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살 앓는 전주 신시가지 도로.. 해법 없나?
입력 2018.10.25 (23:05)
수정 2018.10.25 (23: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전주 서부신시가지가
상습적인 교통 혼잡으로
여전히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불법
주·정차 차량 때문인데
해법은 없을까요?
이지현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2차로 도로가 꽉 막혀
차들이 오도 가도 못합니다.
도로에
불법 주·정차한 차들 때문입니다.
일부 차량은
일방통행로를 역주행하고,
인도까지 점령했습니다.
주변 상인(음성변조)[녹취]
저희 손님들 같은 경우에도 앞에 차가 너무 많으니까 주차를 따로 할 공간이 없을 정도로..
텅 빈 공영주차장이 있는
바로 옆 도로도
불법 주차가 극성을 부립니다.
불법 주차 운전자(음성변조)[녹취]
아파트 분양 때문에 확인 좀 하러 왔다가 지금 바로 뺄게요.
전주시가
지난 2천11년부터
서부신시가지에 조성한
공영주차장은 21개,
9백여 대 규모입니다.
유경수/전주시 교통안전과장[인터뷰]
주차 유도선을 그려서 주차장이 있는 것을 알려주고 주차 안내 표지판도 15개소에 설치를 해서..
하지만 주차 공간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전문가들은
유럽과 북미처럼
끝 차로 주차 공간을 만들어
불법 주차를 양성화할 것을
제안합니다.
교통량이 적은
편도 2차선 이상의 도로 끝 차로에
시간제나 요일제 주차 공간을
조성하는 겁니다.
김상엽/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인터뷰]
유료로 가로주차를 허용하는 방안도 검토가 필요합니다. 불법으로 주차하는 문화를 근절할 수 있고요. 어르신들이나 청년들을 고용해서..
도로 특성에 따라
일방 통행로 지정과
차량 이부제, 요일제 등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전주시가 서부신시가지 유동 인구와
차량 이동량, 교통 수요 등을
면밀히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
전주 서부신시가지가
상습적인 교통 혼잡으로
여전히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불법
주·정차 차량 때문인데
해법은 없을까요?
이지현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2차로 도로가 꽉 막혀
차들이 오도 가도 못합니다.
도로에
불법 주·정차한 차들 때문입니다.
일부 차량은
일방통행로를 역주행하고,
인도까지 점령했습니다.
주변 상인(음성변조)[녹취]
저희 손님들 같은 경우에도 앞에 차가 너무 많으니까 주차를 따로 할 공간이 없을 정도로..
텅 빈 공영주차장이 있는
바로 옆 도로도
불법 주차가 극성을 부립니다.
불법 주차 운전자(음성변조)[녹취]
아파트 분양 때문에 확인 좀 하러 왔다가 지금 바로 뺄게요.
전주시가
지난 2천11년부터
서부신시가지에 조성한
공영주차장은 21개,
9백여 대 규모입니다.
유경수/전주시 교통안전과장[인터뷰]
주차 유도선을 그려서 주차장이 있는 것을 알려주고 주차 안내 표지판도 15개소에 설치를 해서..
하지만 주차 공간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전문가들은
유럽과 북미처럼
끝 차로 주차 공간을 만들어
불법 주차를 양성화할 것을
제안합니다.
교통량이 적은
편도 2차선 이상의 도로 끝 차로에
시간제나 요일제 주차 공간을
조성하는 겁니다.
김상엽/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인터뷰]
유료로 가로주차를 허용하는 방안도 검토가 필요합니다. 불법으로 주차하는 문화를 근절할 수 있고요. 어르신들이나 청년들을 고용해서..
도로 특성에 따라
일방 통행로 지정과
차량 이부제, 요일제 등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전주시가 서부신시가지 유동 인구와
차량 이동량, 교통 수요 등을
면밀히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몸살 앓는 전주 신시가지 도로.. 해법 없나?
-
- 입력 2018-10-25 23:05:50
- 수정2018-10-25 23:07:12

[앵커멘트]
전주 서부신시가지가
상습적인 교통 혼잡으로
여전히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불법
주·정차 차량 때문인데
해법은 없을까요?
이지현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2차로 도로가 꽉 막혀
차들이 오도 가도 못합니다.
도로에
불법 주·정차한 차들 때문입니다.
일부 차량은
일방통행로를 역주행하고,
인도까지 점령했습니다.
주변 상인(음성변조)[녹취]
저희 손님들 같은 경우에도 앞에 차가 너무 많으니까 주차를 따로 할 공간이 없을 정도로..
텅 빈 공영주차장이 있는
바로 옆 도로도
불법 주차가 극성을 부립니다.
불법 주차 운전자(음성변조)[녹취]
아파트 분양 때문에 확인 좀 하러 왔다가 지금 바로 뺄게요.
전주시가
지난 2천11년부터
서부신시가지에 조성한
공영주차장은 21개,
9백여 대 규모입니다.
유경수/전주시 교통안전과장[인터뷰]
주차 유도선을 그려서 주차장이 있는 것을 알려주고 주차 안내 표지판도 15개소에 설치를 해서..
하지만 주차 공간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전문가들은
유럽과 북미처럼
끝 차로 주차 공간을 만들어
불법 주차를 양성화할 것을
제안합니다.
교통량이 적은
편도 2차선 이상의 도로 끝 차로에
시간제나 요일제 주차 공간을
조성하는 겁니다.
김상엽/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인터뷰]
유료로 가로주차를 허용하는 방안도 검토가 필요합니다. 불법으로 주차하는 문화를 근절할 수 있고요. 어르신들이나 청년들을 고용해서..
도로 특성에 따라
일방 통행로 지정과
차량 이부제, 요일제 등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전주시가 서부신시가지 유동 인구와
차량 이동량, 교통 수요 등을
면밀히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
-
-
이지현 기자 idl@kbs.co.kr
이지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