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7개 중 4개 구·군 조정대상지역 해제

입력 2018.12.28 (17:30) 수정 2018.12.31 (09: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투기 과열 우려로 청약조정대상지역에 포함됐던 부산 7개 구·군 가운데 부산진구 등 4곳이 조정대상에서 해제됐습니다.

최근 집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어 해제 이유가 충분하다는 건데요.

무주택자들의 청약 기회가 줄어드는 등 투기 불씨를 다시 살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최지영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이번 발표로 청약조정대상지역에서 풀린 곳은 부산진구와 남구, 연제구, 기장군 일광면 등 모두 4곳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집값 변동률과 지역 개발 가능성 등을 종합해 보면 해당 지역은 해제 이유가 충분하다는 입장입니다.

실제로 주택 가격은 올 들어 지난달까지 연제구가 1.20%, 부산진구 1.16%, 기장군 0.94%, 남구는 0.64%가 각각 떨어지는 등
조정지역 모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동래구는 청약 경쟁률이 높다는 이유로, 해운대구와 수영구는 예상 준공 물량이 적어 과열이 우려된다며 청약조정대상지역을 유지했습니다.

지역 건설업계는 숨통은 좀 트였지만, 침체한 지역 부동산 시장을 반전시키기엔 역부족이라는 반응입니다.

[인터뷰]김종탁/부산주택건설협회 회장
"사실 공급 물량이 적으면 오히려 공급 물량을 늘려서 활성화시켜야 할 부분인데 (3개 구를) 계속 묶어놓는 건 이해하기 힘들다."

하지만 한쪽에선 우려도 여전합니다.

특히 청약조정대상 해제 지역에서 무주택자 우선 물량이 75%에서 40% 이하로 크게 떨어져 내 집 마련의 청약 기회가 줄어듭니다.

또 투기 불씨를 되살릴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강정규/동의대 재무부동산학과 교수
"이번 조치로 분양권 전매제한이 일부 완화되는 규정이 있기 때문에 그동안 단기 매매차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다시 투자에 나설 경우 일부 지역이긴 하지만 과거와 같은 투기적인 행태도 나타날 수 있어..'

이 때문에 강력한 세금·대출 규제는 풀더라도 분양권 전매제한을 유지하거나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뉴스 최지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 7개 중 4개 구·군 조정대상지역 해제
    • 입력 2018-12-29 00:16:11
    • 수정2018-12-31 09:14:00
    뉴스9(부산)
[앵커멘트] 투기 과열 우려로 청약조정대상지역에 포함됐던 부산 7개 구·군 가운데 부산진구 등 4곳이 조정대상에서 해제됐습니다. 최근 집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어 해제 이유가 충분하다는 건데요. 무주택자들의 청약 기회가 줄어드는 등 투기 불씨를 다시 살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최지영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이번 발표로 청약조정대상지역에서 풀린 곳은 부산진구와 남구, 연제구, 기장군 일광면 등 모두 4곳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집값 변동률과 지역 개발 가능성 등을 종합해 보면 해당 지역은 해제 이유가 충분하다는 입장입니다. 실제로 주택 가격은 올 들어 지난달까지 연제구가 1.20%, 부산진구 1.16%, 기장군 0.94%, 남구는 0.64%가 각각 떨어지는 등 조정지역 모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동래구는 청약 경쟁률이 높다는 이유로, 해운대구와 수영구는 예상 준공 물량이 적어 과열이 우려된다며 청약조정대상지역을 유지했습니다. 지역 건설업계는 숨통은 좀 트였지만, 침체한 지역 부동산 시장을 반전시키기엔 역부족이라는 반응입니다. [인터뷰]김종탁/부산주택건설협회 회장 "사실 공급 물량이 적으면 오히려 공급 물량을 늘려서 활성화시켜야 할 부분인데 (3개 구를) 계속 묶어놓는 건 이해하기 힘들다." 하지만 한쪽에선 우려도 여전합니다. 특히 청약조정대상 해제 지역에서 무주택자 우선 물량이 75%에서 40% 이하로 크게 떨어져 내 집 마련의 청약 기회가 줄어듭니다. 또 투기 불씨를 되살릴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강정규/동의대 재무부동산학과 교수 "이번 조치로 분양권 전매제한이 일부 완화되는 규정이 있기 때문에 그동안 단기 매매차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다시 투자에 나설 경우 일부 지역이긴 하지만 과거와 같은 투기적인 행태도 나타날 수 있어..' 이 때문에 강력한 세금·대출 규제는 풀더라도 분양권 전매제한을 유지하거나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뉴스 최지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