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믿을 생기부…교사 대신 학부모·사설업체가 작성

입력 2019.01.21 (06:39) 수정 2019.01.21 (08: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학교생활기록부는 학생의 학교생활 모습과 발달 상황을 교사들이 기록하는 문서입니다.

그런데 학생이나 학부모가 스스로 기록하는 이른바 '셀프 기재'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부실하게 쓰면 입시에서 불이익을 볼까 봐 돈을 주고 사설업체에 맡기는 학부모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서병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고등학생 자녀를 둔 윤 모 씨는 지난달 자녀의 학교생활기록부 때문에 골머리를 앓았습니다.

교사가 직접 쓰지 않고, 내용을 써오라고 요청했기 때문입니다.

[윤○○/학부모/음성변조 : "너무 힘든 정도가 아니고요. 잠도 못 자고 해요. 애가 딱 기말고사 끝나면 그때부터 엄마가 방학 전까지 엄마가 다시 입시를 하는 거예요."]

고교생 학부모들에겐 드물지 않은, 일종의 관행 같은 일입니다.

학생부는 수시전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차라리 대신 쓰는 걸 선호하는 학부모도 적지 않습니다.

한 시간에 수십만 원씩 내고 사설업체를 찾기도 합니다.

업체에서는 교과별 능력과 행동발달 등의 내용을 과장해 쓰도록 돕기까지 합니다.

[김○○/입시컨설턴트/음성변조 : "서류를 더 좋게 만들기 위해서 한마디로 가공을 좀 하고 싶어하시는거죠. 자기들이 했던 활동 이상으로 많은 것들을 쓰고 싶어 하는 거고..."]

교사들은 이런 편법이 어쩔 수 없다고 항변합니다.

수십 명에서 수백 명까지 학생들의 상황을 하나하나 기억해 쓰는 건 불가능하다는 겁니다.

사실보다 부풀려서 써와도 넘어가기 일쑤입니다.

[이○○/현직 교사/음성변조 : "너한테 도움이 되겠구나 해서 일종의 온정주의로 그냥 넘어가는 분위기죠. 왜 이렇게 썼냐면서 빼라 이렇게 말하는 경우는 별로 없는 것 같아요."]

원칙대로 교사가 직접, 사실 그대로를 기재할 수 있게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영식/좋은교사운동본부 공동대표 : "확인할 수 없는 학생의 개인활동에 대해서는 학생부에 기록하지 않는 걸 원칙으로 할 필요가 있고요. 학생들이 보인 성취들을 좀 체크리스트 방식으로 기록한다면 학생 간에 편차도 줄어들기도 하고..."]

교육부는 이른바 '학생부 셀프 기재'를 집중 점검하고 허위 기재 등에 대해서는 교사에게 불이익을 줄 계획입니다.

KBS 뉴스 서병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못 믿을 생기부…교사 대신 학부모·사설업체가 작성
    • 입력 2019-01-21 06:41:39
    • 수정2019-01-21 08:38:35
    뉴스광장 1부
[앵커]

학교생활기록부는 학생의 학교생활 모습과 발달 상황을 교사들이 기록하는 문서입니다.

그런데 학생이나 학부모가 스스로 기록하는 이른바 '셀프 기재'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부실하게 쓰면 입시에서 불이익을 볼까 봐 돈을 주고 사설업체에 맡기는 학부모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서병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고등학생 자녀를 둔 윤 모 씨는 지난달 자녀의 학교생활기록부 때문에 골머리를 앓았습니다.

교사가 직접 쓰지 않고, 내용을 써오라고 요청했기 때문입니다.

[윤○○/학부모/음성변조 : "너무 힘든 정도가 아니고요. 잠도 못 자고 해요. 애가 딱 기말고사 끝나면 그때부터 엄마가 방학 전까지 엄마가 다시 입시를 하는 거예요."]

고교생 학부모들에겐 드물지 않은, 일종의 관행 같은 일입니다.

학생부는 수시전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차라리 대신 쓰는 걸 선호하는 학부모도 적지 않습니다.

한 시간에 수십만 원씩 내고 사설업체를 찾기도 합니다.

업체에서는 교과별 능력과 행동발달 등의 내용을 과장해 쓰도록 돕기까지 합니다.

[김○○/입시컨설턴트/음성변조 : "서류를 더 좋게 만들기 위해서 한마디로 가공을 좀 하고 싶어하시는거죠. 자기들이 했던 활동 이상으로 많은 것들을 쓰고 싶어 하는 거고..."]

교사들은 이런 편법이 어쩔 수 없다고 항변합니다.

수십 명에서 수백 명까지 학생들의 상황을 하나하나 기억해 쓰는 건 불가능하다는 겁니다.

사실보다 부풀려서 써와도 넘어가기 일쑤입니다.

[이○○/현직 교사/음성변조 : "너한테 도움이 되겠구나 해서 일종의 온정주의로 그냥 넘어가는 분위기죠. 왜 이렇게 썼냐면서 빼라 이렇게 말하는 경우는 별로 없는 것 같아요."]

원칙대로 교사가 직접, 사실 그대로를 기재할 수 있게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영식/좋은교사운동본부 공동대표 : "확인할 수 없는 학생의 개인활동에 대해서는 학생부에 기록하지 않는 걸 원칙으로 할 필요가 있고요. 학생들이 보인 성취들을 좀 체크리스트 방식으로 기록한다면 학생 간에 편차도 줄어들기도 하고..."]

교육부는 이른바 '학생부 셀프 기재'를 집중 점검하고 허위 기재 등에 대해서는 교사에게 불이익을 줄 계획입니다.

KBS 뉴스 서병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