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모르면 운전하지마?…외국인 느는 데 언어 종류 축소
입력 2018.10.29 (12:32)
수정 2018.10.29 (12: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크게 늘면서, 해마다 외국인 수만 명이 운전면허시험에 응시합니다.
그런데, 면허시험에 지원되는 외국어 종류가 크게 축소되면서 '거꾸로 가는 행정 서비스'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방준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북 순창에 사는 캄보디아인 A 씨, 작년에 한국인과 결혼했습니다.
서울처럼 대중교통이 편하지 않아 운전면허를 따려고 준비해왔습니다.
[A 씨 : "(운전면허 따면 가장 뭐 하고 싶으세요?) 부모님 모시고 여행하고 싶어요."]
캄보디아어로 된 교재로 매일 2시간씩 공부를 해왔는데 최근 응시를 포기했습니다.
필기시험 언어에서 캄보디아어가 빠졌기 때문입니다.
[전은성/A씨 남편 : "조금 황당하죠. 한국어로 시험을 보라고 하면 100에 100은 전부 다 '시험 못 봐요.' '안돼요.' 하고 나올 겁니다."]
필기시험에 외국어가 지원된 건 1990년대부터입니다.
처음에는 영어와 중국어였고 점차 늘어 2011년, 10개 언어까지 확대됐습니다.
그런데 올해 8월부터 3개 언어만 남고 나머지 서비스가 갑자기 중단됐습니다.
동남아시아권 4개 언어는 모두 빠졌습니다.
[도로교통공단 관계자/음성변조 : "양질의 문제를 제공하기 위해선 시간도 많이 걸리고 예산도 들어가는데... (제외된 언어는)워낙 수요가 없습니다."]
제외된 7개 언어의 응시자는 매년 수천 명, 지난해엔 7천 명에 육박했습니다.
아직 한국어에 서툰 이들의 거주지는 대중교통 사정이 안 좋은 소외지역이 많습니다.
[우다야 라이/이주노조위원장 : "교통수단이 잘 되지 않은 지역에는 스스로가 운전해야 하기 때문에, 버스도 한 두 시간 기다려야 되는 곳이 있습니다."]
도로교통공단은 외국어 서비스를 줄여 아낀 돈은 대략 7천만 원, 돈은 아꼈지만 이주민들의 작은 꿈은 사라졌습니다.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크게 늘면서, 해마다 외국인 수만 명이 운전면허시험에 응시합니다.
그런데, 면허시험에 지원되는 외국어 종류가 크게 축소되면서 '거꾸로 가는 행정 서비스'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방준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북 순창에 사는 캄보디아인 A 씨, 작년에 한국인과 결혼했습니다.
서울처럼 대중교통이 편하지 않아 운전면허를 따려고 준비해왔습니다.
[A 씨 : "(운전면허 따면 가장 뭐 하고 싶으세요?) 부모님 모시고 여행하고 싶어요."]
캄보디아어로 된 교재로 매일 2시간씩 공부를 해왔는데 최근 응시를 포기했습니다.
필기시험 언어에서 캄보디아어가 빠졌기 때문입니다.
[전은성/A씨 남편 : "조금 황당하죠. 한국어로 시험을 보라고 하면 100에 100은 전부 다 '시험 못 봐요.' '안돼요.' 하고 나올 겁니다."]
필기시험에 외국어가 지원된 건 1990년대부터입니다.
처음에는 영어와 중국어였고 점차 늘어 2011년, 10개 언어까지 확대됐습니다.
그런데 올해 8월부터 3개 언어만 남고 나머지 서비스가 갑자기 중단됐습니다.
동남아시아권 4개 언어는 모두 빠졌습니다.
[도로교통공단 관계자/음성변조 : "양질의 문제를 제공하기 위해선 시간도 많이 걸리고 예산도 들어가는데... (제외된 언어는)워낙 수요가 없습니다."]
제외된 7개 언어의 응시자는 매년 수천 명, 지난해엔 7천 명에 육박했습니다.
아직 한국어에 서툰 이들의 거주지는 대중교통 사정이 안 좋은 소외지역이 많습니다.
[우다야 라이/이주노조위원장 : "교통수단이 잘 되지 않은 지역에는 스스로가 운전해야 하기 때문에, 버스도 한 두 시간 기다려야 되는 곳이 있습니다."]
도로교통공단은 외국어 서비스를 줄여 아낀 돈은 대략 7천만 원, 돈은 아꼈지만 이주민들의 작은 꿈은 사라졌습니다.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어 모르면 운전하지마?…외국인 느는 데 언어 종류 축소
-
- 입력 2018-10-29 12:34:57
- 수정2018-10-29 12:41:22

[앵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크게 늘면서, 해마다 외국인 수만 명이 운전면허시험에 응시합니다.
