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토크] 68년만의 형제 상봉…“10년만 더 살자”

입력 2018.08.24 (23:20) 수정 2018.08.24 (23: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부터 금강산에서 2차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시작됐죠.

이렇게 1,2차를 합쳐서 모두 170여 가족이 꿈에 그리던 혈육을 만났습니다.

그러나 이 정도론 이산의 한을 풀기엔 턱없이 부족합니다.

지난 1차 상봉 때, 60여 전 헤어진 북의 동생을 만나고 돌아온, 김광호 할아버지를 모셨습니다.

할아버지 어서 오십시오. 할아버님 원래 고향이 북이십니까?

[김광호/82살/이산가족]

네. 함경북도 명천군 남면 마전리예요.

[앵커]

네, 이번에 북에 동생을 만나고 돌아오셨는데 몇 년 만에 만나신 겁니까?

[김광호/82살/이산가족]

68년 만에 만난 겁니다.

[앵커]

68년. 지금 갖고 오신 물건들은 동생이 선물해주신 건가요?

[김광호/82살/이산가족]

동생이 선물 준비해 온 거라고 해요.

[앵커]

예. 동생을 처음에 딱 만났더니 만나 보니까 첫눈에 동생인 걸 알아보시겠던가요?

[김광호/82살/이산가족]

전혀 그런 감이 안 들었어요. 내 동생인가 이런 믿음이 없어요. 그래서 내가 첫 일성으로 "너 광일이니?" 그랬다고. 그랬더니 동생이 "네." 이래요. 그래도 믿음이 안 가는 거예요.

[앵커]

어떻게 동생인 걸 확인하셨습니까?

[김광호/82살/이산가족]

어릴 때에 우리 같이 나온 누나가 허벅지에 종기가 있었어요.

근데 그 종기가 낫질 않아요.

낫질 않아서 그때 당시에 옥수수떡을 해가지고 그걸 기름에 지져서 그걸 하루에 몇 번씩 갈아주고 할 때가 있었어요.

근데 걔가 그걸 기억하더라고요.

'그럼 너는 틀림없이 내 동생이 맞구나.' 하는 신념이 생기는 거예요.

그때부터 탁 터놓고 이제부터는 묻는 거죠. 어릴 때 이런 얘기, 저런 얘기.

[앵커]

60여 년의 세월이 흘렀으니까 사실 겉모습은 얼마나 많이 달라졌겠습니까.

그런데 가족들하고는 어떻게 헤어지게 되신 겁니까?

[김광호/82살/이산가족]

헤어진 동기는 전쟁이 일어나니까 그때의 분위기가 "한 3일에서 일주일만 조금 피신해 있다가 집으로 바로 돌아올 수 있다." 이렇게 얘기가 돌았어요.

그러니까 이제 아버지가 제일 큰형하고 셋째 형하고 누나하고 나하고 이렇게 5명이 일단 피하자, 그리고 동생은 아직 제일 어리고 그 다음에 어머니도 여자고 "집이나 잘 지키고 있어라." 하는 기분으로 이렇게 헤어진 것 같아요.

[앵커]

동생이 당시에 11살, 할아버지가 14살. 그때 헤어진 동생을 만나셨습니다.

만나보시니까 어떻던가요? 소감이 어떠셨는지?

[김광호/82살/이산가족]

이제 처음에는 그런 서먹서먹했는데 확인이 되고 나면서부터는 감개무량하고 그 상봉시간이 짧은 거에요.

[앵커]

만나시면서 동생 분이 준비한 선물도 갖고 나오셨는데 북에서 좀 이름난 술들인 것 같습니다. 앞에 저건 뭡니까? 테이블본가요?

[김광호/82살/이산가족]

테이블보예요.

[앵커]

우리 할아버지는 동생한테 어떤 선물 준비해가셨어요?

[김광호/82살/이산가족]

제 고향은 겨울이 되면 추우니까 외투 같은 거 몇 벌 사고 양말도 사고 시계도 사고 화장품도 사고 그 다음에 영양제 같은 걸 조금 준비하고, 그 초코파이를 두 통을 샀어요.

