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경상북도 국정감사에서는
지진 대응과 탈원전 정책 등
지역과 연관된 다양한 현안이
쟁점이 됐습니다.
경북경찰청 국정감사에서는
청송군수 사과값 대납 사건의
부실수사 의혹을 두고
여야가 충돌했습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5년 만에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상북도 국정감사.
최근 2년 사이
경주와 포항에서 큰 지진을 겪었지만
정작 경북도의 후속 대응은
부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녹취]
이재정 / 더불어민주당 의원(행안위)
"공공시설물 내진율 현황을 봤더니 2년 시간 동안 2.6% 상향한 것으로 보입니다."
야당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세수 감소와 경기 불황 등
경북의 피해가 크다면서
탈원전 정책의 수정을 주장했습니다.
[녹취]
이채익 / 자유한국당 의원(행안위)
"신한울 3, 4호기는 방금 지사님이 말했듯이 공정이 벌써 30%가 넘었기 때문에 이 부분은 꼭 재개돼야 한다."
또 경북도가 추진하는
새마을 관련 사업을 두고
여야 의원들은
서로 상반된 의견을 보였습니다.
경북 경찰청 국감에서는
지난해 청송군수 사과값 대납 사건의
부실 수사 의혹과
지역 현역 의원 연루 가능성을 두고
여야 간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녹취]
김영호 / 더불어민주당 의원(행안위)
"경찰은 어째서 내사 종결했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과연 청송 사과값 대납사건, 수사를 못 한 것일까요, 안한 것일까요."
[녹취]
윤재옥 / 자유한국당 의원(행안위)
"이의 질문을 계속하고, 또 자칫하면 김재원 의원 명예가 실추될 수도 있고."
또 이 사안을 놓고
일부 의원이 자리를 떠나면서
경찰청 국감이
잠시 정회 되기도 했습니다.
KBS뉴스 김도훈입니다.
경상북도 국정감사에서는
지진 대응과 탈원전 정책 등
지역과 연관된 다양한 현안이
쟁점이 됐습니다.
경북경찰청 국정감사에서는
청송군수 사과값 대납 사건의
부실수사 의혹을 두고
여야가 충돌했습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5년 만에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상북도 국정감사.
최근 2년 사이
경주와 포항에서 큰 지진을 겪었지만
정작 경북도의 후속 대응은
부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녹취]
이재정 / 더불어민주당 의원(행안위)
"공공시설물 내진율 현황을 봤더니 2년 시간 동안 2.6% 상향한 것으로 보입니다."
야당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세수 감소와 경기 불황 등
경북의 피해가 크다면서
탈원전 정책의 수정을 주장했습니다.
[녹취]
이채익 / 자유한국당 의원(행안위)
"신한울 3, 4호기는 방금 지사님이 말했듯이 공정이 벌써 30%가 넘었기 때문에 이 부분은 꼭 재개돼야 한다."
또 경북도가 추진하는
새마을 관련 사업을 두고
여야 의원들은
서로 상반된 의견을 보였습니다.
경북 경찰청 국감에서는
지난해 청송군수 사과값 대납 사건의
부실 수사 의혹과
지역 현역 의원 연루 가능성을 두고
여야 간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녹취]
김영호 / 더불어민주당 의원(행안위)
"경찰은 어째서 내사 종결했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과연 청송 사과값 대납사건, 수사를 못 한 것일까요, 안한 것일까요."
[녹취]
윤재옥 / 자유한국당 의원(행안위)
"이의 질문을 계속하고, 또 자칫하면 김재원 의원 명예가 실추될 수도 있고."
또 이 사안을 놓고
일부 의원이 자리를 떠나면서
경찰청 국감이
잠시 정회 되기도 했습니다.
KBS뉴스 김도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슈퍼/경북 국감, 여야 곳곳 충돌(rep)
-
- 입력 2018-10-26 09:45:47
[앵커멘트]
경상북도 국정감사에서는
지진 대응과 탈원전 정책 등
지역과 연관된 다양한 현안이
쟁점이 됐습니다.
경북경찰청 국정감사에서는
청송군수 사과값 대납 사건의
부실수사 의혹을 두고
여야가 충돌했습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5년 만에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상북도 국정감사.
최근 2년 사이
경주와 포항에서 큰 지진을 겪었지만
정작 경북도의 후속 대응은
부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녹취] 이재정 / 더불어민주당 의원(행안위) "공공시설물 내진율 현황을 봤더니 2년 시간 동안 2.6% 상향한 것으로 보입니다." 야당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세수 감소와 경기 불황 등 경북의 피해가 크다면서 탈원전 정책의 수정을 주장했습니다.
[녹취] 이채익 / 자유한국당 의원(행안위) "신한울 3, 4호기는 방금 지사님이 말했듯이 공정이 벌써 30%가 넘었기 때문에 이 부분은 꼭 재개돼야 한다." 또 경북도가 추진하는 새마을 관련 사업을 두고 여야 의원들은 서로 상반된 의견을 보였습니다. 경북 경찰청 국감에서는 지난해 청송군수 사과값 대납 사건의 부실 수사 의혹과 지역 현역 의원 연루 가능성을 두고 여야 간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녹취] 김영호 / 더불어민주당 의원(행안위) "경찰은 어째서 내사 종결했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과연 청송 사과값 대납사건, 수사를 못 한 것일까요, 안한 것일까요."
[녹취] 윤재옥 / 자유한국당 의원(행안위) "이의 질문을 계속하고, 또 자칫하면 김재원 의원 명예가 실추될 수도 있고." 또 이 사안을 놓고 일부 의원이 자리를 떠나면서 경찰청 국감이 잠시 정회 되기도 했습니다. KBS뉴스 김도훈입니다.
[녹취] 이재정 / 더불어민주당 의원(행안위) "공공시설물 내진율 현황을 봤더니 2년 시간 동안 2.6% 상향한 것으로 보입니다." 야당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세수 감소와 경기 불황 등 경북의 피해가 크다면서 탈원전 정책의 수정을 주장했습니다.
[녹취] 이채익 / 자유한국당 의원(행안위) "신한울 3, 4호기는 방금 지사님이 말했듯이 공정이 벌써 30%가 넘었기 때문에 이 부분은 꼭 재개돼야 한다." 또 경북도가 추진하는 새마을 관련 사업을 두고 여야 의원들은 서로 상반된 의견을 보였습니다. 경북 경찰청 국감에서는 지난해 청송군수 사과값 대납 사건의 부실 수사 의혹과 지역 현역 의원 연루 가능성을 두고 여야 간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녹취] 김영호 / 더불어민주당 의원(행안위) "경찰은 어째서 내사 종결했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과연 청송 사과값 대납사건, 수사를 못 한 것일까요, 안한 것일까요."
[녹취] 윤재옥 / 자유한국당 의원(행안위) "이의 질문을 계속하고, 또 자칫하면 김재원 의원 명예가 실추될 수도 있고." 또 이 사안을 놓고 일부 의원이 자리를 떠나면서 경찰청 국감이 잠시 정회 되기도 했습니다. KBS뉴스 김도훈입니다.
-
-
김도훈 기자 kinchy@kbs.co.kr
김도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