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작품이 된 ‘변기’…17점의 샘이 예술을 묻다

입력 2019.01.05 (21:28) 수정 2019.01.05 (21: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술 교과서에서 한 번쯤 보고 강렬한 인상을 받았을 작품, 바로 마르셀 뒤샹의 '샘' 입니다.

100여년 전 발상의 전환으로 현대미술의 한 획을 그은 이 작품이 지금은 세계적으로 17점이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이 가운데 한 점이 우리나라에 왔습니다.

유동엽 기자와 함께 보시죠.

[리포트]

가로세로 50㎝ 남짓한 작은 남성용 소변기.

한 켠에는 알 무트(R. Mutt)라는 이름과 1917년이라 서명했습니다.

작품명 '샘'.

발표 당시 큰 논란을 일으키며, 진보적인 전시회에서조차 거부당했습니다.

[엘리자베스 카울링/영국 에든버러대 명예교수 : "기존의 미술계를 공격하며, 철물점에서 구입한 제품을 조각품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했습니다."]

1917년의 원작은 감쪽같이 사라지고, 사진만 남았습니다.

뒤늦게 작품의 혁신성이 인정받으면서 전시 요청이 쇄도하자, 뒤샹은 비슷한 작품 17개를 새로 만들었습니다.

복제된 작품이지만 그 역시 진품입니다.

물감을 사서 쓰듯 공장에서 만든 제품도 작품이 될 수 있다는 뒤샹의 시도는 팝아트로 이어져, 앤디 워홀처럼 아예 기계로 찍어낸 인쇄물도 예술 작품으로 인정받으며 현대미술의 중요한 흐름을 만듭니다.

[이지회/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 "시각적인 예술에서 아이디어를 전면으로 내세우는 그런 개념적인 미술로, 그런 방식의 예술이 오늘날 존재하게 된 것 그것이 뒤샹 때문이라고 할 수도 있죠."]

2006년에는 한 프랑스 남성이 '샘'을 망치로 내리칩니다.

관습을 깨트린 뒤샹처럼 자신도 망치로 '새로운 작품'을 만들었다고 주장했지만, 결과는 벌금형이었습니다.

[피에르 피노셀리/작품 '샘' 파손 : "제가 그런 행위를 한 것은 뒤샹에 대한 오마주(존경의 표시)입니다. 기존 제도가 망쳐놓은 그의 작품에 진정한 가치를 되찾아주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파손하지 못하도록 유리장 속에서 관람객들을 만나는 샘.

남아있는 17점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품입니다.

예술은 무엇인가, 를 묻는 전시회.

뒤샹의 예술적 변화를 보여주는 회화 등 작품 150여 점도 만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예술작품이 된 ‘변기’…17점의 샘이 예술을 묻다
    • 입력 2019-01-05 21:31:52
    • 수정2019-01-05 21:45:15
    뉴스 9
[앵커]

미술 교과서에서 한 번쯤 보고 강렬한 인상을 받았을 작품, 바로 마르셀 뒤샹의 '샘' 입니다.

100여년 전 발상의 전환으로 현대미술의 한 획을 그은 이 작품이 지금은 세계적으로 17점이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이 가운데 한 점이 우리나라에 왔습니다.

유동엽 기자와 함께 보시죠.

[리포트]

가로세로 50㎝ 남짓한 작은 남성용 소변기.

한 켠에는 알 무트(R. Mutt)라는 이름과 1917년이라 서명했습니다.

작품명 '샘'.

발표 당시 큰 논란을 일으키며, 진보적인 전시회에서조차 거부당했습니다.

[엘리자베스 카울링/영국 에든버러대 명예교수 : "기존의 미술계를 공격하며, 철물점에서 구입한 제품을 조각품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했습니다."]

1917년의 원작은 감쪽같이 사라지고, 사진만 남았습니다.

뒤늦게 작품의 혁신성이 인정받으면서 전시 요청이 쇄도하자, 뒤샹은 비슷한 작품 17개를 새로 만들었습니다.

복제된 작품이지만 그 역시 진품입니다.

물감을 사서 쓰듯 공장에서 만든 제품도 작품이 될 수 있다는 뒤샹의 시도는 팝아트로 이어져, 앤디 워홀처럼 아예 기계로 찍어낸 인쇄물도 예술 작품으로 인정받으며 현대미술의 중요한 흐름을 만듭니다.

[이지회/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 "시각적인 예술에서 아이디어를 전면으로 내세우는 그런 개념적인 미술로, 그런 방식의 예술이 오늘날 존재하게 된 것 그것이 뒤샹 때문이라고 할 수도 있죠."]

2006년에는 한 프랑스 남성이 '샘'을 망치로 내리칩니다.

관습을 깨트린 뒤샹처럼 자신도 망치로 '새로운 작품'을 만들었다고 주장했지만, 결과는 벌금형이었습니다.

[피에르 피노셀리/작품 '샘' 파손 : "제가 그런 행위를 한 것은 뒤샹에 대한 오마주(존경의 표시)입니다. 기존 제도가 망쳐놓은 그의 작품에 진정한 가치를 되찾아주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파손하지 못하도록 유리장 속에서 관람객들을 만나는 샘.

남아있는 17점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품입니다.

예술은 무엇인가, 를 묻는 전시회.

뒤샹의 예술적 변화를 보여주는 회화 등 작품 150여 점도 만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