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울산의
관광지도를 바꿔 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10년째
제자리 걸음인 강동관광단지
개발 사업이 새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민간이 아닌
울산시가 토지를 매입해
기반 시설을 조성하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잡니다.
[리포트]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공정률 37% 상태에서 9년째
사업이 중단된 강동리조트.
2005년 의욕적으로 출발한
강동권 개발 사업의 민낯입니다.
강동권 개발은
당초 올해 말 준공 예정이었지만,
경기 침체로
민자 유치가 지지부진한데다
접근성도 떨어지고 민간 사업자가
토지를 직접 확보해야 하는 등의
복합적인 이유로 애물단지가 되고 있습니다.
박병석(울산시의원)/[녹취]
"롯데건설이 짓다가 내팽개친 흉물 콘크리트를 그래도 둔 채 과연 강동권 관광단지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지 궁금합니다. 지금이라도 롯데건설에 리조트사업 신속 추진 협약을 받아내든...."
결국 울산시가 강동권 개발 사업을
수술대에 올리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민간이 직접 토지를 사서
기반시설을 조성하던 방식에서
공영개발로 바꾸는 방안을
적극 검토합니다.
송철호(울산시장)/[녹취]
"울산도시공사를 사업 시행자로 지정해
강동관광단지를 공영개발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타당성 용역을 실시해 사업성을 평가하고 실질적인 추진 대책을 모색하겠습니다."
울산도시공사가
토지를 일괄 매입해 기반시설을
조성한 뒤 민간사업자에게
분양하겠다는 겁니다.
또 5년간 50조 원 투자를 약속한
롯데그룹과도 협의해 사업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하고,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면제 가능성이 높은
울산 외곽순환고속도로도 이른 시일안에
개통해 접근성도 높이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공영개발로 할 경우
5천억 원으로 추산되는 사업비 확보를 위해
지방채를 발행할 수 밖에 없어 자칫하면
울산시가 빚더미에 앉을 수도 있어
좀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KBS뉴스 박중관입니다.
울산의
관광지도를 바꿔 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10년째
제자리 걸음인 강동관광단지
개발 사업이 새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민간이 아닌
울산시가 토지를 매입해
기반 시설을 조성하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잡니다.
[리포트]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공정률 37% 상태에서 9년째
사업이 중단된 강동리조트.
2005년 의욕적으로 출발한
강동권 개발 사업의 민낯입니다.
강동권 개발은
당초 올해 말 준공 예정이었지만,
경기 침체로
민자 유치가 지지부진한데다
접근성도 떨어지고 민간 사업자가
토지를 직접 확보해야 하는 등의
복합적인 이유로 애물단지가 되고 있습니다.
박병석(울산시의원)/[녹취]
"롯데건설이 짓다가 내팽개친 흉물 콘크리트를 그래도 둔 채 과연 강동권 관광단지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지 궁금합니다. 지금이라도 롯데건설에 리조트사업 신속 추진 협약을 받아내든...."
결국 울산시가 강동권 개발 사업을
수술대에 올리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민간이 직접 토지를 사서
기반시설을 조성하던 방식에서
공영개발로 바꾸는 방안을
적극 검토합니다.
송철호(울산시장)/[녹취]
"울산도시공사를 사업 시행자로 지정해
강동관광단지를 공영개발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타당성 용역을 실시해 사업성을 평가하고 실질적인 추진 대책을 모색하겠습니다."
울산도시공사가
토지를 일괄 매입해 기반시설을
조성한 뒤 민간사업자에게
분양하겠다는 겁니다.
또 5년간 50조 원 투자를 약속한
롯데그룹과도 협의해 사업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하고,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면제 가능성이 높은
울산 외곽순환고속도로도 이른 시일안에
개통해 접근성도 높이기로 했습니다.
5천억 원으로 추산되는 사업비 확보를 위해
지방채를 발행할 수 밖에 없어 자칫하면
울산시가 빚더미에 앉을 수도 있어
좀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KBS뉴스 박중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영개발로 '가닥'
-
- 입력 2018-10-25 21:39:42
- 수정2018-10-26 00:01:43

[앵커멘트]
울산의
관광지도를 바꿔 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10년째
제자리 걸음인 강동관광단지
개발 사업이 새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민간이 아닌
울산시가 토지를 매입해
기반 시설을 조성하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잡니다.
[리포트]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공정률 37% 상태에서 9년째
사업이 중단된 강동리조트.
2005년 의욕적으로 출발한
강동권 개발 사업의 민낯입니다.
강동권 개발은
당초 올해 말 준공 예정이었지만,
경기 침체로
민자 유치가 지지부진한데다
접근성도 떨어지고 민간 사업자가
토지를 직접 확보해야 하는 등의
복합적인 이유로 애물단지가 되고 있습니다.
박병석(울산시의원)/[녹취]
"롯데건설이 짓다가 내팽개친 흉물 콘크리트를 그래도 둔 채 과연 강동권 관광단지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지 궁금합니다. 지금이라도 롯데건설에 리조트사업 신속 추진 협약을 받아내든...."
결국 울산시가 강동권 개발 사업을
수술대에 올리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민간이 직접 토지를 사서
기반시설을 조성하던 방식에서
공영개발로 바꾸는 방안을
적극 검토합니다.
송철호(울산시장)/[녹취]
"울산도시공사를 사업 시행자로 지정해
강동관광단지를 공영개발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타당성 용역을 실시해 사업성을 평가하고 실질적인 추진 대책을 모색하겠습니다."
울산도시공사가
토지를 일괄 매입해 기반시설을
조성한 뒤 민간사업자에게
분양하겠다는 겁니다.
또 5년간 50조 원 투자를 약속한
롯데그룹과도 협의해 사업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하고,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면제 가능성이 높은
울산 외곽순환고속도로도 이른 시일안에
개통해 접근성도 높이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공영개발로 할 경우
5천억 원으로 추산되는 사업비 확보를 위해
지방채를 발행할 수 밖에 없어 자칫하면
울산시가 빚더미에 앉을 수도 있어
좀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KBS뉴스 박중관입니다.
-
-
박중관 기자 jkp@kbs.co.kr
박중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