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크랩 시연회 있었다”…결정타는 텔레그램

입력 2019.01.31 (06:27) 수정 2019.01.31 (06: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특검과 김 지사 측이 치열한 공방을 거듭했던 이번 재판의 열쇠, 킹크랩 시연회였습니다.

김 지사가 이 시연회에 참석했고 댓글조작을 알고 있었는지 어떻게 입증되느냐의 문제였는데요, 재판부는 드루킹 일당이 사용했던 텔레그램 등 SNS 내용을 그 근거로 봤습니다.

재판부의 판단을 김민정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김 지사가 킹크랩을 알고 있었다는 드루킹, 김 지사는 말도 안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경수/경남지사/지난해 11월 23일 : "(김동원 씨는 킹크랩 전체에 대해서 아는사람이 김경수밖에 없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데?) 재판과정에서 보지 않으셨습니까? 실제로 그들의 주장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밝혀나가고 있는 과정입니다."]

최대 쟁점은 이른바 킹크랩 시연회, 2016년 11월 9일, 드루킹이 김 지사를 초청해 시연회를 가졌다는 겁니다.

재판부는 킹크랩을 통해 네이버에 접속한 로그기록을 토대로 드루킹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또다른 결정타는 경공모 회원들이 주고받은 텔레그램 메시지에서 나왔습니다.

드루킹과 김 지사가 주고 받은 보고 내용을 여기서 확인했다는 건데, 킹크랩이 98% 완성됐다, 작업 기사량이 300건을 돌파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는 겁니다.

이런 온라인 정보보고는 메신저 비밀 대화방을 통해 49차례나 이뤄졌고, 특히, 일부 보고에 대해서는 김 지사가 '고맙습니다'라고 답장을 했다고 재판부는 밝혔습니다.

재판부는 그러면서 경공모 회원들의 진술에 일부 거짓이 있을 수도 있지만 객관적 사실관계에 부합하는 진술은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지사가 텔레그램으로 11차례에 걸쳐 뉴스 기사를 전달한 점도, 댓글 조작을 주도한 정황으로 인정됐습니다.

김 지사가 기사의 인터넷 주소를 전달하면 드루킹은 처리하겠다고 답장을 한 뒤 다른 회원들에게 댓글 조작을 지시했다는 겁니다.

재판부는 댓글 조작으로 직접적 이익을 얻은건 김 지사였다며, 김 지사 허락 없이 경공모가 자발적으로 범행했을리 없다고 봤습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킹크랩 시연회 있었다”…결정타는 텔레그램
    • 입력 2019-01-31 06:27:34
    • 수정2019-01-31 06:33:15
    뉴스광장 1부
[앵커]

특검과 김 지사 측이 치열한 공방을 거듭했던 이번 재판의 열쇠, 킹크랩 시연회였습니다.

김 지사가 이 시연회에 참석했고 댓글조작을 알고 있었는지 어떻게 입증되느냐의 문제였는데요, 재판부는 드루킹 일당이 사용했던 텔레그램 등 SNS 내용을 그 근거로 봤습니다.

재판부의 판단을 김민정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김 지사가 킹크랩을 알고 있었다는 드루킹, 김 지사는 말도 안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경수/경남지사/지난해 11월 23일 : "(김동원 씨는 킹크랩 전체에 대해서 아는사람이 김경수밖에 없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데?) 재판과정에서 보지 않으셨습니까? 실제로 그들의 주장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밝혀나가고 있는 과정입니다."]

최대 쟁점은 이른바 킹크랩 시연회, 2016년 11월 9일, 드루킹이 김 지사를 초청해 시연회를 가졌다는 겁니다.

재판부는 킹크랩을 통해 네이버에 접속한 로그기록을 토대로 드루킹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또다른 결정타는 경공모 회원들이 주고받은 텔레그램 메시지에서 나왔습니다.

드루킹과 김 지사가 주고 받은 보고 내용을 여기서 확인했다는 건데, 킹크랩이 98% 완성됐다, 작업 기사량이 300건을 돌파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는 겁니다.

이런 온라인 정보보고는 메신저 비밀 대화방을 통해 49차례나 이뤄졌고, 특히, 일부 보고에 대해서는 김 지사가 '고맙습니다'라고 답장을 했다고 재판부는 밝혔습니다.

재판부는 그러면서 경공모 회원들의 진술에 일부 거짓이 있을 수도 있지만 객관적 사실관계에 부합하는 진술은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지사가 텔레그램으로 11차례에 걸쳐 뉴스 기사를 전달한 점도, 댓글 조작을 주도한 정황으로 인정됐습니다.

김 지사가 기사의 인터넷 주소를 전달하면 드루킹은 처리하겠다고 답장을 한 뒤 다른 회원들에게 댓글 조작을 지시했다는 겁니다.

재판부는 댓글 조작으로 직접적 이익을 얻은건 김 지사였다며, 김 지사 허락 없이 경공모가 자발적으로 범행했을리 없다고 봤습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