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결혼한 29살 황은미씨.
'무주군'으로부터 백만원의 결혼 장려금을 받았습니다.
생각지도 못한 장려금은 결혼 생활을 하는데 큰 힘이 됐습니다.
결혼 2년차, 3년차때도 황씨는 2백만원씩을 지원받게 됩니다.
주민이 갈수록 줄어들자 무주군이 올해부터 도입한 결혼 장려책입니다.
결혼을 해서 지역에 거주하는 신혼부부에게 3년에 걸쳐 5백만원을 주는 방식입니다.
이웃한 장수군도 이달부터 결혼축하금으로 천만원을 지급하고 있고, 진안군은 농업인에 한해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 고창군이 내년에 이 제도를 도입하기로 하는 등 결혼 장려책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출산에 지원하는 제도는 이미 전국적으로 정착돼 있습니다.
전북 순창이 넷째를 낳은 가정에 천 5백만원의 출산 축하금을 주는 등 천만 원대 출산 지원을 하는 자치단체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구가 갈수록 줄면서 위기를 느끼고 있는 농어촌 지역 자치단체들이 인구 지키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무주군'으로부터 백만원의 결혼 장려금을 받았습니다.
생각지도 못한 장려금은 결혼 생활을 하는데 큰 힘이 됐습니다.
결혼 2년차, 3년차때도 황씨는 2백만원씩을 지원받게 됩니다.
주민이 갈수록 줄어들자 무주군이 올해부터 도입한 결혼 장려책입니다.
결혼을 해서 지역에 거주하는 신혼부부에게 3년에 걸쳐 5백만원을 주는 방식입니다.
이웃한 장수군도 이달부터 결혼축하금으로 천만원을 지급하고 있고, 진안군은 농업인에 한해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 고창군이 내년에 이 제도를 도입하기로 하는 등 결혼 장려책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출산에 지원하는 제도는 이미 전국적으로 정착돼 있습니다.
전북 순창이 넷째를 낳은 가정에 천 5백만원의 출산 축하금을 주는 등 천만 원대 출산 지원을 하는 자치단체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구가 갈수록 줄면서 위기를 느끼고 있는 농어촌 지역 자치단체들이 인구 지키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막뉴스] ‘결혼 축하금’까지…눈물겨운 ‘인구지키기’
-
- 입력 2018-09-24 22:24:46

지난 3월 결혼한 29살 황은미씨.
'무주군'으로부터 백만원의 결혼 장려금을 받았습니다.
생각지도 못한 장려금은 결혼 생활을 하는데 큰 힘이 됐습니다.
결혼 2년차, 3년차때도 황씨는 2백만원씩을 지원받게 됩니다.
주민이 갈수록 줄어들자 무주군이 올해부터 도입한 결혼 장려책입니다.
결혼을 해서 지역에 거주하는 신혼부부에게 3년에 걸쳐 5백만원을 주는 방식입니다.
이웃한 장수군도 이달부터 결혼축하금으로 천만원을 지급하고 있고, 진안군은 농업인에 한해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 고창군이 내년에 이 제도를 도입하기로 하는 등 결혼 장려책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출산에 지원하는 제도는 이미 전국적으로 정착돼 있습니다.
전북 순창이 넷째를 낳은 가정에 천 5백만원의 출산 축하금을 주는 등 천만 원대 출산 지원을 하는 자치단체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구가 갈수록 줄면서 위기를 느끼고 있는 농어촌 지역 자치단체들이 인구 지키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무주군'으로부터 백만원의 결혼 장려금을 받았습니다.
생각지도 못한 장려금은 결혼 생활을 하는데 큰 힘이 됐습니다.
결혼 2년차, 3년차때도 황씨는 2백만원씩을 지원받게 됩니다.
주민이 갈수록 줄어들자 무주군이 올해부터 도입한 결혼 장려책입니다.
결혼을 해서 지역에 거주하는 신혼부부에게 3년에 걸쳐 5백만원을 주는 방식입니다.
이웃한 장수군도 이달부터 결혼축하금으로 천만원을 지급하고 있고, 진안군은 농업인에 한해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 고창군이 내년에 이 제도를 도입하기로 하는 등 결혼 장려책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출산에 지원하는 제도는 이미 전국적으로 정착돼 있습니다.
전북 순창이 넷째를 낳은 가정에 천 5백만원의 출산 축하금을 주는 등 천만 원대 출산 지원을 하는 자치단체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구가 갈수록 줄면서 위기를 느끼고 있는 농어촌 지역 자치단체들이 인구 지키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
-
이종완 기자 rheejw@kbs.co.kr
이종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