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원으로 내몰린 중장년…실태는?

입력 2018.11.10 (07:30) 수정 2018.11.10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고시원이나 찜질방처럼 주택이 아닌 곳에 사는 가구는 37만이 넘는데요,

이 가운데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이 63%를 차지합니다.

또 주거 취약층의 월평균 소득은 2백만 원 미만인데요,

이들에 대한 맞춤형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오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불이 난 곳에서 2km 정도 떨어진 고시원, 10여 년 전 지어진 이곳이 67살 김 모 씨의 거처입니다.

공사장 일을 하다 다친 뒤 지금은 종일 이곳에서 시간을 보냅니다.

노령연금 20만 원으로 방값을 내고 나면 남는 게 없는 곤궁한 생활, 다른 방엔 누가 사는지 모릅니다.

[고시원 거주자/음성변조 : "밖에서 담배 안 피우는 사람들은 교류가 없어요. 그냥 서로 말도 안 하고 그러는데요. ((위급할 때) 고시원 안에서 도움받을 수 있는 분 있어요?) 여기서는 없어요, 여기서는 아예."]

화재 소식이 더 불안하게 느껴졌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스프링클러가 있는 줄 알았더니 없네, 이거 얘기를 해야 되겠네."]

인근의 또 다른 고시원, 좁은 통로를 따라가니 한 사람 겨우 누울 공간에서 80대 어르신이 5년째 살고 있습니다.

[고시원 거주/음성변조 : "침대가 있는데, 침대가 오히려 불편해. 지금 내 나이가 85인데 일을 지금 더 해야 되느냐, 말아야 되느냐..."]

그나마 이곳은 화재에 대비한 스프링클러 설치 공사가 한창입니다.

전국 만 천여 개의 고시원에 사는 가구 수만 15만.

전체 고시원의 80%는 수도권에 몰려 있는데, 주거 취약 계층이 늘어나는 것을 반영하듯 고시원은 7년 새 약 2배가 늘었습니다.

[최은영/한국도시연구소장 : "(주거 취약층) 숫자는 증가하고 있는데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다 보니까 굉장히 잔여적으로 취급되는 거죠. 인권을 지키면서 살 수 있는 건지 아닌지를 정부가 실태조사를 하고..."]

고시원이나 쪽방처럼 주택이 아닌 곳에 사는 주거 취약층에 대한 정부 차원의 실태조사는 최근에서야 처음 진행됐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시원으로 내몰린 중장년…실태는?
    • 입력 2018-11-10 07:35:52
    • 수정2018-11-10 07:57:57
    뉴스광장
[앵커]

고시원이나 찜질방처럼 주택이 아닌 곳에 사는 가구는 37만이 넘는데요,

이 가운데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이 63%를 차지합니다.

또 주거 취약층의 월평균 소득은 2백만 원 미만인데요,

이들에 대한 맞춤형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오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불이 난 곳에서 2km 정도 떨어진 고시원, 10여 년 전 지어진 이곳이 67살 김 모 씨의 거처입니다.

공사장 일을 하다 다친 뒤 지금은 종일 이곳에서 시간을 보냅니다.

노령연금 20만 원으로 방값을 내고 나면 남는 게 없는 곤궁한 생활, 다른 방엔 누가 사는지 모릅니다.

[고시원 거주자/음성변조 : "밖에서 담배 안 피우는 사람들은 교류가 없어요. 그냥 서로 말도 안 하고 그러는데요. ((위급할 때) 고시원 안에서 도움받을 수 있는 분 있어요?) 여기서는 없어요, 여기서는 아예."]

화재 소식이 더 불안하게 느껴졌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스프링클러가 있는 줄 알았더니 없네, 이거 얘기를 해야 되겠네."]

인근의 또 다른 고시원, 좁은 통로를 따라가니 한 사람 겨우 누울 공간에서 80대 어르신이 5년째 살고 있습니다.

[고시원 거주/음성변조 : "침대가 있는데, 침대가 오히려 불편해. 지금 내 나이가 85인데 일을 지금 더 해야 되느냐, 말아야 되느냐..."]

그나마 이곳은 화재에 대비한 스프링클러 설치 공사가 한창입니다.

전국 만 천여 개의 고시원에 사는 가구 수만 15만.

전체 고시원의 80%는 수도권에 몰려 있는데, 주거 취약 계층이 늘어나는 것을 반영하듯 고시원은 7년 새 약 2배가 늘었습니다.

[최은영/한국도시연구소장 : "(주거 취약층) 숫자는 증가하고 있는데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다 보니까 굉장히 잔여적으로 취급되는 거죠. 인권을 지키면서 살 수 있는 건지 아닌지를 정부가 실태조사를 하고..."]

고시원이나 쪽방처럼 주택이 아닌 곳에 사는 주거 취약층에 대한 정부 차원의 실태조사는 최근에서야 처음 진행됐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