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대북제재로 우주 권리 침해당해”
입력 2018.10.25 (10:51)
수정 2018.10.25 (10: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대북제재로 인해 우주에 대한 북한의 권리를 침해당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는 현지시간 23일 유엔총회 제4위원회에서 올해 유엔우주업무사업국(UNOOSA)의 국제학술회의에 북한 전문가들이 초청됐지만 결국 무산됐다고 밝혔다고 미국의소리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김 대사는 "당시 학회에는 북한과 더불어 파키스탄과 오스트리아, 러시아 전문가 등의 참석이 예정돼 있었지만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의 반대로 북한은 어떤 학회에도 참여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면서 "이는 국제 우주법과 유엔헌장이 명시한 합법적 권리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이어 북한 대표단은 "평화로운 위성 발사를 완강하게 막고 있는 대북제재위원회의 터무니 없고 비도덕적인 결정에 강력하게 항의한다"면서 "유엔 우주업무사업국이 이런 부적절한 주장을 인정하고,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은 데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지난 2016년 2월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면서 인공위성인 ‘광명성4호’라고 주장했지만, 유엔 안보리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대북제재 결의 2270호를 채택하는 등 탄도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된 북한의 모든 활동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는 현지시간 23일 유엔총회 제4위원회에서 올해 유엔우주업무사업국(UNOOSA)의 국제학술회의에 북한 전문가들이 초청됐지만 결국 무산됐다고 밝혔다고 미국의소리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김 대사는 "당시 학회에는 북한과 더불어 파키스탄과 오스트리아, 러시아 전문가 등의 참석이 예정돼 있었지만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의 반대로 북한은 어떤 학회에도 참여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면서 "이는 국제 우주법과 유엔헌장이 명시한 합법적 권리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이어 북한 대표단은 "평화로운 위성 발사를 완강하게 막고 있는 대북제재위원회의 터무니 없고 비도덕적인 결정에 강력하게 항의한다"면서 "유엔 우주업무사업국이 이런 부적절한 주장을 인정하고,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은 데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지난 2016년 2월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면서 인공위성인 ‘광명성4호’라고 주장했지만, 유엔 안보리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대북제재 결의 2270호를 채택하는 등 탄도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된 북한의 모든 활동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 “대북제재로 우주 권리 침해당해”
-
- 입력 2018-10-25 10:51:13
- 수정2018-10-25 10:51:57

북한이 대북제재로 인해 우주에 대한 북한의 권리를 침해당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는 현지시간 23일 유엔총회 제4위원회에서 올해 유엔우주업무사업국(UNOOSA)의 국제학술회의에 북한 전문가들이 초청됐지만 결국 무산됐다고 밝혔다고 미국의소리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김 대사는 "당시 학회에는 북한과 더불어 파키스탄과 오스트리아, 러시아 전문가 등의 참석이 예정돼 있었지만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의 반대로 북한은 어떤 학회에도 참여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면서 "이는 국제 우주법과 유엔헌장이 명시한 합법적 권리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이어 북한 대표단은 "평화로운 위성 발사를 완강하게 막고 있는 대북제재위원회의 터무니 없고 비도덕적인 결정에 강력하게 항의한다"면서 "유엔 우주업무사업국이 이런 부적절한 주장을 인정하고,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은 데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지난 2016년 2월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면서 인공위성인 ‘광명성4호’라고 주장했지만, 유엔 안보리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대북제재 결의 2270호를 채택하는 등 탄도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된 북한의 모든 활동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는 현지시간 23일 유엔총회 제4위원회에서 올해 유엔우주업무사업국(UNOOSA)의 국제학술회의에 북한 전문가들이 초청됐지만 결국 무산됐다고 밝혔다고 미국의소리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김 대사는 "당시 학회에는 북한과 더불어 파키스탄과 오스트리아, 러시아 전문가 등의 참석이 예정돼 있었지만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의 반대로 북한은 어떤 학회에도 참여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면서 "이는 국제 우주법과 유엔헌장이 명시한 합법적 권리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이어 북한 대표단은 "평화로운 위성 발사를 완강하게 막고 있는 대북제재위원회의 터무니 없고 비도덕적인 결정에 강력하게 항의한다"면서 "유엔 우주업무사업국이 이런 부적절한 주장을 인정하고,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은 데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지난 2016년 2월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면서 인공위성인 ‘광명성4호’라고 주장했지만, 유엔 안보리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대북제재 결의 2270호를 채택하는 등 탄도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된 북한의 모든 활동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
-
박경호 기자 4right@kbs.co.kr
박경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