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BMW 실험해봤더니…“배기가스 밸브 문제가 원인”
입력 2018.08.27 (21:19)
수정 2018.08.28 (0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BMW 차량에 자꾸 불이 나는 원인에 대해 그동안 BMW 측은 배기가스 순환장치, 즉 EGR 결함때문이라고만 설명을 했는데요.
구체적으로 EGR 에 어떤 문제가 있는 건지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KBS 가 대학 연구팀과 실험을 해보니 화재 원인을 추정할 만한 단서가 나왔습니다.
김진호 기자입니다.
[연관기사][뉴스9/단독] BMW, 엄격해진 환경 기준 맞추려고 ‘잘못된 설계’?
[리포트]
BMW 리콜대상 320d 차량입니다.
차량 엔진에 EGR의 한 부품인 바이패스 밸브가 열리는 걸 확인할 수 있는 압력 측정기를 달았습니다.
바이패스 밸브는 뜨거운 배기가스를 다시 엔진룸으로 보내는 부품으로 엔진은 뜨거울수록 효율이 높아 배기가스를 다시 넣어주는 겁니다.
[최영석/선문대 스마트자동차공부 교수 : "바이패스 밸브를 열면 쿨러를 통하지 않은 즉 식지 않은 뜨거운 배기가스가 (엔진에)들어가게 되고요."]
그러나 엔진 효율은 높일 수 있지만 뜨거운 배기가스가 화재를 부를수도 있어 BMW는 냉각수 온도 50도 이하일 때만 열리도록 설계해놓고 있습니다.
차를 운행한 지 채 5분도 되지 않은 시간.
측정기 바늘이 크게 움직입니다.
["어, 열렸다! (아, 열리네요.)"]
바늘이 아래로 떨어지면 밸브가 열렸다는 표시로 곧 배기가스가 엔진으로 들어가고 있는 겁니다.
그런데 냉각수 온도 50도 이하에서만 열린다던 밸브가 90도에서도 열립니다.
2015년식 520d도 마찬가집니다.
[최영석/선문대 스마트자동차공부 교수 : "여네. 바이패스 계속 여는 거예요"]
냉각수 온도 90도. 이 때 배기가스 실제 온도는 시내 주행 때는 200~400도, 고속 주행 때는 500도에 이릅니다.
[이호근/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 : "운전 조건 중 배기가스 온도가 상당히 높아지는 경우 생기는데 그럴 타이밍이라면 바이패스가 열려있다고 하면, 불이 붙을 수 있다."]
KBS가 실험한 리콜대상 차량 2대 등 BMW 실험차량 5대에서 모두 냉각수 온도 50도 이상에서도 바이패스 밸브가 열리는 게 확인됐습니다.
이에 대해 BMW코리아 측은 '해당 실험에 대해 면밀히 검토한 뒤에 입장을 전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BMW 차량에 자꾸 불이 나는 원인에 대해 그동안 BMW 측은 배기가스 순환장치, 즉 EGR 결함때문이라고만 설명을 했는데요.
구체적으로 EGR 에 어떤 문제가 있는 건지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KBS 가 대학 연구팀과 실험을 해보니 화재 원인을 추정할 만한 단서가 나왔습니다.
김진호 기자입니다.
[연관기사][뉴스9/단독] BMW, 엄격해진 환경 기준 맞추려고 ‘잘못된 설계’?
[리포트]
BMW 리콜대상 320d 차량입니다.
차량 엔진에 EGR의 한 부품인 바이패스 밸브가 열리는 걸 확인할 수 있는 압력 측정기를 달았습니다.
바이패스 밸브는 뜨거운 배기가스를 다시 엔진룸으로 보내는 부품으로 엔진은 뜨거울수록 효율이 높아 배기가스를 다시 넣어주는 겁니다.
[최영석/선문대 스마트자동차공부 교수 : "바이패스 밸브를 열면 쿨러를 통하지 않은 즉 식지 않은 뜨거운 배기가스가 (엔진에)들어가게 되고요."]
그러나 엔진 효율은 높일 수 있지만 뜨거운 배기가스가 화재를 부를수도 있어 BMW는 냉각수 온도 50도 이하일 때만 열리도록 설계해놓고 있습니다.
