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러드문에 화성까지…내일 새벽 ‘우주쇼’ 열린다
입력 2018.07.27 (12:33)
수정 2018.07.27 (13: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내일 새벽이면 붉게 물든 달, 일명 '블러드 문'과 화성을 함께 볼 수 있는 우주쇼가 펼쳐집니다.
개기월식과 15년 만의 '화성 대접근'이 겹치는 건데, 화성의 크기가 평소보다 약 일곱 배는 크다고 합니다.
박해평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름달 일부분이 그림자에 가려지더니, 어느새 달 전체가 핏빛으로 물듭니다.
달 전체가 지구 그림자 속에 들어와도 굴절된 가시광선에 의해 붉게 보이는 일명 블러드 문입니다.
지난 1월의 개기월식은 수퍼문에 블러드 문까지 겹쳐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습니다.
개기월식을 내일 새벽 또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15년 만의 지구와 가장 가까워진 화성도 볼 수 있습니다.
오늘 오후부터 태양과 지구, 화성이 일직선에 놓이는 '충'에 위치한 가운데
다음날 새벽 3시 24분부터 달이 지는 5시 37분까지 약 1시간 40분 동안 개기월식이 진행됩니다.
특히 31일 화성과 지구가 5,700만 km로 매우 가까워지는 화성대접근이 일어납니다.
가장 멀 때보다 거리는 1/7로 준 대신, 크기는 7배가 커지고 16배 밝아집니다.
[박한얼/박사/한국천문연구원 : "한국천문연구원 "남동쪽 하늘에서 밤 10시쯤에 관측 가능한 붉게 빛나는 천체가 화성이 되겠습니다."]
다음 화성 대접근은 2035년에 예정돼 있지만, 개기월식과 겹치는 일은 드물기 때문에 7월 밤의 우주쇼가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해평입니다.
내일 새벽이면 붉게 물든 달, 일명 '블러드 문'과 화성을 함께 볼 수 있는 우주쇼가 펼쳐집니다.
개기월식과 15년 만의 '화성 대접근'이 겹치는 건데, 화성의 크기가 평소보다 약 일곱 배는 크다고 합니다.
박해평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름달 일부분이 그림자에 가려지더니, 어느새 달 전체가 핏빛으로 물듭니다.
달 전체가 지구 그림자 속에 들어와도 굴절된 가시광선에 의해 붉게 보이는 일명 블러드 문입니다.
지난 1월의 개기월식은 수퍼문에 블러드 문까지 겹쳐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습니다.
개기월식을 내일 새벽 또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15년 만의 지구와 가장 가까워진 화성도 볼 수 있습니다.
오늘 오후부터 태양과 지구, 화성이 일직선에 놓이는 '충'에 위치한 가운데
다음날 새벽 3시 24분부터 달이 지는 5시 37분까지 약 1시간 40분 동안 개기월식이 진행됩니다.
특히 31일 화성과 지구가 5,700만 km로 매우 가까워지는 화성대접근이 일어납니다.
가장 멀 때보다 거리는 1/7로 준 대신, 크기는 7배가 커지고 16배 밝아집니다.
[박한얼/박사/한국천문연구원 : "한국천문연구원 "남동쪽 하늘에서 밤 10시쯤에 관측 가능한 붉게 빛나는 천체가 화성이 되겠습니다."]
다음 화성 대접근은 2035년에 예정돼 있지만, 개기월식과 겹치는 일은 드물기 때문에 7월 밤의 우주쇼가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해평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블러드문에 화성까지…내일 새벽 ‘우주쇼’ 열린다
-
- 입력 2018-07-27 12:34:12
- 수정2018-07-27 13:03:23
[앵커]
내일 새벽이면 붉게 물든 달, 일명 '블러드 문'과 화성을 함께 볼 수 있는 우주쇼가 펼쳐집니다.
개기월식과 15년 만의 '화성 대접근'이 겹치는 건데, 화성의 크기가 평소보다 약 일곱 배는 크다고 합니다.
박해평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름달 일부분이 그림자에 가려지더니, 어느새 달 전체가 핏빛으로 물듭니다.
달 전체가 지구 그림자 속에 들어와도 굴절된 가시광선에 의해 붉게 보이는 일명 블러드 문입니다.
지난 1월의 개기월식은 수퍼문에 블러드 문까지 겹쳐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습니다.
개기월식을 내일 새벽 또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15년 만의 지구와 가장 가까워진 화성도 볼 수 있습니다.
오늘 오후부터 태양과 지구, 화성이 일직선에 놓이는 '충'에 위치한 가운데
다음날 새벽 3시 24분부터 달이 지는 5시 37분까지 약 1시간 40분 동안 개기월식이 진행됩니다.
특히 31일 화성과 지구가 5,700만 km로 매우 가까워지는 화성대접근이 일어납니다.
가장 멀 때보다 거리는 1/7로 준 대신, 크기는 7배가 커지고 16배 밝아집니다.
[박한얼/박사/한국천문연구원 : "한국천문연구원 "남동쪽 하늘에서 밤 10시쯤에 관측 가능한 붉게 빛나는 천체가 화성이 되겠습니다."]
다음 화성 대접근은 2035년에 예정돼 있지만, 개기월식과 겹치는 일은 드물기 때문에 7월 밤의 우주쇼가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해평입니다.
내일 새벽이면 붉게 물든 달, 일명 '블러드 문'과 화성을 함께 볼 수 있는 우주쇼가 펼쳐집니다.
개기월식과 15년 만의 '화성 대접근'이 겹치는 건데, 화성의 크기가 평소보다 약 일곱 배는 크다고 합니다.
박해평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름달 일부분이 그림자에 가려지더니, 어느새 달 전체가 핏빛으로 물듭니다.
달 전체가 지구 그림자 속에 들어와도 굴절된 가시광선에 의해 붉게 보이는 일명 블러드 문입니다.
지난 1월의 개기월식은 수퍼문에 블러드 문까지 겹쳐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습니다.
개기월식을 내일 새벽 또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15년 만의 지구와 가장 가까워진 화성도 볼 수 있습니다.
오늘 오후부터 태양과 지구, 화성이 일직선에 놓이는 '충'에 위치한 가운데
다음날 새벽 3시 24분부터 달이 지는 5시 37분까지 약 1시간 40분 동안 개기월식이 진행됩니다.
특히 31일 화성과 지구가 5,700만 km로 매우 가까워지는 화성대접근이 일어납니다.
가장 멀 때보다 거리는 1/7로 준 대신, 크기는 7배가 커지고 16배 밝아집니다.
[박한얼/박사/한국천문연구원 : "한국천문연구원 "남동쪽 하늘에서 밤 10시쯤에 관측 가능한 붉게 빛나는 천체가 화성이 되겠습니다."]
다음 화성 대접근은 2035년에 예정돼 있지만, 개기월식과 겹치는 일은 드물기 때문에 7월 밤의 우주쇼가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해평입니다.
-
-
박해평 기자 pacific@kbs.co.kr
박해평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