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현대기아차 상대 집단소송…“엔진결함으로 車화재 위험”

입력 2018.12.15 (15:20) 수정 2018.12.15 (15: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현대·기아자동차 차주들이 여러 차종의 엔진 결함으로 심각한 화재 위험에 노출됐다며 집단소송을 냈다고 dpa통신이 14일(현지시간) 법률회사 헤이건스 버먼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들은 소장에서 "현대와 기아는 고객들에게 엔진 결함을 적극적으로 감췄을 뿐 아니라 그 결함이 심각한 안전 위험을 제기한다는 점을 밝히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 10월 미국 비영리 소비자단체인 자동차안전센터는 앞서 4개월간 거의 하루 한 건꼴로 현대·기아차 차량의 비충돌 화재 보고가 있었다면서 차량 290만 대에 대한 즉각적인 리콜이 필요하다고 촉구했습니다.

이와 관련된 차종은 2011∼2014년식 기아차 소렌토와 옵티마, 현대차 소나타와 산타페, 2010∼2015년식 기아차 쏘울입니다.

이번 집단소송을 대리하는 헤이건스 버먼은 앞서 폴크스바겐의 배출가스 사태 때 소비자 소송을 맡았고, 제너럴 모터스와 도요타와 관련한 사건도 맡아 상당량의 보상금을 얻어낸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서 현대기아차 상대 집단소송…“엔진결함으로 車화재 위험”
    • 입력 2018-12-15 15:20:30
    • 수정2018-12-15 15:22:00
    국제
미국에서 현대·기아자동차 차주들이 여러 차종의 엔진 결함으로 심각한 화재 위험에 노출됐다며 집단소송을 냈다고 dpa통신이 14일(현지시간) 법률회사 헤이건스 버먼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들은 소장에서 "현대와 기아는 고객들에게 엔진 결함을 적극적으로 감췄을 뿐 아니라 그 결함이 심각한 안전 위험을 제기한다는 점을 밝히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 10월 미국 비영리 소비자단체인 자동차안전센터는 앞서 4개월간 거의 하루 한 건꼴로 현대·기아차 차량의 비충돌 화재 보고가 있었다면서 차량 290만 대에 대한 즉각적인 리콜이 필요하다고 촉구했습니다.

이와 관련된 차종은 2011∼2014년식 기아차 소렌토와 옵티마, 현대차 소나타와 산타페, 2010∼2015년식 기아차 쏘울입니다.

이번 집단소송을 대리하는 헤이건스 버먼은 앞서 폴크스바겐의 배출가스 사태 때 소비자 소송을 맡았고, 제너럴 모터스와 도요타와 관련한 사건도 맡아 상당량의 보상금을 얻어낸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