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기상이변 밀착 감시할 ‘천리안 2A호’ 내일 발사

입력 2018.12.04 (18:02) 수정 2018.12.04 (18: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의 두 번째 정지궤도 기상위성인 '천리안 2A호'가 내일 발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기존의 천리안 1호보다 해상도가 4배 정도 향상돼 기상이변을 실시간 감시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남미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신방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조립동의 문이 열리고 거대한 로켓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유럽의 '아리안-5' 발사체로 우리나라의 두 번째 정지궤도 기상위성인 '천리안 2A호'가 실려있습니다.

발사대까지 거리는 3.5km, 국내에서는 로켓을 눕혀서 이송하는 것과 달리 기립 상태로 옮겨집니다.

기상 상황만 양호하다면 우리 시간으로 내일 오전 5시 37분부터 발사가 예정돼있습니다.

[프레드릭 파킨/아리안스페이스 발사 담당 매니저 : "발사를 위해 최선을 다했고 모든 과정이 신뢰도 높게 진행됐기 때문에 성공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내 기술로 처음 개발한 천리안 2A호는 2010년 발사된 천리안 1호보다 해상도는 4배, 관측 주기는 10분으로 3배 더 빨라졌습니다.

[최재동/항공우주연구원 정지궤도복합위성사업단장 : "전송속도가 18배 빨라져 관측된 영상을 거의 실시간으로 지상에 내려보낼 수 있기 때문에 기상예보의 정확도를 좀 더 높일 수 있을 거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지성 호우 관측과 자주 엇나갔던 태풍 진로 예보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위성은 발사 40분 뒤 첫 관문인 호주 지상국과 교신에 성공해야 하고, 6개월여 초기 운영을 거친 뒤 내년 7월부터 기상 예보에 활용됩니다.

천리안 1호에 이어서 한반도 상공의 기상을 밀착 감시할 천리안 2A 호는 내일 이곳 발사대에서 우주로 향하게 됩니다.

남미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반도 기상이변 밀착 감시할 ‘천리안 2A호’ 내일 발사
    • 입력 2018-12-04 18:05:07
    • 수정2018-12-04 18:12:03
    통합뉴스룸ET
[앵커]

우리나라의 두 번째 정지궤도 기상위성인 '천리안 2A호'가 내일 발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기존의 천리안 1호보다 해상도가 4배 정도 향상돼 기상이변을 실시간 감시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남미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신방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조립동의 문이 열리고 거대한 로켓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유럽의 '아리안-5' 발사체로 우리나라의 두 번째 정지궤도 기상위성인 '천리안 2A호'가 실려있습니다.

발사대까지 거리는 3.5km, 국내에서는 로켓을 눕혀서 이송하는 것과 달리 기립 상태로 옮겨집니다.

기상 상황만 양호하다면 우리 시간으로 내일 오전 5시 37분부터 발사가 예정돼있습니다.

[프레드릭 파킨/아리안스페이스 발사 담당 매니저 : "발사를 위해 최선을 다했고 모든 과정이 신뢰도 높게 진행됐기 때문에 성공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내 기술로 처음 개발한 천리안 2A호는 2010년 발사된 천리안 1호보다 해상도는 4배, 관측 주기는 10분으로 3배 더 빨라졌습니다.

[최재동/항공우주연구원 정지궤도복합위성사업단장 : "전송속도가 18배 빨라져 관측된 영상을 거의 실시간으로 지상에 내려보낼 수 있기 때문에 기상예보의 정확도를 좀 더 높일 수 있을 거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지성 호우 관측과 자주 엇나갔던 태풍 진로 예보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위성은 발사 40분 뒤 첫 관문인 호주 지상국과 교신에 성공해야 하고, 6개월여 초기 운영을 거친 뒤 내년 7월부터 기상 예보에 활용됩니다.

천리안 1호에 이어서 한반도 상공의 기상을 밀착 감시할 천리안 2A 호는 내일 이곳 발사대에서 우주로 향하게 됩니다.

남미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