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로 보내는 졸업장…3년을 기다린 ‘명예 졸업식’
입력 2019.02.13 (12:39)
수정 2019.02.13 (12: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래 기다렸지만 맘껏 기뻐할 수 없는 졸업식이 있습니다.
바로 어제 경기도 안산 단원고에서 치러진 명예 졸업식.
5년전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학생 250명이 어제 졸업장을 받았는데요.
이 졸업장이 수여되기까지 그동안 많은 사연도 있었다고 합니다.
김병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설렘과 기대감으로 부풀어야할 졸업식장에 침통한 분위기가 가득합니다.
졸업생들이 있어야 할 자리에 꽃다발이 놓여있는가 하면, 학생증을 목에 건 가족이 대신 자리를 지키기도 했습니다.
["이영만, 최덕하."]
졸업장을 받을 학생들이 호명되자 곳곳에서 흐느끼는 소리가 터져 나옵니다.
어제 오전 열린 세월호 참사 희생 학생들의 명예 졸업식 현장인데요,
사고 당시 단원고 2학년이었던 250명의 이름이 한 명 한 명 호명됐습니다.
세월호 참사가 없었다면 3년 전인 2016년 졸업했어야 하는 학생들이었습니다.
[이희운/단원고 졸업생 : "오늘은 졸업을 축하한다는 말을 더하고 싶습니다. 그리 긴 시간은 아니었지만 선배님들과 함께 한 4계절은 든든하고 예뻤습니다."]
후배 학생들과 먼저 졸업장을 받은 친구들이 잊지 않고 찾아와 눈물 속에 자리를 지켰습니다.
[조현수/단원고 재학생 :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선배님들을 꼭 잊지 않겠습니다."]
지난 시간 서로를 다독이며 의지하고 힘을 냈던 유족들은 다시 한 번 서로 위로를 건네는데요.
[유경근/故 유예인 학생 아버지 : "별로 기분 안 좋아요. 예인이가 받아야 되는데…. 우리 엄마 아빠들이 우스갯소리로 그냥 하는 이야기가 '중졸일 뻔했는데 고졸 됐구나.'이러고 그냥 그래요."]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엄마가 대신 받기는 했지만 아이가 당당하게 받아야 할 졸업장인데…. 오늘 졸업했다고 안아주고 싶은데……."]
오래 기다렸지만 결코 기뻐할 수 없는 졸업식은 아이들이 없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홍영미/故 이재욱 학생 어머니 : "엄마지만 덤덤하긴 해요. 덤덤해요. 졸업은 진상 규명의 연결 선상에 있다고 보시면 되고 아직까지 왜 참사가 이렇게 일어났는지에 대한 원인이 밝혀지지도 않았고…."]
아이들의 학창시절 마지막 추억은 노란 보자기 안에 준비돼 있었는데요.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친구들하고 같이 찍은 사진, 중학교 때 여기 벚꽃 아래서 찍은 사진이에요."]
졸업 사진을 찍지 못했지만 반 아이들의 사진을 모아 정성스럽게 준비한 졸업 앨범.
당시 2학년 8반 안주현군의 어머니는 졸업앨범과 졸업장을 들고 아들을 찾아갔습니다.
[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잘 있었어. 주현이? 우리 주현이 이제 졸업했네. 엄마 곁에서 졸업했으면 얼마나 좋을까…."]
어린 나이에도 동생을 잘 챙기는 항상 믿음직스러웠던 아들.
세월이 흘렀다지만 가슴에 묻기엔 아직 아들의 부재가 실감이 나지 않습니다.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어엿한 대학생이 됐을 우리 주현이. 그리고 사회 나가서도 예쁜 대접했을 우리 주현이었는데, 엄마가 그런 모습을 못봐서…."]
사고만 아니었더라면 대학교에서 사회에서 저마다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갔을 아이들.
한창 꿈 많은 나이 제대로 피워보지도 못한 것이 안타깝기만 합니다.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이거 주현이 졸업장하고 꽃다발이야. 엄마가 잘 갖고 왔으니까 주현이한테 넣어줄게."]
사실 졸업장은 아들에게 주는 어머니의 특별한 선물입니다.
쉽게 얻은 게 아니기 때문인데요.
원래대로라면 학생들이 졸업해야 했던 2016년 2월 당시 미수습 학생 4명은 유급 처리가, 희생 학생 246명은 제적처리가 됐던 상황이었습니다.
[전명선/故 전찬호 학생 아버지 : "2016년 1월 12일. 피해 가족들에게 어떠한 연락도 없이 공문 한 장으로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관례에 따라서 제적 처리를 했습니다."]
