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나눔 버스 체험…"나도 방송인"
입력 2018.12.14 (23:10)
수정 2018.12.17 (08: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뉴스 등
방송 프로그램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지역민들도 체험할 수 있는
'미디어 나눔 버스'가
창원의 한 중학교를 찾았습니다.
그 현장에
이대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이동 뉴스 차량이
학교 운동장에 도착했습니다.
스튜디오에 빨간불이 들어오자,
진지한 표정의 앵커가
방송 시작을 알립니다.
"오늘 행복뉴스는 역사와 전통의 마산 중학교에서 진행합니다."
현장 사진이 합성된
블루스크린 앞에 선 학생들은
진짜 리포터나 기상 캐스터가 된 듯
생생한 상황을 전합니다.
방송 콘솔이나 카메라를
잡고 있는 이들도 중학생들입니다.
졸업을 앞둔
이 중학교 3학년 160명 전원이
방송 제작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인터뷰]최재원/창원 마산중학교 3학년
"집에서 TV를 볼 때 뉴스가 나오잖아요. 이렇게 만들어지는 거 체험하다 보니까 신기하기도 하고..."
교실에서는 가상 현실,
VR 체험이 한창입니다.
가장 큰 인기를 끈 건
최근 방송 제작에 필수로
꼽히는 드론 교육입니다.
추락하고 부딪히기를 수차례,
하지만 한 시간도 안 돼
학생들은 능숙한 실력을 뽐냅니다.
[인터뷰]김태림/창원 마산중학교 3학년
"드론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들어보니까 어떻게 움직이는지 어떻게 (방송에) 쓰이게 되는지 더 잘 알게 됐고..."{PIP}
시청자 미디어 재단은
방송 제작 현장을 직접 체험하기 힘든
지역민들을 위해 '미디어 나눔 버스'
전국 순회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정순영/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시청자사업팀장
"전국 곳곳에 있는 방송분야의 진로 체험을 할 기회를 주려고 합니다. 관련 분야의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올해 미디어 나눔 버스를
체험한 경남 도민은 700여 명,
내년에는 미디어 접근성이 낮은
농어촌 지역까지 확대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대완입니다.
뉴스 등
방송 프로그램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지역민들도 체험할 수 있는
'미디어 나눔 버스'가
창원의 한 중학교를 찾았습니다.
그 현장에
이대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이동 뉴스 차량이
학교 운동장에 도착했습니다.
스튜디오에 빨간불이 들어오자,
진지한 표정의 앵커가
방송 시작을 알립니다.
"오늘 행복뉴스는 역사와 전통의 마산 중학교에서 진행합니다."
현장 사진이 합성된
블루스크린 앞에 선 학생들은
진짜 리포터나 기상 캐스터가 된 듯
생생한 상황을 전합니다.
방송 콘솔이나 카메라를
잡고 있는 이들도 중학생들입니다.
졸업을 앞둔
이 중학교 3학년 160명 전원이
방송 제작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인터뷰]최재원/창원 마산중학교 3학년
"집에서 TV를 볼 때 뉴스가 나오잖아요. 이렇게 만들어지는 거 체험하다 보니까 신기하기도 하고..."
교실에서는 가상 현실,
VR 체험이 한창입니다.
가장 큰 인기를 끈 건
최근 방송 제작에 필수로
꼽히는 드론 교육입니다.
추락하고 부딪히기를 수차례,
하지만 한 시간도 안 돼
학생들은 능숙한 실력을 뽐냅니다.
[인터뷰]김태림/창원 마산중학교 3학년
"드론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들어보니까 어떻게 움직이는지 어떻게 (방송에) 쓰이게 되는지 더 잘 알게 됐고..."{PIP}
시청자 미디어 재단은
방송 제작 현장을 직접 체험하기 힘든
지역민들을 위해 '미디어 나눔 버스'
전국 순회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정순영/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시청자사업팀장
"전국 곳곳에 있는 방송분야의 진로 체험을 할 기회를 주려고 합니다. 관련 분야의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올해 미디어 나눔 버스를
체험한 경남 도민은 700여 명,
내년에는 미디어 접근성이 낮은
농어촌 지역까지 확대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대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디어 나눔 버스 체험…"나도 방송인"
-
- 입력 2018-12-14 23:10:48
- 수정2018-12-17 08:53:37
[앵커멘트]
뉴스 등
방송 프로그램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지역민들도 체험할 수 있는
'미디어 나눔 버스'가
창원의 한 중학교를 찾았습니다.
그 현장에
이대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이동 뉴스 차량이
학교 운동장에 도착했습니다.
스튜디오에 빨간불이 들어오자,
진지한 표정의 앵커가
방송 시작을 알립니다.
"오늘 행복뉴스는 역사와 전통의 마산 중학교에서 진행합니다."
현장 사진이 합성된
블루스크린 앞에 선 학생들은
진짜 리포터나 기상 캐스터가 된 듯
생생한 상황을 전합니다.
방송 콘솔이나 카메라를
잡고 있는 이들도 중학생들입니다.
졸업을 앞둔
이 중학교 3학년 160명 전원이
방송 제작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인터뷰]최재원/창원 마산중학교 3학년
"집에서 TV를 볼 때 뉴스가 나오잖아요. 이렇게 만들어지는 거 체험하다 보니까 신기하기도 하고..."
교실에서는 가상 현실,
VR 체험이 한창입니다.
가장 큰 인기를 끈 건
최근 방송 제작에 필수로
꼽히는 드론 교육입니다.
추락하고 부딪히기를 수차례,
하지만 한 시간도 안 돼
학생들은 능숙한 실력을 뽐냅니다.
[인터뷰]김태림/창원 마산중학교 3학년
"드론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들어보니까 어떻게 움직이는지 어떻게 (방송에) 쓰이게 되는지 더 잘 알게 됐고..."{PIP}
시청자 미디어 재단은
방송 제작 현장을 직접 체험하기 힘든
지역민들을 위해 '미디어 나눔 버스'
전국 순회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정순영/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시청자사업팀장
"전국 곳곳에 있는 방송분야의 진로 체험을 할 기회를 주려고 합니다. 관련 분야의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올해 미디어 나눔 버스를
체험한 경남 도민은 700여 명,
내년에는 미디어 접근성이 낮은
농어촌 지역까지 확대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대완입니다.
-
-
이대완 기자 bigbowl@kbs.co.kr
이대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