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균씨 유족 “과실 숨기려 현장훼손…우리 아들 살려달라”
입력 2018.12.14 (17:04)
수정 2018.12.14 (18: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업무 중 사망한 김용균 씨의 유족 등이 서부발전이 과실을 숨기려 현장을 훼손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태안화력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 사고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 시민대책위원회'는 오늘(14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서부발전이 물적 증거를 없애기 위해 사고 현장을 물청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어제(13일) 현장조사를 벌인 대책위는 컨베이어 벨트를 멈출 수 있는 '풀코드 스위치'(정지 스위치)가 느슨해져 있었는데, 사측에서 텐션을 조정해 팽팽하게 만들었다며, 서부발전의 과실이 될 수 있는 물적증거를 삭제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대책위는 고용노동부 보령지청이 태안발전소에 내린 부분작업중지명령도 잘못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부분작업중지명령은 원자력 발전소처럼 작업이 중지됐을 때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중대한 피해가 있을 경우에만 내릴 수 있는데, 태안발전소는 그런 경우가 아니라 전면작업중지명령을 내렸어야 함에도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대책위는 또 김 씨가 소속된 정비업체인 한국발전기술의 안전사고보고서에는 시간 순서에 따라 사고를 당한 김 씨를 찾는 과장과 상황을 서술한 것일 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왜 김 씨의 신체 일부가 말려 들어가는 사고가 발생한 것인지 등 이유가 담겨있지 않다며, 책임회피를 위해 사고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대책위는 김 씨가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상한 소음을 듣고 머리와 몸을 집어넣어 이상 유무를 파악하다가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에 벨트와 머리가 빨려 들어가 사망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씨의 어머니는 "위험한데도 안전줄도 못 당기고, 그렇다고 잡아줄 사람도 없고, 이건 말이 안 된다"며 "그런 기업에 모르고 보냈다. 알고는 절대 보내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런 기업이 없었으면 좋겠다"며 "우리 아들 잡아먹은 회사가 또 다른 사람을 잡아먹을 수 있지 않겠나. 우리 아들처럼 되는 걸 원치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씨의 아버지는 "불쌍한 우리 아들을 살려달라"며 "우리 아들을 이렇게 죽음으로 몰아낸 사람들을 구속수사를 해서 한을 풀어달라"고 말했습니다.
대책위는 내일(15일) 오후 7시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촛불집회 및 문화제를 열고 '죽음의 외주화'를 중단할 것을 촉구할 계획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에게 비정규직 노동자들과의 면담을 요구하면서 오는 20일까지 답변을 받지 못할 경우 21일부터 광화문 광장에서 촛불집회를 연다는 방침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태안화력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 사고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 시민대책위원회'는 오늘(14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서부발전이 물적 증거를 없애기 위해 사고 현장을 물청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어제(13일) 현장조사를 벌인 대책위는 컨베이어 벨트를 멈출 수 있는 '풀코드 스위치'(정지 스위치)가 느슨해져 있었는데, 사측에서 텐션을 조정해 팽팽하게 만들었다며, 서부발전의 과실이 될 수 있는 물적증거를 삭제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대책위는 고용노동부 보령지청이 태안발전소에 내린 부분작업중지명령도 잘못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부분작업중지명령은 원자력 발전소처럼 작업이 중지됐을 때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중대한 피해가 있을 경우에만 내릴 수 있는데, 태안발전소는 그런 경우가 아니라 전면작업중지명령을 내렸어야 함에도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대책위는 또 김 씨가 소속된 정비업체인 한국발전기술의 안전사고보고서에는 시간 순서에 따라 사고를 당한 김 씨를 찾는 과장과 상황을 서술한 것일 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왜 김 씨의 신체 일부가 말려 들어가는 사고가 발생한 것인지 등 이유가 담겨있지 않다며, 책임회피를 위해 사고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대책위는 김 씨가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상한 소음을 듣고 머리와 몸을 집어넣어 이상 유무를 파악하다가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에 벨트와 머리가 빨려 들어가 사망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씨의 어머니는 "위험한데도 안전줄도 못 당기고, 그렇다고 잡아줄 사람도 없고, 이건 말이 안 된다"며 "그런 기업에 모르고 보냈다. 알고는 절대 보내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런 기업이 없었으면 좋겠다"며 "우리 아들 잡아먹은 회사가 또 다른 사람을 잡아먹을 수 있지 않겠나. 우리 아들처럼 되는 걸 원치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씨의 아버지는 "불쌍한 우리 아들을 살려달라"며 "우리 아들을 이렇게 죽음으로 몰아낸 사람들을 구속수사를 해서 한을 풀어달라"고 말했습니다.
