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잔재 수두룩...독립운동관련 기념비마저 일본식

입력 2018.10.25 (20:47) 수정 2018.10.25 (23: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의
식민 통치에서 해방된 지
70여 년이 지났지만
문화재에는 그 흔적이
아직도 남아 있습니다.
애국지사의 기념비마저
일본식으로 건축된
경우도 있는데요,
보존할 지 철거할 지
기준조차 마련되지 않았습니다.
실태를
이영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슈퍼1] 사찰 입구 좌우에 돌 구조물과
비대칭 기와구조 건축물이 눈에 띕니다.

일제강점기 신사를
내부만 고쳐서 쓰고 있는 겁니다.

[슈퍼2]구용기/사직문화보존모임
"신사 원형이 그대로 보존돼 있는 곳이 이곳 금선사라고 이야기합니다."

[슈퍼3] 백 미터쯤 떨어진 곳의 불탑은
일제강점기 일본 병사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제의 잔재가 우리 문화유산과
섞여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곳 광주공원에는
[슈퍼4]친일 인사들의 기념비가 있는데요,
보시는 것처럼 바로 앞에는
왜군과 맞서 싸운 권율 장군 비석과
함께 놓여 있습니다.
------------------------------------
일제에 맞선 애국지사 기념비를
일본식으로 지은 곳도 있습니다.

[슈퍼5] 대한광복단 활동으로 투옥된
애국지사 두 명을 기리기 위해 만든
항일 애국지사 충혼탑,

위로 갈수록 길고 뾰족한 게
일본 병사를 추모하는
일본 충혼탑 구조와 비슷합니다.

[슈퍼6]김성인/화순 도암면 도장리
"여기를 들려서 가시는 분들이, 왜 이렇게 독립지사들의 조형물을 만들면서 이렇게 왜풍으로, 왜식으로 해놨냐..."
-----------------------------------
광주시가 지난해부터
유무형의 친일 잔재를 조사한 결과
친일인명사전에 등록된 광주전남
출신 인사는 150여 명에 달했고,
식민지 잔재 시설물도 상당수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슈퍼7]김순흥/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장
"잘못된 것은 어떨 때는 뜯어 없애는 것도 있습니다.//그러나 유형의 것들은 그 옆에 안내판을 세우고//친일의 잔재랍니다. 일본의 찌꺼기랍니다. 알리는 것도 중요한 것이죠."

해방된 지 70여 년이 지났지만
곳곳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

[슈퍼8] 보존할지 철거할지
각각의 처리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뉴스 이영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제 잔재 수두룩...독립운동관련 기념비마저 일본식
    • 입력 2018-10-25 20:47:46
    • 수정2018-10-25 23:55:05
    뉴스9(목포)
일제의 식민 통치에서 해방된 지 70여 년이 지났지만 문화재에는 그 흔적이 아직도 남아 있습니다. 애국지사의 기념비마저 일본식으로 건축된 경우도 있는데요, 보존할 지 철거할 지 기준조차 마련되지 않았습니다. 실태를 이영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슈퍼1] 사찰 입구 좌우에 돌 구조물과 비대칭 기와구조 건축물이 눈에 띕니다. 일제강점기 신사를 내부만 고쳐서 쓰고 있는 겁니다. [슈퍼2]구용기/사직문화보존모임 "신사 원형이 그대로 보존돼 있는 곳이 이곳 금선사라고 이야기합니다." [슈퍼3] 백 미터쯤 떨어진 곳의 불탑은 일제강점기 일본 병사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제의 잔재가 우리 문화유산과 섞여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곳 광주공원에는 [슈퍼4]친일 인사들의 기념비가 있는데요, 보시는 것처럼 바로 앞에는 왜군과 맞서 싸운 권율 장군 비석과 함께 놓여 있습니다. ------------------------------------ 일제에 맞선 애국지사 기념비를 일본식으로 지은 곳도 있습니다. [슈퍼5] 대한광복단 활동으로 투옥된 애국지사 두 명을 기리기 위해 만든 항일 애국지사 충혼탑, 위로 갈수록 길고 뾰족한 게 일본 병사를 추모하는 일본 충혼탑 구조와 비슷합니다. [슈퍼6]김성인/화순 도암면 도장리 "여기를 들려서 가시는 분들이, 왜 이렇게 독립지사들의 조형물을 만들면서 이렇게 왜풍으로, 왜식으로 해놨냐..." ----------------------------------- 광주시가 지난해부터 유무형의 친일 잔재를 조사한 결과 친일인명사전에 등록된 광주전남 출신 인사는 150여 명에 달했고, 식민지 잔재 시설물도 상당수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슈퍼7]김순흥/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장 "잘못된 것은 어떨 때는 뜯어 없애는 것도 있습니다.//그러나 유형의 것들은 그 옆에 안내판을 세우고//친일의 잔재랍니다. 일본의 찌꺼기랍니다. 알리는 것도 중요한 것이죠." 해방된 지 70여 년이 지났지만 곳곳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 [슈퍼8] 보존할지 철거할지 각각의 처리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뉴스 이영화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목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