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88.5%, 기업경영 위해 공동·협업 사업 필요”
입력 2018.11.22 (16:12)
수정 2018.11.22 (16: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이 공동·협업사업이 기업 경영에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대상 분야로는 마케팅, 구매, 기술개발 등을 희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공동·협업사업이란 중소기업들이 개별로 이룰 수 없는 경영활동을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수행해 경제적 효과를 도모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7~9월 1천 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공동·협업사업 정책지원을 위한 의견조사'를 한 결과 88.5%가 공동·협업 사업이 기업 경영에 꼭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매우 필요'라는 응답이 41.2%였고, '다소 필요'가 47.3%였습니다.
공동·협업사업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공동·협업사업이 필요한 분야로 마케팅과 구매, 기술개발 등을 꼽았습니다.
중기중앙회는 "필요분야로 마케팅과 기술개발이 높게 나타난 것은 중소기업의 낮은 영업이익률과 전문인력을 채용할 수 없는 결과로 인한 수요"라며 "해당 분야의 공동·협업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했습니다.
공동·협업사업 애로사항은 사업자금 확보와 참여업체 간 이해관계 조정, 사업 성공의 불확신으로 인한 참여저조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기중앙회는 "애로사항으로 사업자금 확보가 많은 것은 정부의 협업 지원자금 확대, 자금지원 완화 등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며 "참여업체 간 이해관계 조정이 높게 나타난 것은 협업 추진 주체, 참여기업 간 '이익배분'에 관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풀이했습니다.
이원섭 중기중앙회 회원지원본부장은 "대다수 중소기업은 공동·협업사업을 참여를 희망하고 있어 공동·협업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등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며 "공동·협업사업의 활성화는 중소기업의 성장은 물론 최근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기업 경영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공동·협업사업이란 중소기업들이 개별로 이룰 수 없는 경영활동을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수행해 경제적 효과를 도모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7~9월 1천 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공동·협업사업 정책지원을 위한 의견조사'를 한 결과 88.5%가 공동·협업 사업이 기업 경영에 꼭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매우 필요'라는 응답이 41.2%였고, '다소 필요'가 47.3%였습니다.
공동·협업사업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공동·협업사업이 필요한 분야로 마케팅과 구매, 기술개발 등을 꼽았습니다.
중기중앙회는 "필요분야로 마케팅과 기술개발이 높게 나타난 것은 중소기업의 낮은 영업이익률과 전문인력을 채용할 수 없는 결과로 인한 수요"라며 "해당 분야의 공동·협업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했습니다.
공동·협업사업 애로사항은 사업자금 확보와 참여업체 간 이해관계 조정, 사업 성공의 불확신으로 인한 참여저조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기중앙회는 "애로사항으로 사업자금 확보가 많은 것은 정부의 협업 지원자금 확대, 자금지원 완화 등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며 "참여업체 간 이해관계 조정이 높게 나타난 것은 협업 추진 주체, 참여기업 간 '이익배분'에 관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풀이했습니다.
이원섭 중기중앙회 회원지원본부장은 "대다수 중소기업은 공동·협업사업을 참여를 희망하고 있어 공동·협업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등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며 "공동·협업사업의 활성화는 중소기업의 성장은 물론 최근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기업 경영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소기업 88.5%, 기업경영 위해 공동·협업 사업 필요”
-
- 입력 2018-11-22 16:12:31
- 수정2018-11-22 16:17:13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이 공동·협업사업이 기업 경영에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대상 분야로는 마케팅, 구매, 기술개발 등을 희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공동·협업사업이란 중소기업들이 개별로 이룰 수 없는 경영활동을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수행해 경제적 효과를 도모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7~9월 1천 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공동·협업사업 정책지원을 위한 의견조사'를 한 결과 88.5%가 공동·협업 사업이 기업 경영에 꼭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매우 필요'라는 응답이 41.2%였고, '다소 필요'가 47.3%였습니다.
공동·협업사업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공동·협업사업이 필요한 분야로 마케팅과 구매, 기술개발 등을 꼽았습니다.
중기중앙회는 "필요분야로 마케팅과 기술개발이 높게 나타난 것은 중소기업의 낮은 영업이익률과 전문인력을 채용할 수 없는 결과로 인한 수요"라며 "해당 분야의 공동·협업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했습니다.
공동·협업사업 애로사항은 사업자금 확보와 참여업체 간 이해관계 조정, 사업 성공의 불확신으로 인한 참여저조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기중앙회는 "애로사항으로 사업자금 확보가 많은 것은 정부의 협업 지원자금 확대, 자금지원 완화 등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며 "참여업체 간 이해관계 조정이 높게 나타난 것은 협업 추진 주체, 참여기업 간 '이익배분'에 관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풀이했습니다.
이원섭 중기중앙회 회원지원본부장은 "대다수 중소기업은 공동·협업사업을 참여를 희망하고 있어 공동·협업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등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며 "공동·협업사업의 활성화는 중소기업의 성장은 물론 최근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기업 경영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공동·협업사업이란 중소기업들이 개별로 이룰 수 없는 경영활동을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수행해 경제적 효과를 도모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7~9월 1천 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공동·협업사업 정책지원을 위한 의견조사'를 한 결과 88.5%가 공동·협업 사업이 기업 경영에 꼭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매우 필요'라는 응답이 41.2%였고, '다소 필요'가 47.3%였습니다.
공동·협업사업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공동·협업사업이 필요한 분야로 마케팅과 구매, 기술개발 등을 꼽았습니다.
중기중앙회는 "필요분야로 마케팅과 기술개발이 높게 나타난 것은 중소기업의 낮은 영업이익률과 전문인력을 채용할 수 없는 결과로 인한 수요"라며 "해당 분야의 공동·협업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했습니다.
공동·협업사업 애로사항은 사업자금 확보와 참여업체 간 이해관계 조정, 사업 성공의 불확신으로 인한 참여저조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기중앙회는 "애로사항으로 사업자금 확보가 많은 것은 정부의 협업 지원자금 확대, 자금지원 완화 등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며 "참여업체 간 이해관계 조정이 높게 나타난 것은 협업 추진 주체, 참여기업 간 '이익배분'에 관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풀이했습니다.
이원섭 중기중앙회 회원지원본부장은 "대다수 중소기업은 공동·협업사업을 참여를 희망하고 있어 공동·협업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등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며 "공동·협업사업의 활성화는 중소기업의 성장은 물론 최근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기업 경영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수연 기자 kbsksy@kbs.co.kr
김수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