[학교 관계자/음성변조 : "(당시) 희생된 아이들의 학적들이 그대로 살아있었잖아요. 그러면 신입생들을 입학시킬 수가 없어요.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유가족들은 즉각 제적 처리에 반발했고, 교육부 훈령으로 희생 학생들의 학적을 되살릴 수 있었습니다.
[전명선/故 전찬호 학생 아버지 : "학사 일정 중에 희생되신 그런 학생들에 대한 제적 처리를 당하는 일은 이제 대한민국 내에서 없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아이들의 제적을 막았던 유족들은 미수습 학생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명예 졸업식을 미뤄오다 올초 졸업식을 결정했습니다.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여태까지 우리 아이들 제적 처리당하지 않고 이렇게 학적부에 제대로 기록되면서 받은 졸업장이라서 그것에 의미를 둬야 될 것 같아요."]
[유경근/故 유예인 학생 아버지 : "마음 좋지 않습니다. 저희 아이들이 살아 돌아오는 것 외에 저희들에게 위로와 위안이 될 것은 없습니다. 저희는 아프지만 이 자리가 고통스럽지만 이후에 살아있는 우리 아이들의 그런 안전과 명예를 위해서 이 자리를 준비했고 그것으로 또 다른 의미와 위안을 찾고 있습니다."]
유족들은 세월호 참사는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이라고 말합니다.
[유은혜/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아직 우리가 해결해야 할 많은 일들이 남아있는 거 잘 알고 있습니다. 사람 중심의 안전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약속하고 다짐했던 일들 더 잘 챙겨나가겠습니다."]
세월호 참사 5년.
돌아오지 못한 학생들이 그 길었던 고등학교 생활에 마침표를 찍고, 졸업장이나마 받았지만, 미수습 학생 2명을 포함해 아직도 5명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래 기다렸지만 맘껏 기뻐할 수 없는 졸업식이 있습니다.
바로 어제 경기도 안산 단원고에서 치러진 명예 졸업식.
5년전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학생 250명이 어제 졸업장을 받았는데요.
이 졸업장이 수여되기까지 그동안 많은 사연도 있었다고 합니다.
김병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설렘과 기대감으로 부풀어야할 졸업식장에 침통한 분위기가 가득합니다.
졸업생들이 있어야 할 자리에 꽃다발이 놓여있는가 하면, 학생증을 목에 건 가족이 대신 자리를 지키기도 했습니다.
["이영만, 최덕하."]
졸업장을 받을 학생들이 호명되자 곳곳에서 흐느끼는 소리가 터져 나옵니다.
어제 오전 열린 세월호 참사 희생 학생들의 명예 졸업식 현장인데요,
사고 당시 단원고 2학년이었던 250명의 이름이 한 명 한 명 호명됐습니다.
세월호 참사가 없었다면 3년 전인 2016년 졸업했어야 하는 학생들이었습니다.
[이희운/단원고 졸업생 : "오늘은 졸업을 축하한다는 말을 더하고 싶습니다. 그리 긴 시간은 아니었지만 선배님들과 함께 한 4계절은 든든하고 예뻤습니다."]
후배 학생들과 먼저 졸업장을 받은 친구들이 잊지 않고 찾아와 눈물 속에 자리를 지켰습니다.
[조현수/단원고 재학생 :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선배님들을 꼭 잊지 않겠습니다."]
지난 시간 서로를 다독이며 의지하고 힘을 냈던 유족들은 다시 한 번 서로 위로를 건네는데요.
[유경근/故 유예인 학생 아버지 : "별로 기분 안 좋아요. 예인이가 받아야 되는데…. 우리 엄마 아빠들이 우스갯소리로 그냥 하는 이야기가 '중졸일 뻔했는데 고졸 됐구나.'이러고 그냥 그래요."]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엄마가 대신 받기는 했지만 아이가 당당하게 받아야 할 졸업장인데…. 오늘 졸업했다고 안아주고 싶은데……."]
오래 기다렸지만 결코 기뻐할 수 없는 졸업식은 아이들이 없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홍영미/故 이재욱 학생 어머니 : "엄마지만 덤덤하긴 해요. 덤덤해요. 졸업은 진상 규명의 연결 선상에 있다고 보시면 되고 아직까지 왜 참사가 이렇게 일어났는지에 대한 원인이 밝혀지지도 않았고…."]
아이들의 학창시절 마지막 추억은 노란 보자기 안에 준비돼 있었는데요.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친구들하고 같이 찍은 사진, 중학교 때 여기 벚꽃 아래서 찍은 사진이에요."]
졸업 사진을 찍지 못했지만 반 아이들의 사진을 모아 정성스럽게 준비한 졸업 앨범.
당시 2학년 8반 안주현군의 어머니는 졸업앨범과 졸업장을 들고 아들을 찾아갔습니다.
