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다음 주 북미 회담”…김정은, 제재 비난
입력 2018.11.01 (21:15)
수정 2018.11.01 (21: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다음주 북미 고위급회담이 열릴 것이라고 공식화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직접 국제사회의 제재를 강력히 비난하고 나섰는데, 북한이 다음주 고위급회담에서 제재 해제 문제를 협상 테이블에 올릴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효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북미 고위급 회담 개최를 사실상 공식화했습니다.
다음주라는 시점도 거론했습니다.
[폼페이오/美 국무장관/美 라디오 인터뷰 : "(3주 반 전에 만났을 때) 김정은 위원장은 미국 사찰단이 중요 시설 두 곳을 둘러보는 것을 허락했습니다. 그것은 내 카운터파트와 다음 주에 논의할 사항 중 하나입니다."]
중요시설 2곳은 풍계리 핵실험장과 동창리 엔진시험장을 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내년 초 북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위협 제거에 돌파구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영변 등 핵심시설 해체를 포함해 비핵화 일정표 마련 문제를 논의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는 관측이 나오는 대목입니다.
이런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은 원산갈마 관광지구를 시찰하며 국제사회의 제재를 강하게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조선중앙TV/1일 : "적대세력들이 우리를 변화시키고 굴복시켜 보려고 악랄한 제재책동에만 어리석게 광분하고 있지만..."]
평양 공동선언에서 미국이 상응조치를 취하면 영변 핵시설을 폐기할 용의가 있다고 밝힌 김 위원장.
이런 만큼 김 위원장의 발언은 상응조치로 제재 완화에 방점을 두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 : "국내적 경제 상황이 점점 안좋아지고 제재의 효과가 더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영변 핵시설 폐쇄의 조건으로 종전선언보다 제재 해제를 더 강하게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북미간 비핵화 협상이 다시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다음주 고위급회담에서 영변 사찰과 제재 완화의 빅딜 논의가 본격화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다음주 북미 고위급회담이 열릴 것이라고 공식화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직접 국제사회의 제재를 강력히 비난하고 나섰는데, 북한이 다음주 고위급회담에서 제재 해제 문제를 협상 테이블에 올릴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효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북미 고위급 회담 개최를 사실상 공식화했습니다.
다음주라는 시점도 거론했습니다.
[폼페이오/美 국무장관/美 라디오 인터뷰 : "(3주 반 전에 만났을 때) 김정은 위원장은 미국 사찰단이 중요 시설 두 곳을 둘러보는 것을 허락했습니다. 그것은 내 카운터파트와 다음 주에 논의할 사항 중 하나입니다."]
중요시설 2곳은 풍계리 핵실험장과 동창리 엔진시험장을 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내년 초 북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위협 제거에 돌파구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영변 등 핵심시설 해체를 포함해 비핵화 일정표 마련 문제를 논의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는 관측이 나오는 대목입니다.
이런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은 원산갈마 관광지구를 시찰하며 국제사회의 제재를 강하게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조선중앙TV/1일 : "적대세력들이 우리를 변화시키고 굴복시켜 보려고 악랄한 제재책동에만 어리석게 광분하고 있지만..."]
평양 공동선언에서 미국이 상응조치를 취하면 영변 핵시설을 폐기할 용의가 있다고 밝힌 김 위원장.
이런 만큼 김 위원장의 발언은 상응조치로 제재 완화에 방점을 두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 : "국내적 경제 상황이 점점 안좋아지고 제재의 효과가 더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영변 핵시설 폐쇄의 조건으로 종전선언보다 제재 해제를 더 강하게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북미간 비핵화 협상이 다시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다음주 고위급회담에서 영변 사찰과 제재 완화의 빅딜 논의가 본격화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폼페이오 “다음 주 북미 회담”…김정은, 제재 비난
-
- 입력 2018-11-01 21:17:15
- 수정2018-11-01 21:51:57

[앵커]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다음주 북미 고위급회담이 열릴 것이라고 공식화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직접 국제사회의 제재를 강력히 비난하고 나섰는데, 북한이 다음주 고위급회담에서 제재 해제 문제를 협상 테이블에 올릴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효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북미 고위급 회담 개최를 사실상 공식화했습니다.
다음주라는 시점도 거론했습니다.
[폼페이오/美 국무장관/美 라디오 인터뷰 : "(3주 반 전에 만났을 때) 김정은 위원장은 미국 사찰단이 중요 시설 두 곳을 둘러보는 것을 허락했습니다. 그것은 내 카운터파트와 다음 주에 논의할 사항 중 하나입니다."]
중요시설 2곳은 풍계리 핵실험장과 동창리 엔진시험장을 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내년 초 북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위협 제거에 돌파구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영변 등 핵심시설 해체를 포함해 비핵화 일정표 마련 문제를 논의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는 관측이 나오는 대목입니다.
이런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은 원산갈마 관광지구를 시찰하며 국제사회의 제재를 강하게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조선중앙TV/1일 : "적대세력들이 우리를 변화시키고 굴복시켜 보려고 악랄한 제재책동에만 어리석게 광분하고 있지만..."]
평양 공동선언에서 미국이 상응조치를 취하면 영변 핵시설을 폐기할 용의가 있다고 밝힌 김 위원장.
이런 만큼 김 위원장의 발언은 상응조치로 제재 완화에 방점을 두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 : "국내적 경제 상황이 점점 안좋아지고 제재의 효과가 더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영변 핵시설 폐쇄의 조건으로 종전선언보다 제재 해제를 더 강하게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북미간 비핵화 협상이 다시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다음주 고위급회담에서 영변 사찰과 제재 완화의 빅딜 논의가 본격화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다음주 북미 고위급회담이 열릴 것이라고 공식화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직접 국제사회의 제재를 강력히 비난하고 나섰는데, 북한이 다음주 고위급회담에서 제재 해제 문제를 협상 테이블에 올릴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효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북미 고위급 회담 개최를 사실상 공식화했습니다.
다음주라는 시점도 거론했습니다.
[폼페이오/美 국무장관/美 라디오 인터뷰 : "(3주 반 전에 만났을 때) 김정은 위원장은 미국 사찰단이 중요 시설 두 곳을 둘러보는 것을 허락했습니다. 그것은 내 카운터파트와 다음 주에 논의할 사항 중 하나입니다."]
중요시설 2곳은 풍계리 핵실험장과 동창리 엔진시험장을 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내년 초 북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위협 제거에 돌파구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영변 등 핵심시설 해체를 포함해 비핵화 일정표 마련 문제를 논의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는 관측이 나오는 대목입니다.
이런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은 원산갈마 관광지구를 시찰하며 국제사회의 제재를 강하게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조선중앙TV/1일 : "적대세력들이 우리를 변화시키고 굴복시켜 보려고 악랄한 제재책동에만 어리석게 광분하고 있지만..."]
평양 공동선언에서 미국이 상응조치를 취하면 영변 핵시설을 폐기할 용의가 있다고 밝힌 김 위원장.
이런 만큼 김 위원장의 발언은 상응조치로 제재 완화에 방점을 두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 : "국내적 경제 상황이 점점 안좋아지고 제재의 효과가 더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영변 핵시설 폐쇄의 조건으로 종전선언보다 제재 해제를 더 강하게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북미간 비핵화 협상이 다시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다음주 고위급회담에서 영변 사찰과 제재 완화의 빅딜 논의가 본격화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
-
이효용 기자 utility@kbs.co.kr
이효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한반도, 평화로 가는 길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