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장류 지원센터 정읍에 준공
입력 2018.11.06 (21:09)
수정 2018.11.07 (15: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임상시험 전에
사람과 가까운 영장류를 대상으로
실험하고 있는데요.
실험에 쓰는
영장류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런 자원을
국산화하기 위한 연구기관이
정읍에 들어섰습니다.
이종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국에서 들여온
붉은 털 원숭입니다.
생체 구조와 신경 반응이
인간과 가장 유사해
재생 의학과 뇌 연구,
백신 개발 실험에
활용됩니다.
하지만
전량 수입하는 탓에
안정적인 공급이 어렵습니다.
>>>>> 화면전환 <<<<<
[이펙트1](커팅)
'영장류 자원지원센터'가
정읍에 문을 열었습니다.
원숭이 3천 마리를 키울 수 있는
사육 시설과 검역 시설을 갖췄습니다.
앞으로
대량 번식 체계를 연구해
오는 2025년에는
국내 영장류 수요량의
50퍼센트를 생산해
국내 관련 연구기관에
공급할 계획입니다.
김지수[인터뷰]
/영장류 자원지원센터장
"현재 590마리를 보유하고 있고요. 2025년까지 3천 마리를 보유할 예정이고, 그 3천 마리를 이용해서 국내 산학연에 보급할 예정입니다."
난치병 신약 개발을 비롯해
바이오와 생명공학 등 전략 산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유진섭/정읍시장[인터뷰]
"이곳의 연구 결과에 따라서 수입 대체 효과도 있고 국산화를 높임으로 해서 정읍 기업 경제에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영장류 지원센터가
인류의 무병장수 꿈을 앞당기는
핵심 연구시설로 거듭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임상시험 전에
사람과 가까운 영장류를 대상으로
실험하고 있는데요.
실험에 쓰는
영장류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런 자원을
국산화하기 위한 연구기관이
정읍에 들어섰습니다.
이종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국에서 들여온
붉은 털 원숭입니다.
생체 구조와 신경 반응이
인간과 가장 유사해
재생 의학과 뇌 연구,
백신 개발 실험에
활용됩니다.
하지만
전량 수입하는 탓에
안정적인 공급이 어렵습니다.
>>>>> 화면전환 <<<<<
[이펙트1](커팅)
'영장류 자원지원센터'가
정읍에 문을 열었습니다.
원숭이 3천 마리를 키울 수 있는
사육 시설과 검역 시설을 갖췄습니다.
앞으로
대량 번식 체계를 연구해
오는 2025년에는
국내 영장류 수요량의
50퍼센트를 생산해
국내 관련 연구기관에
공급할 계획입니다.
김지수[인터뷰]
/영장류 자원지원센터장
"현재 590마리를 보유하고 있고요. 2025년까지 3천 마리를 보유할 예정이고, 그 3천 마리를 이용해서 국내 산학연에 보급할 예정입니다."
난치병 신약 개발을 비롯해
바이오와 생명공학 등 전략 산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유진섭/정읍시장[인터뷰]
"이곳의 연구 결과에 따라서 수입 대체 효과도 있고 국산화를 높임으로 해서 정읍 기업 경제에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영장류 지원센터가
인류의 무병장수 꿈을 앞당기는
핵심 연구시설로 거듭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장류 지원센터 정읍에 준공
-
- 입력 2018-11-06 21:09:14
- 수정2018-11-07 15:11:58

[앵커멘트]
임상시험 전에
사람과 가까운 영장류를 대상으로
실험하고 있는데요.
실험에 쓰는
영장류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런 자원을
국산화하기 위한 연구기관이
정읍에 들어섰습니다.
이종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국에서 들여온
붉은 털 원숭입니다.
생체 구조와 신경 반응이
인간과 가장 유사해
재생 의학과 뇌 연구,
백신 개발 실험에
활용됩니다.
하지만
전량 수입하는 탓에
안정적인 공급이 어렵습니다.
>>>>> 화면전환 <<<<<
[이펙트1](커팅)
'영장류 자원지원센터'가
정읍에 문을 열었습니다.
원숭이 3천 마리를 키울 수 있는
사육 시설과 검역 시설을 갖췄습니다.
앞으로
대량 번식 체계를 연구해
오는 2025년에는
국내 영장류 수요량의
50퍼센트를 생산해
국내 관련 연구기관에
공급할 계획입니다.
김지수[인터뷰]
/영장류 자원지원센터장
"현재 590마리를 보유하고 있고요. 2025년까지 3천 마리를 보유할 예정이고, 그 3천 마리를 이용해서 국내 산학연에 보급할 예정입니다."
난치병 신약 개발을 비롯해
바이오와 생명공학 등 전략 산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유진섭/정읍시장[인터뷰]
"이곳의 연구 결과에 따라서 수입 대체 효과도 있고 국산화를 높임으로 해서 정읍 기업 경제에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영장류 지원센터가
인류의 무병장수 꿈을 앞당기는
핵심 연구시설로 거듭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
-
이종완 기자 rheejw@kbs.co.kr
이종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