우리가 시간을 너무 소비해가지고 선물 교환할 때 되니까 방송에서 "이제 상봉시간이 끝났습니다." 그러는 거예요.

그러니 뭐 그걸 열어볼 시간이 없잖아요.

그래서 그냥 가지고 온 채로 그냥 줘버렸어요.

그러니까 동생은 그 속에 뭐가 들어있는지도 모르고 한 거예요.

[앵커]

68년을 기다렸는데 그렇게 만남의 시간이 짧았습니다. 헤어질 때 굉장히 힘드셨을 것 같습니다.

[김광호/82살/이산가족]

아, 힘들었죠. 그런데... 만날 때는 그렇게 서먹하게 만났지만 막상 헤어지려고 그러니까 정말 눈물 없이는 헤어질 수가 없더라고요.

[앵커]

어떤 말씀 해주셨습니까?

[김광호/82살/이산가족]

"지금 이렇게 오래 살다 보니까 만났지 않았나. 앞으로 10년만 더 살자." 그래서 내가 제수씨한테 "동생한테 술도 먹이지 말라, 담배도 피우지 말라, 그러고 커피도 몸에 나쁜 건 절대로 먹지 못하게 감시해라." 당부도 했어요.

[앵커]

끝으로 이산가족의 한 사람으로서 남북 당국에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다면 해주시죠.

[김광호/82살/이산가족]

들어보니까 이런 규모로 만나다간 500년이 걸린대요.

그럼 다 된 거지.

그래서 이제 규모도 크게 확대하고 일회성이 아닌 정례화할 수 있는 그런 계획을 좀 해줬으면 좋겠고. 좀 더 나아가서 영상통화라도 하면 얼마나 좋겠어요. 그런 바람을 갖고 있습니다.

[앵커]

네. 알겠습니다. 이산가족들에게 남은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하루 빨리 남북 이산가족들이 좀 상시적으로 만날 수 있는 그런 통로가 열렸으면 좋겠습니다.

[김광호/82살/이산가족]

네 그렇습니다.

[앵커]

지금까지 이산가족 김광호 할아버지였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김광호/82살/이산가족]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토크] 68년만의 형제 상봉…“10년만 더 살자”
    • 입력 2018-08-24 23:23:39
    • 수정2018-08-24 23:51:46
    뉴스라인 W
[앵커]

오늘부터 금강산에서 2차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시작됐죠.

이렇게 1,2차를 합쳐서 모두 170여 가족이 꿈에 그리던 혈육을 만났습니다.

그러나 이 정도론 이산의 한을 풀기엔 턱없이 부족합니다.

지난 1차 상봉 때, 60여 전 헤어진 북의 동생을 만나고 돌아온, 김광호 할아버지를 모셨습니다.

할아버지 어서 오십시오. 할아버님 원래 고향이 북이십니까?

[김광호/82살/이산가족]

네. 함경북도 명천군 남면 마전리예요.

[앵커]

네, 이번에 북에 동생을 만나고 돌아오셨는데 몇 년 만에 만나신 겁니까?

[김광호/82살/이산가족]

68년 만에 만난 겁니다.

[앵커]

68년. 지금 갖고 오신 물건들은 동생이 선물해주신 건가요?

[김광호/82살/이산가족]

동생이 선물 준비해 온 거라고 해요.

[앵커]

예. 동생을 처음에 딱 만났더니 만나 보니까 첫눈에 동생인 걸 알아보시겠던가요?

[김광호/82살/이산가족]

전혀 그런 감이 안 들었어요. 내 동생인가 이런 믿음이 없어요. 그래서 내가 첫 일성으로 "너 광일이니?" 그랬다고. 그랬더니 동생이 "네." 이래요. 그래도 믿음이 안 가는 거예요.

[앵커]

어떻게 동생인 걸 확인하셨습니까?

[김광호/82살/이산가족]

어릴 때에 우리 같이 나온 누나가 허벅지에 종기가 있었어요.

근데 그 종기가 낫질 않아요.

낫질 않아서 그때 당시에 옥수수떡을 해가지고 그걸 기름에 지져서 그걸 하루에 몇 번씩 갈아주고 할 때가 있었어요.

근데 걔가 그걸 기억하더라고요.

