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구석구석 살아보니…‘체류형 관광’ 만족도↑·지역경제↑
입력 2018.08.31 (07:38)
수정 2018.08.31 (07: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은 '한 달 살아보기'처럼 대한민국의 숨은 관광지를 찾아 지역민들의 삶을 느껴보는 이른바 '장기 체류형' 관광이 유행이라고 합니다.
숨은 관광지의 매력을 느낄 수 있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20여 가구가 사는 작은 섬 외달도.
7살 동갑내기 아이를 키우는 두 가족은 일주일 동안 이곳에 머뭅니다.
["와, 수박이다!"]
인심 좋은 마을 주민들이 텃밭을 내줬습니다.
먹을거리를 직접 땁니다.
["(아유~많이 땄네!) 고맙습니다!"]
북적대는 관광지 대신 석양이 지는 한적한 바닷가는 평화롭습니다.
["건강한 여행, 즐거운 여행, 잘 먹겠습니다!"]
직접 딴 채소를 곁들여 먹는 밥은 그야말로 꿀맛입니다.
[김인정/경기도 김포시 : "일주일 동안 살아보면서 시골에 농작물이 뭐가 있는지, 시골 어르신들은 어떤 하루를 보내시는지 살아보면 어떨까 해서…."]
다음 날 아침.
툇마루에서 아이들은 그림을 그리고, 엄마들은 바쁜 일상에 누리지 못했던 여유를 즐깁니다.
[박희진/'외달도 일주일 살기' 체험자 : "엄마들도 사실 몸이 피곤하면 아이들과 즐겁게 여유 있게 놀 수가 없는데 지금 한옥에 앉아있는 것만으로도 힐링이 되고..."]
두 가족이 일주일 동안 쓴 돈은 150여만 원.
주민들에게는 실질적인 추가 소득입니다.
[박광수/외달도 한옥민박 대표 : "이 섬뿐만 아니라 목포도 많이 열악한 그런 지역 중에 하난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국내 여행 체류 기간은 평균 2.7일.
최근 일주일 이상 머무는 체류형 관광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관련 검색량도 지난해보다 30%이상 증가했습니다.
[이인재/가천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 "체류형 관광은 국내 국외 의미가 아니라 여행 경험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나타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현상이라고 봅니다."]
체류형 관광이 여행객에게는 진정한 쉼을, 지역민에게는 혜택이 돌아가는 일석이조의 새로운 관광 문화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수영입니다.
요즘은 '한 달 살아보기'처럼 대한민국의 숨은 관광지를 찾아 지역민들의 삶을 느껴보는 이른바 '장기 체류형' 관광이 유행이라고 합니다.
숨은 관광지의 매력을 느낄 수 있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20여 가구가 사는 작은 섬 외달도.
7살 동갑내기 아이를 키우는 두 가족은 일주일 동안 이곳에 머뭅니다.
["와, 수박이다!"]
인심 좋은 마을 주민들이 텃밭을 내줬습니다.
먹을거리를 직접 땁니다.
["(아유~많이 땄네!) 고맙습니다!"]
북적대는 관광지 대신 석양이 지는 한적한 바닷가는 평화롭습니다.
["건강한 여행, 즐거운 여행, 잘 먹겠습니다!"]
직접 딴 채소를 곁들여 먹는 밥은 그야말로 꿀맛입니다.
[김인정/경기도 김포시 : "일주일 동안 살아보면서 시골에 농작물이 뭐가 있는지, 시골 어르신들은 어떤 하루를 보내시는지 살아보면 어떨까 해서…."]
다음 날 아침.
툇마루에서 아이들은 그림을 그리고, 엄마들은 바쁜 일상에 누리지 못했던 여유를 즐깁니다.
[박희진/'외달도 일주일 살기' 체험자 : "엄마들도 사실 몸이 피곤하면 아이들과 즐겁게 여유 있게 놀 수가 없는데 지금 한옥에 앉아있는 것만으로도 힐링이 되고..."]
두 가족이 일주일 동안 쓴 돈은 150여만 원.
주민들에게는 실질적인 추가 소득입니다.
[박광수/외달도 한옥민박 대표 : "이 섬뿐만 아니라 목포도 많이 열악한 그런 지역 중에 하난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국내 여행 체류 기간은 평균 2.7일.
최근 일주일 이상 머무는 체류형 관광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관련 검색량도 지난해보다 30%이상 증가했습니다.
[이인재/가천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 "체류형 관광은 국내 국외 의미가 아니라 여행 경험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나타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현상이라고 봅니다."]