[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잘 있었어. 주현이? 우리 주현이 이제 졸업했네. 엄마 곁에서 졸업했으면 얼마나 좋을까…."]
어린 나이에도 동생을 잘 챙기는 항상 믿음직스러웠던 아들.
세월이 흘렀다지만 가슴에 묻기엔 아직 아들의 부재가 실감이 나지 않습니다.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어엿한 대학생이 됐을 우리 주현이. 그리고 사회 나가서도 예쁜 대접했을 우리 주현이었는데, 엄마가 그런 모습을 못봐서…."]
사고만 아니었더라면 대학교에서 사회에서 저마다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갔을 아이들.
한창 꿈 많은 나이 제대로 피워보지도 못한 것이 안타깝기만 합니다.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이거 주현이 졸업장하고 꽃다발이야. 엄마가 잘 갖고 왔으니까 주현이한테 넣어줄게."]
사실 졸업장은 아들에게 주는 어머니의 특별한 선물입니다.
쉽게 얻은 게 아니기 때문인데요.
원래대로라면 학생들이 졸업해야 했던 2016년 2월 당시 미수습 학생 4명은 유급 처리가, 희생 학생 246명은 제적처리가 됐던 상황이었습니다.
[전명선/故 전찬호 학생 아버지 : "2016년 1월 12일. 피해 가족들에게 어떠한 연락도 없이 공문 한 장으로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관례에 따라서 제적 처리를 했습니다."]
[학교 관계자/음성변조 : "(당시) 희생된 아이들의 학적들이 그대로 살아있었잖아요. 그러면 신입생들을 입학시킬 수가 없어요.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유가족들은 즉각 제적 처리에 반발했고, 교육부 훈령으로 희생 학생들의 학적을 되살릴 수 있었습니다.
[전명선/故 전찬호 학생 아버지 : "학사 일정 중에 희생되신 그런 학생들에 대한 제적 처리를 당하는 일은 이제 대한민국 내에서 없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아이들의 제적을 막았던 유족들은 미수습 학생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명예 졸업식을 미뤄오다 올초 졸업식을 결정했습니다.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여태까지 우리 아이들 제적 처리당하지 않고 이렇게 학적부에 제대로 기록되면서 받은 졸업장이라서 그것에 의미를 둬야 될 것 같아요."]
[유경근/故 유예인 학생 아버지 : "마음 좋지 않습니다. 저희 아이들이 살아 돌아오는 것 외에 저희들에게 위로와 위안이 될 것은 없습니다. 저희는 아프지만 이 자리가 고통스럽지만 이후에 살아있는 우리 아이들의 그런 안전과 명예를 위해서 이 자리를 준비했고 그것으로 또 다른 의미와 위안을 찾고 있습니다."]
유족들은 세월호 참사는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이라고 말합니다.
[유은혜/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아직 우리가 해결해야 할 많은 일들이 남아있는 거 잘 알고 있습니다. 사람 중심의 안전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약속하고 다짐했던 일들 더 잘 챙겨나가겠습니다."]
세월호 참사 5년.
돌아오지 못한 학생들이 그 길었던 고등학교 생활에 마침표를 찍고, 졸업장이나마 받았지만, 미수습 학생 2명을 포함해 아직도 5명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하늘로 보내는 졸업장…3년을 기다린 ‘명예 졸업식’
-
- 입력 2019-02-13 12:43:13
- 수정2019-02-13 12:49:21
[앵커]
오래 기다렸지만 맘껏 기뻐할 수 없는 졸업식이 있습니다.
바로 어제 경기도 안산 단원고에서 치러진 명예 졸업식.
5년전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학생 250명이 어제 졸업장을 받았는데요.
이 졸업장이 수여되기까지 그동안 많은 사연도 있었다고 합니다.
김병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설렘과 기대감으로 부풀어야할 졸업식장에 침통한 분위기가 가득합니다.
졸업생들이 있어야 할 자리에 꽃다발이 놓여있는가 하면, 학생증을 목에 건 가족이 대신 자리를 지키기도 했습니다.
["이영만, 최덕하."]
졸업장을 받을 학생들이 호명되자 곳곳에서 흐느끼는 소리가 터져 나옵니다.
어제 오전 열린 세월호 참사 희생 학생들의 명예 졸업식 현장인데요,
사고 당시 단원고 2학년이었던 250명의 이름이 한 명 한 명 호명됐습니다.
세월호 참사가 없었다면 3년 전인 2016년 졸업했어야 하는 학생들이었습니다.
[이희운/단원고 졸업생 : "오늘은 졸업을 축하한다는 말을 더하고 싶습니다. 그리 긴 시간은 아니었지만 선배님들과 함께 한 4계절은 든든하고 예뻤습니다."]
후배 학생들과 먼저 졸업장을 받은 친구들이 잊지 않고 찾아와 눈물 속에 자리를 지켰습니다.