그런데, 면허시험에 지원되는 외국어 종류가 크게 축소되면서 '거꾸로 가는 행정 서비스'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방준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북 순창에 사는 캄보디아인 A 씨, 작년에 한국인과 결혼했습니다.
서울처럼 대중교통이 편하지 않아 운전면허를 따려고 준비해왔습니다.
[A 씨 : "(운전면허 따면 가장 뭐 하고 싶으세요?) 부모님 모시고 여행하고 싶어요."]
캄보디아어로 된 교재로 매일 2시간씩 공부를 해왔는데 최근 응시를 포기했습니다.
필기시험 언어에서 캄보디아어가 빠졌기 때문입니다.
[전은성/A씨 남편 : "조금 황당하죠. 한국어로 시험을 보라고 하면 100에 100은 전부 다 '시험 못 봐요.' '안돼요.' 하고 나올 겁니다."]
필기시험에 외국어가 지원된 건 1990년대부터입니다.
처음에는 영어와 중국어였고 점차 늘어 2011년, 10개 언어까지 확대됐습니다.
그런데 올해 8월부터 3개 언어만 남고 나머지 서비스가 갑자기 중단됐습니다.
동남아시아권 4개 언어는 모두 빠졌습니다.
[도로교통공단 관계자/음성변조 : "양질의 문제를 제공하기 위해선 시간도 많이 걸리고 예산도 들어가는데... (제외된 언어는)워낙 수요가 없습니다."]
제외된 7개 언어의 응시자는 매년 수천 명, 지난해엔 7천 명에 육박했습니다.
아직 한국어에 서툰 이들의 거주지는 대중교통 사정이 안 좋은 소외지역이 많습니다.
[우다야 라이/이주노조위원장 : "교통수단이 잘 되지 않은 지역에는 스스로가 운전해야 하기 때문에, 버스도 한 두 시간 기다려야 되는 곳이 있습니다."]
도로교통공단은 외국어 서비스를 줄여 아낀 돈은 대략 7천만 원, 돈은 아꼈지만 이주민들의 작은 꿈은 사라졌습니다.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크게 늘면서, 해마다 외국인 수만 명이 운전면허시험에 응시합니다.
그런데, 면허시험에 지원되는 외국어 종류가 크게 축소되면서 '거꾸로 가는 행정 서비스'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방준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북 순창에 사는 캄보디아인 A 씨, 작년에 한국인과 결혼했습니다.
서울처럼 대중교통이 편하지 않아 운전면허를 따려고 준비해왔습니다.
[A 씨 : "(운전면허 따면 가장 뭐 하고 싶으세요?) 부모님 모시고 여행하고 싶어요."]
캄보디아어로 된 교재로 매일 2시간씩 공부를 해왔는데 최근 응시를 포기했습니다.
필기시험 언어에서 캄보디아어가 빠졌기 때문입니다.
[전은성/A씨 남편 : "조금 황당하죠. 한국어로 시험을 보라고 하면 100에 100은 전부 다 '시험 못 봐요.' '안돼요.' 하고 나올 겁니다."]
필기시험에 외국어가 지원된 건 1990년대부터입니다.
처음에는 영어와 중국어였고 점차 늘어 2011년, 10개 언어까지 확대됐습니다.
그런데 올해 8월부터 3개 언어만 남고 나머지 서비스가 갑자기 중단됐습니다.
동남아시아권 4개 언어는 모두 빠졌습니다.
[도로교통공단 관계자/음성변조 : "양질의 문제를 제공하기 위해선 시간도 많이 걸리고 예산도 들어가는데... (제외된 언어는)워낙 수요가 없습니다."]
제외된 7개 언어의 응시자는 매년 수천 명, 지난해엔 7천 명에 육박했습니다.
아직 한국어에 서툰 이들의 거주지는 대중교통 사정이 안 좋은 소외지역이 많습니다.
[우다야 라이/이주노조위원장 : "교통수단이 잘 되지 않은 지역에는 스스로가 운전해야 하기 때문에, 버스도 한 두 시간 기다려야 되는 곳이 있습니다."]
도로교통공단은 외국어 서비스를 줄여 아낀 돈은 대략 7천만 원, 돈은 아꼈지만 이주민들의 작은 꿈은 사라졌습니다.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
-
방준원 기자 pcbang@kbs.co.kr
방준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