체류형 관광이 여행객에게는 진정한 쉼을, 지역민에게는 혜택이 돌아가는 일석이조의 새로운 관광 문화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수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한민국 구석구석 살아보니…‘체류형 관광’ 만족도↑·지역경제↑
-
- 입력 2018-08-31 07:40:25
- 수정2018-08-31 07:55:56
[앵커]
요즘은 '한 달 살아보기'처럼 대한민국의 숨은 관광지를 찾아 지역민들의 삶을 느껴보는 이른바 '장기 체류형' 관광이 유행이라고 합니다.
숨은 관광지의 매력을 느낄 수 있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20여 가구가 사는 작은 섬 외달도.
7살 동갑내기 아이를 키우는 두 가족은 일주일 동안 이곳에 머뭅니다.
["와, 수박이다!"]
인심 좋은 마을 주민들이 텃밭을 내줬습니다.
먹을거리를 직접 땁니다.
["(아유~많이 땄네!) 고맙습니다!"]
북적대는 관광지 대신 석양이 지는 한적한 바닷가는 평화롭습니다.
["건강한 여행, 즐거운 여행, 잘 먹겠습니다!"]
직접 딴 채소를 곁들여 먹는 밥은 그야말로 꿀맛입니다.
[김인정/경기도 김포시 : "일주일 동안 살아보면서 시골에 농작물이 뭐가 있는지, 시골 어르신들은 어떤 하루를 보내시는지 살아보면 어떨까 해서…."]
다음 날 아침.
툇마루에서 아이들은 그림을 그리고, 엄마들은 바쁜 일상에 누리지 못했던 여유를 즐깁니다.
[박희진/'외달도 일주일 살기' 체험자 : "엄마들도 사실 몸이 피곤하면 아이들과 즐겁게 여유 있게 놀 수가 없는데 지금 한옥에 앉아있는 것만으로도 힐링이 되고..."]
두 가족이 일주일 동안 쓴 돈은 150여만 원.
주민들에게는 실질적인 추가 소득입니다.
[박광수/외달도 한옥민박 대표 : "이 섬뿐만 아니라 목포도 많이 열악한 그런 지역 중에 하난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국내 여행 체류 기간은 평균 2.7일.
최근 일주일 이상 머무는 체류형 관광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관련 검색량도 지난해보다 30%이상 증가했습니다.
[이인재/가천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 "체류형 관광은 국내 국외 의미가 아니라 여행 경험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나타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현상이라고 봅니다."]
체류형 관광이 여행객에게는 진정한 쉼을, 지역민에게는 혜택이 돌아가는 일석이조의 새로운 관광 문화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수영입니다.
요즘은 '한 달 살아보기'처럼 대한민국의 숨은 관광지를 찾아 지역민들의 삶을 느껴보는 이른바 '장기 체류형' 관광이 유행이라고 합니다.
숨은 관광지의 매력을 느낄 수 있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20여 가구가 사는 작은 섬 외달도.
7살 동갑내기 아이를 키우는 두 가족은 일주일 동안 이곳에 머뭅니다.
["와, 수박이다!"]
인심 좋은 마을 주민들이 텃밭을 내줬습니다.
먹을거리를 직접 땁니다.
["(아유~많이 땄네!) 고맙습니다!"]
북적대는 관광지 대신 석양이 지는 한적한 바닷가는 평화롭습니다.
["건강한 여행, 즐거운 여행, 잘 먹겠습니다!"]
직접 딴 채소를 곁들여 먹는 밥은 그야말로 꿀맛입니다.
[김인정/경기도 김포시 : "일주일 동안 살아보면서 시골에 농작물이 뭐가 있는지, 시골 어르신들은 어떤 하루를 보내시는지 살아보면 어떨까 해서…."]
다음 날 아침.
툇마루에서 아이들은 그림을 그리고, 엄마들은 바쁜 일상에 누리지 못했던 여유를 즐깁니다.
[박희진/'외달도 일주일 살기' 체험자 : "엄마들도 사실 몸이 피곤하면 아이들과 즐겁게 여유 있게 놀 수가 없는데 지금 한옥에 앉아있는 것만으로도 힐링이 되고..."]
두 가족이 일주일 동안 쓴 돈은 150여만 원.
주민들에게는 실질적인 추가 소득입니다.
[박광수/외달도 한옥민박 대표 : "이 섬뿐만 아니라 목포도 많이 열악한 그런 지역 중에 하난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국내 여행 체류 기간은 평균 2.7일.
최근 일주일 이상 머무는 체류형 관광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관련 검색량도 지난해보다 30%이상 증가했습니다.
[이인재/가천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 "체류형 관광은 국내 국외 의미가 아니라 여행 경험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나타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현상이라고 봅니다."]
체류형 관광이 여행객에게는 진정한 쉼을, 지역민에게는 혜택이 돌아가는 일석이조의 새로운 관광 문화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수영입니다.
-
-
김수영 기자 swimming@kbs.co.kr
김수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