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리로 알고 비누 ‘꿀꺽’…‘닮은 꼴 제품’ 어린이 삼킴 주의!

입력 2018.12.27 (18:14) 수정 2018.12.27 (18: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시중에서 과자나 아이스크림 모양 용기에 담아놓은 화장품을 종종 찾아볼 수 있는데요.

실제 음식과 구별이 힘들 정도로 정교하게 만들어진 것도 많아 아이들이 먹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석민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초코파이처럼 생긴 핸드크림, 머핀 모양 향초.

어린 아이들이 입으로 가져가기 쉬운 물건들입니다.

실제로 세살배기 아이가 비누를 젤리인 줄 알고 먹어 신고한 사례도 있습니다.

[김OO/'비누 삼킴' 피해자 : "젤리 모양으로 생겨서 아이가 먹고 싶다고 해서 먹으라고 했는데 너무 맵다고 애가 울고, 그래서 저도 이걸 먹어 봤는데 먹고 나서 제가 비누인 걸 알았어요."]

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 판매 중인 생활용품 중에 음식이나 장난감과 똑같이 생긴 제품 70여 개를 공개했습니다.

[이지우/경기도 남양주시 : "실제 과일 모양이랑 너무 비슷하게 생겨서 아기들같은 경우에는 먹을 수 있을 것 같은데 조금 위험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소비자원에 접수되는 생활화학제품 어린이 안전 사고 가운데, 80% 이상은 '삼킴' 사고입니다.

유럽에서는 식품이나 장난감을 모방한 제품은 판매가 금지돼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가스라이터 외에는 별다른 제재가 없습니다.

어린이 손에 닿지 않게 보관하도록 주의 표시를 한 제품은 절반도 되지 않았고, 먹지 말라는 경고 표시 제품도 다섯 개 중 한 개꼴에 불과했습니다.

표시가 있더라도 알아보기 힘들게 작은 크기로 적은 게 대부분이었습니다.

[신국범/한국소비자원 제품안전팀장 : "소관부처에는 식품이나 장난감 등을 모방한 제품의 유통을 규제할 수 있는 규정 마련을 건의할 계획입니다."]

소비자원은 해당 제품을 만든 업체들에 주의사항 표시 개선을 권고하고, 소비자들의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석민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젤리로 알고 비누 ‘꿀꺽’…‘닮은 꼴 제품’ 어린이 삼킴 주의!
    • 입력 2018-12-27 18:16:16
    • 수정2018-12-27 18:24:21
    통합뉴스룸ET
[앵커]

요즘 시중에서 과자나 아이스크림 모양 용기에 담아놓은 화장품을 종종 찾아볼 수 있는데요.

실제 음식과 구별이 힘들 정도로 정교하게 만들어진 것도 많아 아이들이 먹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석민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초코파이처럼 생긴 핸드크림, 머핀 모양 향초.

어린 아이들이 입으로 가져가기 쉬운 물건들입니다.

실제로 세살배기 아이가 비누를 젤리인 줄 알고 먹어 신고한 사례도 있습니다.

[김OO/'비누 삼킴' 피해자 : "젤리 모양으로 생겨서 아이가 먹고 싶다고 해서 먹으라고 했는데 너무 맵다고 애가 울고, 그래서 저도 이걸 먹어 봤는데 먹고 나서 제가 비누인 걸 알았어요."]

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 판매 중인 생활용품 중에 음식이나 장난감과 똑같이 생긴 제품 70여 개를 공개했습니다.

[이지우/경기도 남양주시 : "실제 과일 모양이랑 너무 비슷하게 생겨서 아기들같은 경우에는 먹을 수 있을 것 같은데 조금 위험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소비자원에 접수되는 생활화학제품 어린이 안전 사고 가운데, 80% 이상은 '삼킴' 사고입니다.

유럽에서는 식품이나 장난감을 모방한 제품은 판매가 금지돼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가스라이터 외에는 별다른 제재가 없습니다.

어린이 손에 닿지 않게 보관하도록 주의 표시를 한 제품은 절반도 되지 않았고, 먹지 말라는 경고 표시 제품도 다섯 개 중 한 개꼴에 불과했습니다.

표시가 있더라도 알아보기 힘들게 작은 크기로 적은 게 대부분이었습니다.

[신국범/한국소비자원 제품안전팀장 : "소관부처에는 식품이나 장난감 등을 모방한 제품의 유통을 규제할 수 있는 규정 마련을 건의할 계획입니다."]

소비자원은 해당 제품을 만든 업체들에 주의사항 표시 개선을 권고하고, 소비자들의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석민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