 때마다 발생률이 4.5%씩 증가합니다.
온도가 오르면 수족구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활동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폭염에 어린이들의 면역력이 떨어지는 것도 원인입니다.
[이윤/고려대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 "대부분의 경우는 대증치료를 하고도 해결이 되기는 하지만 장바이러스 중에서 엔테로 바이러스 E71에 의한 수족구병 같은 경우는 합병증으로 뇌수막염 같은 걸 일으켜서 굉장히 안 좋은 결과가 초래되는 경우도 있어서..."]
수족구병은 접촉을 통해 쉽게 전파됩니다.
수족구병에 걸린 영유아는 전염력이 강한 발병 1주일까지 어린이집 등에 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 어린이집에선 아이들이 만지는 물건을 자주 닦아주고, 손을 자주 씻도록 해야 합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가마 폭염 탓 영유아 ‘수족구병’ 극성…증상은?
-
- 입력 2018-07-27 09:44:20
- 수정2018-07-27 09:57:58
[앵커]
연일 이어지는 폭염에 6살 이하의 영유아를 중심으로 수족구병이 늘어 올 들어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폭염에 영유아의 면역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바이러스의 활동력도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수족구병에 걸린 3살 어린입니다.
입술 주변에 붉은 반점이 여러 개 보입니다.
손바닥과 발바닥도 마찬가지.
양 무릎은 수포가 생겼다가 사라지면서 피부가 벗겨졌습니다.
[김춘분/보호자 : "손, 발, 무릎까지 이 얼굴 주변에 또 그랬었고요. 그리고 이제 열은 한 38.5도까지 올랐었고요. 먹는 걸 잘 못 먹고 있어요."]
수족구병 환자가 크게 늘자 어린이집에선 주의를 당부하는 문자를 학부모에게 보내고 있습니다.
7월 3주차 수족구병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천 명당 34명으로 올 들어 최고치, 6세 이하 영유아만 따지면 40명에 달합니다.
기온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수족구병은 기온이 1도 오를 때마다 발생률이 4.5%씩 증가합니다.
온도가 오르면 수족구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활동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폭염에 어린이들의 면역력이 떨어지는 것도 원인입니다.
[이윤/고려대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 "대부분의 경우는 대증치료를 하고도 해결이 되기는 하지만 장바이러스 중에서 엔테로 바이러스 E71에 의한 수족구병 같은 경우는 합병증으로 뇌수막염 같은 걸 일으켜서 굉장히 안 좋은 결과가 초래되는 경우도 있어서..."]
수족구병은 접촉을 통해 쉽게 전파됩니다.
수족구병에 걸린 영유아는 전염력이 강한 발병 1주일까지 어린이집 등에 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 어린이집에선 아이들이 만지는 물건을 자주 닦아주고, 손을 자주 씻도록 해야 합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연일 이어지는 폭염에 6살 이하의 영유아를 중심으로 수족구병이 늘어 올 들어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폭염에 영유아의 면역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바이러스의 활동력도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수족구병에 걸린 3살 어린입니다.
입술 주변에 붉은 반점이 여러 개 보입니다.
손바닥과 발바닥도 마찬가지.
양 무릎은 수포가 생겼다가 사라지면서 피부가 벗겨졌습니다.
[김춘분/보호자 : "손, 발, 무릎까지 이 얼굴 주변에 또 그랬었고요. 그리고 이제 열은 한 38.5도까지 올랐었고요. 먹는 걸 잘 못 먹고 있어요."]
수족구병 환자가 크게 늘자 어린이집에선 주의를 당부하는 문자를 학부모에게 보내고 있습니다.
7월 3주차 수족구병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천 명당 34명으로 올 들어 최고치, 6세 이하 영유아만 따지면 40명에 달합니다.
기온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수족구병은 기온이 1도 오를 때마다 발생률이 4.5%씩 증가합니다.
온도가 오르면 수족구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활동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폭염에 어린이들의 면역력이 떨어지는 것도 원인입니다.
[이윤/고려대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 "대부분의 경우는 대증치료를 하고도 해결이 되기는 하지만 장바이러스 중에서 엔테로 바이러스 E71에 의한 수족구병 같은 경우는 합병증으로 뇌수막염 같은 걸 일으켜서 굉장히 안 좋은 결과가 초래되는 경우도 있어서..."]
수족구병은 접촉을 통해 쉽게 전파됩니다.
수족구병에 걸린 영유아는 전염력이 강한 발병 1주일까지 어린이집 등에 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 어린이집에선 아이들이 만지는 물건을 자주 닦아주고, 손을 자주 씻도록 해야 합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
-
박광식 기자 doctor@kbs.co.kr
박광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