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한 속 두만강변 北 마을…월동 준비 분주
입력 2018.12.17 (06:31)
수정 2018.12.17 (18: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두만강변 북중 접경 지역은 영하 20도를 넘나드는 혹한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월동 준비로 분주한 북한 군인과 주민들 모습이 KBS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김명주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두만강 너머 함경북도 남양 시내.
겨울철 동물 사료로 쓸 볏짚을 마을 주민들이 정리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친구들과 뛰어 놀다가도 도끼를 들고 땔감용 장작을 만들어야 합니다.
두만강변의 북한군 경비병들.
삼삼오오 불을 피워놓고 꽁꽁 언 몸을 잠시라도 녹여봅니다.
동네 꼬마들은 영하 20도 혹한에도 딱지놀이에 푹 빠졌습니다.
지난 2016년 말 착공된 투먼대교.
제 뒤로 투먼대교는 다리 상판이 완전히 연결된 모습입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방중 이후 북중 관계가 개선되면서 공사 속도도 빨라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르면 내년 상반기 완공될 가능성이 높지만, 대북제재가 완화된 뒤에야 다리가 개통될 전망입니다.
두만강 상류 쪽 허룽에서 북중 접경으로 가는 길.
중국 변경수비대가 곳곳에서 외국인 접근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강 건너편은 북한 최대 철광인 무산 광산입니다.
대북제재로 중국 수출길이 막히면서 만여 명의 광산 노동자들이 사실상 실업자 신세가 됐습니다.
철광석을 실어나르던 열차도 크레인도 멈춰선지 오랩니다.
[북중 접경 소식통/음성변조 : "철광에 일이 끊기면서 사람이 줄고 무인 도시처럼 변한 것 같아요. 수출이 안되니까 경제가 돌지 않아서 그렇게 된 거죠."]
극심한 식량난에 대북제재 여파까지.
두만강변 북한 주민들은 그 어느 때보다 혹독한 겨울을 나고 있습니다.
북중 접경에서 KBS 뉴스 김명주입니다.
요즘 두만강변 북중 접경 지역은 영하 20도를 넘나드는 혹한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월동 준비로 분주한 북한 군인과 주민들 모습이 KBS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김명주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두만강 너머 함경북도 남양 시내.
겨울철 동물 사료로 쓸 볏짚을 마을 주민들이 정리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친구들과 뛰어 놀다가도 도끼를 들고 땔감용 장작을 만들어야 합니다.
두만강변의 북한군 경비병들.
삼삼오오 불을 피워놓고 꽁꽁 언 몸을 잠시라도 녹여봅니다.
동네 꼬마들은 영하 20도 혹한에도 딱지놀이에 푹 빠졌습니다.
지난 2016년 말 착공된 투먼대교.
제 뒤로 투먼대교는 다리 상판이 완전히 연결된 모습입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방중 이후 북중 관계가 개선되면서 공사 속도도 빨라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르면 내년 상반기 완공될 가능성이 높지만, 대북제재가 완화된 뒤에야 다리가 개통될 전망입니다.
두만강 상류 쪽 허룽에서 북중 접경으로 가는 길.
중국 변경수비대가 곳곳에서 외국인 접근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강 건너편은 북한 최대 철광인 무산 광산입니다.
대북제재로 중국 수출길이 막히면서 만여 명의 광산 노동자들이 사실상 실업자 신세가 됐습니다.
철광석을 실어나르던 열차도 크레인도 멈춰선지 오랩니다.
[북중 접경 소식통/음성변조 : "철광에 일이 끊기면서 사람이 줄고 무인 도시처럼 변한 것 같아요. 수출이 안되니까 경제가 돌지 않아서 그렇게 된 거죠."]
극심한 식량난에 대북제재 여파까지.
두만강변 북한 주민들은 그 어느 때보다 혹독한 겨울을 나고 있습니다.