대책위는 내일(15일) 오후 7시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촛불집회 및 문화제를 열고 '죽음의 외주화'를 중단할 것을 촉구할 계획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에게 비정규직 노동자들과의 면담을 요구하면서 오는 20일까지 답변을 받지 못할 경우 21일부터 광화문 광장에서 촛불집회를 연다는 방침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용균씨 유족 “과실 숨기려 현장훼손…우리 아들 살려달라”
-
- 입력 2018-12-14 17:04:28
- 수정2018-12-14 18:56:02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업무 중 사망한 김용균 씨의 유족 등이 서부발전이 과실을 숨기려 현장을 훼손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태안화력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 사고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 시민대책위원회'는 오늘(14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서부발전이 물적 증거를 없애기 위해 사고 현장을 물청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어제(13일) 현장조사를 벌인 대책위는 컨베이어 벨트를 멈출 수 있는 '풀코드 스위치'(정지 스위치)가 느슨해져 있었는데, 사측에서 텐션을 조정해 팽팽하게 만들었다며, 서부발전의 과실이 될 수 있는 물적증거를 삭제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대책위는 고용노동부 보령지청이 태안발전소에 내린 부분작업중지명령도 잘못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부분작업중지명령은 원자력 발전소처럼 작업이 중지됐을 때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중대한 피해가 있을 경우에만 내릴 수 있는데, 태안발전소는 그런 경우가 아니라 전면작업중지명령을 내렸어야 함에도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대책위는 또 김 씨가 소속된 정비업체인 한국발전기술의 안전사고보고서에는 시간 순서에 따라 사고를 당한 김 씨를 찾는 과장과 상황을 서술한 것일 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왜 김 씨의 신체 일부가 말려 들어가는 사고가 발생한 것인지 등 이유가 담겨있지 않다며, 책임회피를 위해 사고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대책위는 김 씨가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상한 소음을 듣고 머리와 몸을 집어넣어 이상 유무를 파악하다가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에 벨트와 머리가 빨려 들어가 사망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씨의 어머니는 "위험한데도 안전줄도 못 당기고, 그렇다고 잡아줄 사람도 없고, 이건 말이 안 된다"며 "그런 기업에 모르고 보냈다. 알고는 절대 보내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런 기업이 없었으면 좋겠다"며 "우리 아들 잡아먹은 회사가 또 다른 사람을 잡아먹을 수 있지 않겠나. 우리 아들처럼 되는 걸 원치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씨의 아버지는 "불쌍한 우리 아들을 살려달라"며 "우리 아들을 이렇게 죽음으로 몰아낸 사람들을 구속수사를 해서 한을 풀어달라"고 말했습니다.
대책위는 내일(15일) 오후 7시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촛불집회 및 문화제를 열고 '죽음의 외주화'를 중단할 것을 촉구할 계획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에게 비정규직 노동자들과의 면담을 요구하면서 오는 20일까지 답변을 받지 못할 경우 21일부터 광화문 광장에서 촛불집회를 연다는 방침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태안화력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 사고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 시민대책위원회'는 오늘(14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서부발전이 물적 증거를 없애기 위해 사고 현장을 물청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어제(13일) 현장조사를 벌인 대책위는 컨베이어 벨트를 멈출 수 있는 '풀코드 스위치'(정지 스위치)가 느슨해져 있었는데, 사측에서 텐션을 조정해 팽팽하게 만들었다며, 서부발전의 과실이 될 수 있는 물적증거를 삭제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대책위는 고용노동부 보령지청이 태안발전소에 내린 부분작업중지명령도 잘못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부분작업중지명령은 원자력 발전소처럼 작업이 중지됐을 때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중대한 피해가 있을 경우에만 내릴 수 있는데, 태안발전소는 그런 경우가 아니라 전면작업중지명령을 내렸어야 함에도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대책위는 또 김 씨가 소속된 정비업체인 한국발전기술의 안전사고보고서에는 시간 순서에 따라 사고를 당한 김 씨를 찾는 과장과 상황을 서술한 것일 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왜 김 씨의 신체 일부가 말려 들어가는 사고가 발생한 것인지 등 이유가 담겨있지 않다며, 책임회피를 위해 사고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대책위는 김 씨가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상한 소음을 듣고 머리와 몸을 집어넣어 이상 유무를 파악하다가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에 벨트와 머리가 빨려 들어가 사망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씨의 어머니는 "위험한데도 안전줄도 못 당기고, 그렇다고 잡아줄 사람도 없고, 이건 말이 안 된다"며 "그런 기업에 모르고 보냈다. 알고는 절대 보내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런 기업이 없었으면 좋겠다"며 "우리 아들 잡아먹은 회사가 또 다른 사람을 잡아먹을 수 있지 않겠나. 우리 아들처럼 되는 걸 원치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씨의 아버지는 "불쌍한 우리 아들을 살려달라"며 "우리 아들을 이렇게 죽음으로 몰아낸 사람들을 구속수사를 해서 한을 풀어달라"고 말했습니다.
대책위는 내일(15일) 오후 7시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촛불집회 및 문화제를 열고 '죽음의 외주화'를 중단할 것을 촉구할 계획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에게 비정규직 노동자들과의 면담을 요구하면서 오는 20일까지 답변을 받지 못할 경우 21일부터 광화문 광장에서 촛불집회를 연다는 방침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오현태 기자 highfive@kbs.co.kr
오현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