'그럼 너는 틀림없이 내 동생이 맞구나.' 하는 신념이 생기는 거예요.

그때부터 탁 터놓고 이제부터는 묻는 거죠. 어릴 때 이런 얘기, 저런 얘기.

[앵커]

60여 년의 세월이 흘렀으니까 사실 겉모습은 얼마나 많이 달라졌겠습니까.

그런데 가족들하고는 어떻게 헤어지게 되신 겁니까?

[김광호/82살/이산가족]

헤어진 동기는 전쟁이 일어나니까 그때의 분위기가 "한 3일에서 일주일만 조금 피신해 있다가 집으로 바로 돌아올 수 있다." 이렇게 얘기가 돌았어요.

그러니까 이제 아버지가 제일 큰형하고 셋째 형하고 누나하고 나하고 이렇게 5명이 일단 피하자, 그리고 동생은 아직 제일 어리고 그 다음에 어머니도 여자고 "집이나 잘 지키고 있어라." 하는 기분으로 이렇게 헤어진 것 같아요.

[앵커]

동생이 당시에 11살, 할아버지가 14살. 그때 헤어진 동생을 만나셨습니다.

만나보시니까 어떻던가요? 소감이 어떠셨는지?

[김광호/82살/이산가족]

이제 처음에는 그런 서먹서먹했는데 확인이 되고 나면서부터는 감개무량하고 그 상봉시간이 짧은 거에요.

[앵커]

만나시면서 동생 분이 준비한 선물도 갖고 나오셨는데 북에서 좀 이름난 술들인 것 같습니다. 앞에 저건 뭡니까? 테이블본가요?

[김광호/82살/이산가족]

테이블보예요.

[앵커]

우리 할아버지는 동생한테 어떤 선물 준비해가셨어요?

[김광호/82살/이산가족]

제 고향은 겨울이 되면 추우니까 외투 같은 거 몇 벌 사고 양말도 사고 시계도 사고 화장품도 사고 그 다음에 영양제 같은 걸 조금 준비하고, 그 초코파이를 두 통을 샀어요.

우리가 시간을 너무 소비해가지고 선물 교환할 때 되니까 방송에서 "이제 상봉시간이 끝났습니다." 그러는 거예요.

그러니 뭐 그걸 열어볼 시간이 없잖아요.

그래서 그냥 가지고 온 채로 그냥 줘버렸어요.

그러니까 동생은 그 속에 뭐가 들어있는지도 모르고 한 거예요.

[앵커]

68년을 기다렸는데 그렇게 만남의 시간이 짧았습니다. 헤어질 때 굉장히 힘드셨을 것 같습니다.

[김광호/82살/이산가족]

아, 힘들었죠. 그런데... 만날 때는 그렇게 서먹하게 만났지만 막상 헤어지려고 그러니까 정말 눈물 없이는 헤어질 수가 없더라고요.

[앵커]

어떤 말씀 해주셨습니까?

[김광호/82살/이산가족]

"지금 이렇게 오래 살다 보니까 만났지 않았나. 앞으로 10년만 더 살자." 그래서 내가 제수씨한테 "동생한테 술도 먹이지 말라, 담배도 피우지 말라, 그러고 커피도 몸에 나쁜 건 절대로 먹지 못하게 감시해라." 당부도 했어요.

[앵커]

끝으로 이산가족의 한 사람으로서 남북 당국에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다면 해주시죠.

[김광호/82살/이산가족]

들어보니까 이런 규모로 만나다간 500년이 걸린대요.

그럼 다 된 거지.

그래서 이제 규모도 크게 확대하고 일회성이 아닌 정례화할 수 있는 그런 계획을 좀 해줬으면 좋겠고. 좀 더 나아가서 영상통화라도 하면 얼마나 좋겠어요. 그런 바람을 갖고 있습니다.

[앵커]

네. 알겠습니다. 이산가족들에게 남은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하루 빨리 남북 이산가족들이 좀 상시적으로 만날 수 있는 그런 통로가 열렸으면 좋겠습니다.

[김광호/82살/이산가족]

네 그렇습니다.

[앵커]

지금까지 이산가족 김광호 할아버지였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김광호/82살/이산가족]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