북중 접경에서 KBS 뉴스 김명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혹한 속 두만강변 北 마을…월동 준비 분주
-
- 입력 2018-12-17 06:33:17
- 수정2018-12-17 18:41:57

[앵커]
요즘 두만강변 북중 접경 지역은 영하 20도를 넘나드는 혹한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월동 준비로 분주한 북한 군인과 주민들 모습이 KBS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김명주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두만강 너머 함경북도 남양 시내.
겨울철 동물 사료로 쓸 볏짚을 마을 주민들이 정리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친구들과 뛰어 놀다가도 도끼를 들고 땔감용 장작을 만들어야 합니다.
두만강변의 북한군 경비병들.
삼삼오오 불을 피워놓고 꽁꽁 언 몸을 잠시라도 녹여봅니다.
동네 꼬마들은 영하 20도 혹한에도 딱지놀이에 푹 빠졌습니다.
지난 2016년 말 착공된 투먼대교.
제 뒤로 투먼대교는 다리 상판이 완전히 연결된 모습입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방중 이후 북중 관계가 개선되면서 공사 속도도 빨라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르면 내년 상반기 완공될 가능성이 높지만, 대북제재가 완화된 뒤에야 다리가 개통될 전망입니다.
두만강 상류 쪽 허룽에서 북중 접경으로 가는 길.
중국 변경수비대가 곳곳에서 외국인 접근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강 건너편은 북한 최대 철광인 무산 광산입니다.
대북제재로 중국 수출길이 막히면서 만여 명의 광산 노동자들이 사실상 실업자 신세가 됐습니다.
철광석을 실어나르던 열차도 크레인도 멈춰선지 오랩니다.
[북중 접경 소식통/음성변조 : "철광에 일이 끊기면서 사람이 줄고 무인 도시처럼 변한 것 같아요. 수출이 안되니까 경제가 돌지 않아서 그렇게 된 거죠."]
극심한 식량난에 대북제재 여파까지.
두만강변 북한 주민들은 그 어느 때보다 혹독한 겨울을 나고 있습니다.
북중 접경에서 KBS 뉴스 김명주입니다.
요즘 두만강변 북중 접경 지역은 영하 20도를 넘나드는 혹한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월동 준비로 분주한 북한 군인과 주민들 모습이 KBS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김명주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두만강 너머 함경북도 남양 시내.
겨울철 동물 사료로 쓸 볏짚을 마을 주민들이 정리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친구들과 뛰어 놀다가도 도끼를 들고 땔감용 장작을 만들어야 합니다.
두만강변의 북한군 경비병들.
삼삼오오 불을 피워놓고 꽁꽁 언 몸을 잠시라도 녹여봅니다.
동네 꼬마들은 영하 20도 혹한에도 딱지놀이에 푹 빠졌습니다.
지난 2016년 말 착공된 투먼대교.
제 뒤로 투먼대교는 다리 상판이 완전히 연결된 모습입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방중 이후 북중 관계가 개선되면서 공사 속도도 빨라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르면 내년 상반기 완공될 가능성이 높지만, 대북제재가 완화된 뒤에야 다리가 개통될 전망입니다.
두만강 상류 쪽 허룽에서 북중 접경으로 가는 길.
중국 변경수비대가 곳곳에서 외국인 접근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강 건너편은 북한 최대 철광인 무산 광산입니다.
대북제재로 중국 수출길이 막히면서 만여 명의 광산 노동자들이 사실상 실업자 신세가 됐습니다.
철광석을 실어나르던 열차도 크레인도 멈춰선지 오랩니다.
[북중 접경 소식통/음성변조 : "철광에 일이 끊기면서 사람이 줄고 무인 도시처럼 변한 것 같아요. 수출이 안되니까 경제가 돌지 않아서 그렇게 된 거죠."]
극심한 식량난에 대북제재 여파까지.
두만강변 북한 주민들은 그 어느 때보다 혹독한 겨울을 나고 있습니다.
북중 접경에서 KBS 뉴스 김명주입니다.
-
-
김명주 기자 silk@kbs.co.kr
김명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