차를 운행한 지 채 5분도 되지 않은 시간.
측정기 바늘이 크게 움직입니다.
["어, 열렸다! (아, 열리네요.)"]
바늘이 아래로 떨어지면 밸브가 열렸다는 표시로 곧 배기가스가 엔진으로 들어가고 있는 겁니다.
그런데 냉각수 온도 50도 이하에서만 열린다던 밸브가 90도에서도 열립니다.
2015년식 520d도 마찬가집니다.
[최영석/선문대 스마트자동차공부 교수 : "여네. 바이패스 계속 여는 거예요"]
냉각수 온도 90도. 이 때 배기가스 실제 온도는 시내 주행 때는 200~400도, 고속 주행 때는 500도에 이릅니다.
[이호근/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 : "운전 조건 중 배기가스 온도가 상당히 높아지는 경우 생기는데 그럴 타이밍이라면 바이패스가 열려있다고 하면, 불이 붙을 수 있다."]
KBS가 실험한 리콜대상 차량 2대 등 BMW 실험차량 5대에서 모두 냉각수 온도 50도 이상에서도 바이패스 밸브가 열리는 게 확인됐습니다.
이에 대해 BMW코리아 측은 '해당 실험에 대해 면밀히 검토한 뒤에 입장을 전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BMW 실험해봤더니…“배기가스 밸브 문제가 원인”
-
- 입력 2018-08-27 21:23:03
- 수정2018-08-28 09:51:08
[앵커]
BMW 차량에 자꾸 불이 나는 원인에 대해 그동안 BMW 측은 배기가스 순환장치, 즉 EGR 결함때문이라고만 설명을 했는데요.
구체적으로 EGR 에 어떤 문제가 있는 건지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KBS 가 대학 연구팀과 실험을 해보니 화재 원인을 추정할 만한 단서가 나왔습니다.
김진호 기자입니다.
[연관기사][뉴스9/단독] BMW, 엄격해진 환경 기준 맞추려고 ‘잘못된 설계’?
[리포트]
BMW 리콜대상 320d 차량입니다.
차량 엔진에 EGR의 한 부품인 바이패스 밸브가 열리는 걸 확인할 수 있는 압력 측정기를 달았습니다.
바이패스 밸브는 뜨거운 배기가스를 다시 엔진룸으로 보내는 부품으로 엔진은 뜨거울수록 효율이 높아 배기가스를 다시 넣어주는 겁니다.
[최영석/선문대 스마트자동차공부 교수 : "바이패스 밸브를 열면 쿨러를 통하지 않은 즉 식지 않은 뜨거운 배기가스가 (엔진에)들어가게 되고요."]
그러나 엔진 효율은 높일 수 있지만 뜨거운 배기가스가 화재를 부를수도 있어 BMW는 냉각수 온도 50도 이하일 때만 열리도록 설계해놓고 있습니다.
차를 운행한 지 채 5분도 되지 않은 시간.
측정기 바늘이 크게 움직입니다.
["어, 열렸다! (아, 열리네요.)"]
바늘이 아래로 떨어지면 밸브가 열렸다는 표시로 곧 배기가스가 엔진으로 들어가고 있는 겁니다.
그런데 냉각수 온도 50도 이하에서만 열린다던 밸브가 90도에서도 열립니다.
2015년식 520d도 마찬가집니다.
[최영석/선문대 스마트자동차공부 교수 : "여네. 바이패스 계속 여는 거예요"]
냉각수 온도 90도. 이 때 배기가스 실제 온도는 시내 주행 때는 200~400도, 고속 주행 때는 500도에 이릅니다.
[이호근/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 : "운전 조건 중 배기가스 온도가 상당히 높아지는 경우 생기는데 그럴 타이밍이라면 바이패스가 열려있다고 하면, 불이 붙을 수 있다."]
KBS가 실험한 리콜대상 차량 2대 등 BMW 실험차량 5대에서 모두 냉각수 온도 50도 이상에서도 바이패스 밸브가 열리는 게 확인됐습니다.
이에 대해 BMW코리아 측은 '해당 실험에 대해 면밀히 검토한 뒤에 입장을 전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
-
김진호 기자 hit@kbs.co.kr
김진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