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한 컷] 난장판 된 ‘학생인권조례’ 토론회
입력 2018.11.20 (23:28)
수정 2018.11.20 (23: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경남에서 열린 학생인권조례 토론회..
보시다시피 난장판이 됐습니다.
"학생인권조례가 교사와 학생간의 질서를 무너뜨리고 사회를 병들게 할 것"이라며 보수단체 회원들이 토론회를 막아선 겁니다.
인권은 사람이면 당연히 누려야할 천부적인 권립니다.
학생이라고 해서 예외일 수 없습니다.
'학생인권'이란 말이 왜 생겨났는지부터 어른들이 고민해야 하는 건 아닐까요?
뉴스라인 마치겠습니다.
편안한 밤 보내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보시다시피 난장판이 됐습니다.
"학생인권조례가 교사와 학생간의 질서를 무너뜨리고 사회를 병들게 할 것"이라며 보수단체 회원들이 토론회를 막아선 겁니다.
인권은 사람이면 당연히 누려야할 천부적인 권립니다.
학생이라고 해서 예외일 수 없습니다.
'학생인권'이란 말이 왜 생겨났는지부터 어른들이 고민해야 하는 건 아닐까요?
뉴스라인 마치겠습니다.
편안한 밤 보내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늘의 한 컷] 난장판 된 ‘학생인권조례’ 토론회
-
- 입력 2018-11-20 23:29:15
- 수정2018-11-20 23:59:24

오늘 경남에서 열린 학생인권조례 토론회..
보시다시피 난장판이 됐습니다.
"학생인권조례가 교사와 학생간의 질서를 무너뜨리고 사회를 병들게 할 것"이라며 보수단체 회원들이 토론회를 막아선 겁니다.
인권은 사람이면 당연히 누려야할 천부적인 권립니다.
학생이라고 해서 예외일 수 없습니다.
'학생인권'이란 말이 왜 생겨났는지부터 어른들이 고민해야 하는 건 아닐까요?
뉴스라인 마치겠습니다.
편안한 밤 보내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보시다시피 난장판이 됐습니다.
"학생인권조례가 교사와 학생간의 질서를 무너뜨리고 사회를 병들게 할 것"이라며 보수단체 회원들이 토론회를 막아선 겁니다.
인권은 사람이면 당연히 누려야할 천부적인 권립니다.
학생이라고 해서 예외일 수 없습니다.
'학생인권'이란 말이 왜 생겨났는지부터 어른들이 고민해야 하는 건 아닐까요?
뉴스라인 마치겠습니다.
편안한 밤 보내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