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수원 이전' 촉구...구미 반대 입장 재확인
입력 2018.10.25 (21:50)
수정 2018.10.25 (22: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오늘 열린 경북도청 국감과
물 관리 주무 부처인
환경부 대상 국감에서
취수원 이전 문제가
쟁점이 됐습니다.
한쪽에서는
구미시의 반대 입장이 전해졌고,
다른 현장에서는
취수원 이전을 촉구하는 등
정반대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신지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북도청 국감 현장에
장세용 구미시장이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했습니다.
장 시장은 대구 취수원을
구미 상류로 이전하는 문제와 관련해
반대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녹취]
장세용/구미시장
"기본적으로 대구시가 필요한 수량이 하루 56만 톤 정도 되는데 이 정도가 빠져 나갔을 때 우리 구미의 물 부족 사태를 가장 우려하고 있습니다. "
같은 시간 물 문제 주무 부처인
환경부의 국감 현장에서도
취수원 이전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특히, 강효상 의원은
환경부가 취수원 이전의 대안으로 제시한
구미공단 폐수 무방류시스템으로는
먹는 물 안전을 완벽하게
확보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
강효상/자유한국당 의원(환노위원)
"환경부는 김은경 장관 계실 때까지 무방류 시스템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걱정스러운 건 이런 대규모로 성공한 전례가 없는 기술이라는 것입니다."
[녹취]
박천규/환경부 차관
"보완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그러니까 보완이 필요한 거죠?)
네네."
대구시와 구미시가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10년을 끌어온 취수원 이전 논의,
이번 국감에서 다뤄질
지역 최대 현안으로 예상됐지만,
갈등을 재확인하는 것에 그쳤습니다.
KBS뉴스 신지원입니다.
오늘 열린 경북도청 국감과
물 관리 주무 부처인
환경부 대상 국감에서
취수원 이전 문제가
쟁점이 됐습니다.
한쪽에서는
구미시의 반대 입장이 전해졌고,
다른 현장에서는
취수원 이전을 촉구하는 등
정반대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신지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북도청 국감 현장에
장세용 구미시장이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했습니다.
장 시장은 대구 취수원을
구미 상류로 이전하는 문제와 관련해
반대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녹취]
장세용/구미시장
"기본적으로 대구시가 필요한 수량이 하루 56만 톤 정도 되는데 이 정도가 빠져 나갔을 때 우리 구미의 물 부족 사태를 가장 우려하고 있습니다. "
같은 시간 물 문제 주무 부처인
환경부의 국감 현장에서도
취수원 이전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특히, 강효상 의원은
환경부가 취수원 이전의 대안으로 제시한
구미공단 폐수 무방류시스템으로는
먹는 물 안전을 완벽하게
확보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
강효상/자유한국당 의원(환노위원)
"환경부는 김은경 장관 계실 때까지 무방류 시스템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걱정스러운 건 이런 대규모로 성공한 전례가 없는 기술이라는 것입니다."
[녹취]
박천규/환경부 차관
"보완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그러니까 보완이 필요한 거죠?)
네네."
대구시와 구미시가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10년을 끌어온 취수원 이전 논의,
이번 국감에서 다뤄질
지역 최대 현안으로 예상됐지만,
갈등을 재확인하는 것에 그쳤습니다.
KBS뉴스 신지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수원 이전' 촉구...구미 반대 입장 재확인
-
- 입력 2018-10-25 21:50:47
- 수정2018-10-25 22:51:31

[앵커멘트]
오늘 열린 경북도청 국감과
물 관리 주무 부처인
환경부 대상 국감에서
취수원 이전 문제가
쟁점이 됐습니다.
한쪽에서는
구미시의 반대 입장이 전해졌고,
다른 현장에서는
취수원 이전을 촉구하는 등
정반대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신지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북도청 국감 현장에
장세용 구미시장이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했습니다.
장 시장은 대구 취수원을
구미 상류로 이전하는 문제와 관련해
반대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녹취]
장세용/구미시장
"기본적으로 대구시가 필요한 수량이 하루 56만 톤 정도 되는데 이 정도가 빠져 나갔을 때 우리 구미의 물 부족 사태를 가장 우려하고 있습니다. "
같은 시간 물 문제 주무 부처인
환경부의 국감 현장에서도
취수원 이전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특히, 강효상 의원은
환경부가 취수원 이전의 대안으로 제시한
구미공단 폐수 무방류시스템으로는
먹는 물 안전을 완벽하게
확보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
강효상/자유한국당 의원(환노위원)
"환경부는 김은경 장관 계실 때까지 무방류 시스템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걱정스러운 건 이런 대규모로 성공한 전례가 없는 기술이라는 것입니다."
[녹취]
박천규/환경부 차관
"보완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그러니까 보완이 필요한 거죠?)
네네."
대구시와 구미시가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10년을 끌어온 취수원 이전 논의,
이번 국감에서 다뤄질
지역 최대 현안으로 예상됐지만,
갈등을 재확인하는 것에 그쳤습니다.
KBS뉴스 신지원입니다.
-
-
신지원 기자 4you@kbs.co.kr
신지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