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일자리대책 文정부 경제정책의 전환…공급측면 역점”

입력 2018.10.25 (18:24) 수정 2018.10.25 (19: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늘(25일), 어제 발표한 일자리대책이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의 전환을 시사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존 정책은 최저임금이나 근로시간 단축 등 소득주도 성장과 관련한 일자리 수요측면의 정책이었다면, 기업투자나 규제개혁 등 공급 측면에 역점을 둔 것으로 바뀐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김 부총리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기획재정부 등에 대한 종합국정감사에서 전날 발표한 일자리 대책이 '현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를 기본적으로 바꾸는 게 아니냐는 생각이 들었다'는 더불어민주당 서형수 의원의 지적에 "기존 정책의 일부 전환 또는 추동력을 붙이는 것들이 상당히 담겨있다"고 답변했습니다.

또 "이번 대책을 유심히 보면 일자리나 경제의 공급 측면에 역점을 많이 뒀다"면서 "공급 측면에서 이렇게 역점을 둔 기조는 많이 바뀌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부총리는 "일자리 수요 측면에서 정책의 내용은 최저임금과 근로시간 단축이라고 하는 소득주도 성장"이라며 "일자리의 공급 측면에서 정책은 기업들이 투자하게 하고 새로운 투자를 위해 규제개혁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일자리 수요 측면에서는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지만, 일부 고용에 영향을 미친 것도 사실"이라며 "수요와 공급 측면이 균형 잡히게 같이 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정책기조 전환과 관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 장관과 치열한 토론을 벌였고, 청와대와도 이론을 갖고도 치열한 토론을 벌였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부총리는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나 윤종원 청와대 경제수석과 논의했느냐'는 서의원의 질의에는 "충분히 했다"고 답했고, '동의된 내용이냐'는 질문에는 "네"라고 답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동연 “일자리대책 文정부 경제정책의 전환…공급측면 역점”
    • 입력 2018-10-25 18:24:18
    • 수정2018-10-25 19:07:20
    경제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늘(25일), 어제 발표한 일자리대책이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의 전환을 시사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존 정책은 최저임금이나 근로시간 단축 등 소득주도 성장과 관련한 일자리 수요측면의 정책이었다면, 기업투자나 규제개혁 등 공급 측면에 역점을 둔 것으로 바뀐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김 부총리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기획재정부 등에 대한 종합국정감사에서 전날 발표한 일자리 대책이 '현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를 기본적으로 바꾸는 게 아니냐는 생각이 들었다'는 더불어민주당 서형수 의원의 지적에 "기존 정책의 일부 전환 또는 추동력을 붙이는 것들이 상당히 담겨있다"고 답변했습니다.

또 "이번 대책을 유심히 보면 일자리나 경제의 공급 측면에 역점을 많이 뒀다"면서 "공급 측면에서 이렇게 역점을 둔 기조는 많이 바뀌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부총리는 "일자리 수요 측면에서 정책의 내용은 최저임금과 근로시간 단축이라고 하는 소득주도 성장"이라며 "일자리의 공급 측면에서 정책은 기업들이 투자하게 하고 새로운 투자를 위해 규제개혁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일자리 수요 측면에서는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지만, 일부 고용에 영향을 미친 것도 사실"이라며 "수요와 공급 측면이 균형 잡히게 같이 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정책기조 전환과 관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 장관과 치열한 토론을 벌였고, 청와대와도 이론을 갖고도 치열한 토론을 벌였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부총리는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나 윤종원 청와대 경제수석과 논의했느냐'는 서의원의 질의에는 "충분히 했다"고 답했고, '동의된 내용이냐'는 질문에는 "네"라고 답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