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멘 정부·반군 ‘호데이다’ 휴전 합의…내전 종식 물꼬
입력 2018.12.14 (06:22)
수정 2018.12.14 (08: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악의 인도주의 위기를 낳으며 4년째 내전을 이어오던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이 접전지 호데이다 항구도시에서 휴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내전 종식의 물꼬가 트일까 기대되고 있습니다.
김형덕 특파원이 전합니다.
[리포트]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 측이 내전 개시 4년 만에 처음으로 악수를 나눕니다.
일주일간의 평화회담 끝에 양측은 항구도시 호데이다에서 휴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유엔 사무총장 : "구호품 전달 등 인도적 접근이 원활해져 예멘 민간인 수백만 명의 생활 형편이 나아질 것입니다."]
예멘으로 들어오는 구호물자의 70% 이상이 호데이다 항을 거칩니다.
이번 휴전 합의로 구호품 보급로가 열리면 최악의 인도주의적 위기는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군과 반군 병력 모두 호데이다 항과 시내에서 철수하면 유엔이 휴전 감시 역할을 맡기로 했습니다.
3년 전 후티 반군이 호데이다를 장악했고, 정부군과 사우디 주도 아랍동맹군이 지난 6월부터 탈환 작전을 벌여 격렬한 전투가 이어지며 인명피해가 속출했습니다.
앞서 양측은 포로 만 5천 명을 교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유엔은 내년 1월 말 2차 평화협상이 열린다고 전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김형덕입니다.
최악의 인도주의 위기를 낳으며 4년째 내전을 이어오던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이 접전지 호데이다 항구도시에서 휴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내전 종식의 물꼬가 트일까 기대되고 있습니다.
김형덕 특파원이 전합니다.
[리포트]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 측이 내전 개시 4년 만에 처음으로 악수를 나눕니다.
일주일간의 평화회담 끝에 양측은 항구도시 호데이다에서 휴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유엔 사무총장 : "구호품 전달 등 인도적 접근이 원활해져 예멘 민간인 수백만 명의 생활 형편이 나아질 것입니다."]
예멘으로 들어오는 구호물자의 70% 이상이 호데이다 항을 거칩니다.
이번 휴전 합의로 구호품 보급로가 열리면 최악의 인도주의적 위기는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군과 반군 병력 모두 호데이다 항과 시내에서 철수하면 유엔이 휴전 감시 역할을 맡기로 했습니다.
3년 전 후티 반군이 호데이다를 장악했고, 정부군과 사우디 주도 아랍동맹군이 지난 6월부터 탈환 작전을 벌여 격렬한 전투가 이어지며 인명피해가 속출했습니다.
앞서 양측은 포로 만 5천 명을 교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유엔은 내년 1월 말 2차 평화협상이 열린다고 전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김형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예멘 정부·반군 ‘호데이다’ 휴전 합의…내전 종식 물꼬
-
- 입력 2018-12-14 06:23:30
- 수정2018-12-14 08:31:30

[앵커]
최악의 인도주의 위기를 낳으며 4년째 내전을 이어오던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이 접전지 호데이다 항구도시에서 휴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내전 종식의 물꼬가 트일까 기대되고 있습니다.
김형덕 특파원이 전합니다.
[리포트]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 측이 내전 개시 4년 만에 처음으로 악수를 나눕니다.
일주일간의 평화회담 끝에 양측은 항구도시 호데이다에서 휴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유엔 사무총장 : "구호품 전달 등 인도적 접근이 원활해져 예멘 민간인 수백만 명의 생활 형편이 나아질 것입니다."]
예멘으로 들어오는 구호물자의 70% 이상이 호데이다 항을 거칩니다.
이번 휴전 합의로 구호품 보급로가 열리면 최악의 인도주의적 위기는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군과 반군 병력 모두 호데이다 항과 시내에서 철수하면 유엔이 휴전 감시 역할을 맡기로 했습니다.
3년 전 후티 반군이 호데이다를 장악했고, 정부군과 사우디 주도 아랍동맹군이 지난 6월부터 탈환 작전을 벌여 격렬한 전투가 이어지며 인명피해가 속출했습니다.
앞서 양측은 포로 만 5천 명을 교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유엔은 내년 1월 말 2차 평화협상이 열린다고 전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김형덕입니다.
최악의 인도주의 위기를 낳으며 4년째 내전을 이어오던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이 접전지 호데이다 항구도시에서 휴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내전 종식의 물꼬가 트일까 기대되고 있습니다.
김형덕 특파원이 전합니다.
[리포트]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 측이 내전 개시 4년 만에 처음으로 악수를 나눕니다.
일주일간의 평화회담 끝에 양측은 항구도시 호데이다에서 휴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유엔 사무총장 : "구호품 전달 등 인도적 접근이 원활해져 예멘 민간인 수백만 명의 생활 형편이 나아질 것입니다."]
예멘으로 들어오는 구호물자의 70% 이상이 호데이다 항을 거칩니다.
이번 휴전 합의로 구호품 보급로가 열리면 최악의 인도주의적 위기는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군과 반군 병력 모두 호데이다 항과 시내에서 철수하면 유엔이 휴전 감시 역할을 맡기로 했습니다.
3년 전 후티 반군이 호데이다를 장악했고, 정부군과 사우디 주도 아랍동맹군이 지난 6월부터 탈환 작전을 벌여 격렬한 전투가 이어지며 인명피해가 속출했습니다.
앞서 양측은 포로 만 5천 명을 교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유엔은 내년 1월 말 2차 평화협상이 열린다고 전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김형덕입니다.
-
-
김형덕 기자 hdkim@kbs.co.kr
김형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