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7개 중 4개 구·군 조정대상지역 해제
입력 2018.12.28 (17:30)
수정 2018.12.31 (09: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투기 과열 우려로 청약조정대상지역에 포함됐던 부산 7개 구·군 가운데 부산진구 등 4곳이 조정대상에서 해제됐습니다.
최근 집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어 해제 이유가 충분하다는 건데요.
무주택자들의 청약 기회가 줄어드는 등 투기 불씨를 다시 살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최지영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이번 발표로 청약조정대상지역에서 풀린 곳은 부산진구와 남구, 연제구, 기장군 일광면 등 모두 4곳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집값 변동률과 지역 개발 가능성 등을 종합해 보면 해당 지역은 해제 이유가 충분하다는 입장입니다.
실제로 주택 가격은 올 들어 지난달까지 연제구가 1.20%, 부산진구 1.16%, 기장군 0.94%, 남구는 0.64%가 각각 떨어지는 등
조정지역 모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동래구는 청약 경쟁률이 높다는 이유로, 해운대구와 수영구는 예상 준공 물량이 적어 과열이 우려된다며 청약조정대상지역을 유지했습니다.
지역 건설업계는 숨통은 좀 트였지만, 침체한 지역 부동산 시장을 반전시키기엔 역부족이라는 반응입니다.
[인터뷰]김종탁/부산주택건설협회 회장
"사실 공급 물량이 적으면 오히려 공급 물량을 늘려서 활성화시켜야 할 부분인데 (3개 구를) 계속 묶어놓는 건 이해하기 힘들다."
하지만 한쪽에선 우려도 여전합니다.
특히 청약조정대상 해제 지역에서 무주택자 우선 물량이 75%에서 40% 이하로 크게 떨어져 내 집 마련의 청약 기회가 줄어듭니다.
또 투기 불씨를 되살릴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강정규/동의대 재무부동산학과 교수
"이번 조치로 분양권 전매제한이 일부 완화되는 규정이 있기 때문에 그동안 단기 매매차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다시 투자에 나설 경우 일부 지역이긴 하지만 과거와 같은 투기적인 행태도 나타날 수 있어..'
이 때문에 강력한 세금·대출 규제는 풀더라도 분양권 전매제한을 유지하거나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뉴스 최지영입니다.
투기 과열 우려로 청약조정대상지역에 포함됐던 부산 7개 구·군 가운데 부산진구 등 4곳이 조정대상에서 해제됐습니다.
최근 집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어 해제 이유가 충분하다는 건데요.
무주택자들의 청약 기회가 줄어드는 등 투기 불씨를 다시 살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최지영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이번 발표로 청약조정대상지역에서 풀린 곳은 부산진구와 남구, 연제구, 기장군 일광면 등 모두 4곳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집값 변동률과 지역 개발 가능성 등을 종합해 보면 해당 지역은 해제 이유가 충분하다는 입장입니다.
실제로 주택 가격은 올 들어 지난달까지 연제구가 1.20%, 부산진구 1.16%, 기장군 0.94%, 남구는 0.64%가 각각 떨어지는 등
조정지역 모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동래구는 청약 경쟁률이 높다는 이유로, 해운대구와 수영구는 예상 준공 물량이 적어 과열이 우려된다며 청약조정대상지역을 유지했습니다.
지역 건설업계는 숨통은 좀 트였지만, 침체한 지역 부동산 시장을 반전시키기엔 역부족이라는 반응입니다.
[인터뷰]김종탁/부산주택건설협회 회장
"사실 공급 물량이 적으면 오히려 공급 물량을 늘려서 활성화시켜야 할 부분인데 (3개 구를) 계속 묶어놓는 건 이해하기 힘들다."
하지만 한쪽에선 우려도 여전합니다.
특히 청약조정대상 해제 지역에서 무주택자 우선 물량이 75%에서 40% 이하로 크게 떨어져 내 집 마련의 청약 기회가 줄어듭니다.
또 투기 불씨를 되살릴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강정규/동의대 재무부동산학과 교수
"이번 조치로 분양권 전매제한이 일부 완화되는 규정이 있기 때문에 그동안 단기 매매차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다시 투자에 나설 경우 일부 지역이긴 하지만 과거와 같은 투기적인 행태도 나타날 수 있어..'
이 때문에 강력한 세금·대출 규제는 풀더라도 분양권 전매제한을 유지하거나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뉴스 최지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 7개 중 4개 구·군 조정대상지역 해제
-
- 입력 2018-12-29 00:16:11
- 수정2018-12-31 09:14:00

[앵커멘트]
투기 과열 우려로 청약조정대상지역에 포함됐던 부산 7개 구·군 가운데 부산진구 등 4곳이 조정대상에서 해제됐습니다.
최근 집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어 해제 이유가 충분하다는 건데요.
무주택자들의 청약 기회가 줄어드는 등 투기 불씨를 다시 살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최지영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이번 발표로 청약조정대상지역에서 풀린 곳은 부산진구와 남구, 연제구, 기장군 일광면 등 모두 4곳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집값 변동률과 지역 개발 가능성 등을 종합해 보면 해당 지역은 해제 이유가 충분하다는 입장입니다.
실제로 주택 가격은 올 들어 지난달까지 연제구가 1.20%, 부산진구 1.16%, 기장군 0.94%, 남구는 0.64%가 각각 떨어지는 등
조정지역 모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동래구는 청약 경쟁률이 높다는 이유로, 해운대구와 수영구는 예상 준공 물량이 적어 과열이 우려된다며 청약조정대상지역을 유지했습니다.
지역 건설업계는 숨통은 좀 트였지만, 침체한 지역 부동산 시장을 반전시키기엔 역부족이라는 반응입니다.
[인터뷰]김종탁/부산주택건설협회 회장
"사실 공급 물량이 적으면 오히려 공급 물량을 늘려서 활성화시켜야 할 부분인데 (3개 구를) 계속 묶어놓는 건 이해하기 힘들다."
하지만 한쪽에선 우려도 여전합니다.
특히 청약조정대상 해제 지역에서 무주택자 우선 물량이 75%에서 40% 이하로 크게 떨어져 내 집 마련의 청약 기회가 줄어듭니다.
또 투기 불씨를 되살릴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강정규/동의대 재무부동산학과 교수
"이번 조치로 분양권 전매제한이 일부 완화되는 규정이 있기 때문에 그동안 단기 매매차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다시 투자에 나설 경우 일부 지역이긴 하지만 과거와 같은 투기적인 행태도 나타날 수 있어..'
이 때문에 강력한 세금·대출 규제는 풀더라도 분양권 전매제한을 유지하거나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뉴스 최지영입니다.
-
-
최지영 기자 lifeis79@kbs.co.kr
최지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