[조현수/단원고 재학생 :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선배님들을 꼭 잊지 않겠습니다."]
지난 시간 서로를 다독이며 의지하고 힘을 냈던 유족들은 다시 한 번 서로 위로를 건네는데요.
[유경근/故 유예인 학생 아버지 : "별로 기분 안 좋아요. 예인이가 받아야 되는데…. 우리 엄마 아빠들이 우스갯소리로 그냥 하는 이야기가 '중졸일 뻔했는데 고졸 됐구나.'이러고 그냥 그래요."]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엄마가 대신 받기는 했지만 아이가 당당하게 받아야 할 졸업장인데…. 오늘 졸업했다고 안아주고 싶은데……."]
오래 기다렸지만 결코 기뻐할 수 없는 졸업식은 아이들이 없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홍영미/故 이재욱 학생 어머니 : "엄마지만 덤덤하긴 해요. 덤덤해요. 졸업은 진상 규명의 연결 선상에 있다고 보시면 되고 아직까지 왜 참사가 이렇게 일어났는지에 대한 원인이 밝혀지지도 않았고…."]
아이들의 학창시절 마지막 추억은 노란 보자기 안에 준비돼 있었는데요.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친구들하고 같이 찍은 사진, 중학교 때 여기 벚꽃 아래서 찍은 사진이에요."]
졸업 사진을 찍지 못했지만 반 아이들의 사진을 모아 정성스럽게 준비한 졸업 앨범.
당시 2학년 8반 안주현군의 어머니는 졸업앨범과 졸업장을 들고 아들을 찾아갔습니다.
[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잘 있었어. 주현이? 우리 주현이 이제 졸업했네. 엄마 곁에서 졸업했으면 얼마나 좋을까…."]
어린 나이에도 동생을 잘 챙기는 항상 믿음직스러웠던 아들.
세월이 흘렀다지만 가슴에 묻기엔 아직 아들의 부재가 실감이 나지 않습니다.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어엿한 대학생이 됐을 우리 주현이. 그리고 사회 나가서도 예쁜 대접했을 우리 주현이었는데, 엄마가 그런 모습을 못봐서…."]
사고만 아니었더라면 대학교에서 사회에서 저마다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갔을 아이들.
한창 꿈 많은 나이 제대로 피워보지도 못한 것이 안타깝기만 합니다.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이거 주현이 졸업장하고 꽃다발이야. 엄마가 잘 갖고 왔으니까 주현이한테 넣어줄게."]
사실 졸업장은 아들에게 주는 어머니의 특별한 선물입니다.
쉽게 얻은 게 아니기 때문인데요.
원래대로라면 학생들이 졸업해야 했던 2016년 2월 당시 미수습 학생 4명은 유급 처리가, 희생 학생 246명은 제적처리가 됐던 상황이었습니다.
[전명선/故 전찬호 학생 아버지 : "2016년 1월 12일. 피해 가족들에게 어떠한 연락도 없이 공문 한 장으로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관례에 따라서 제적 처리를 했습니다."]
[학교 관계자/음성변조 : "(당시) 희생된 아이들의 학적들이 그대로 살아있었잖아요. 그러면 신입생들을 입학시킬 수가 없어요.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유가족들은 즉각 제적 처리에 반발했고, 교육부 훈령으로 희생 학생들의 학적을 되살릴 수 있었습니다.
[전명선/故 전찬호 학생 아버지 : "학사 일정 중에 희생되신 그런 학생들에 대한 제적 처리를 당하는 일은 이제 대한민국 내에서 없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아이들의 제적을 막았던 유족들은 미수습 학생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명예 졸업식을 미뤄오다 올초 졸업식을 결정했습니다.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여태까지 우리 아이들 제적 처리당하지 않고 이렇게 학적부에 제대로 기록되면서 받은 졸업장이라서 그것에 의미를 둬야 될 것 같아요."]
[유경근/故 유예인 학생 아버지 : "마음 좋지 않습니다. 저희 아이들이 살아 돌아오는 것 외에 저희들에게 위로와 위안이 될 것은 없습니다. 저희는 아프지만 이 자리가 고통스럽지만 이후에 살아있는 우리 아이들의 그런 안전과 명예를 위해서 이 자리를 준비했고 그것으로 또 다른 의미와 위안을 찾고 있습니다."]
유족들은 세월호 참사는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이라고 말합니다.
[유은혜/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아직 우리가 해결해야 할 많은 일들이 남아있는 거 잘 알고 있습니다. 사람 중심의 안전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약속하고 다짐했던 일들 더 잘 챙겨나가겠습니다."]
세월호 참사 5년.
돌아오지 못한 학생들이 그 길었던 고등학교 생활에 마침표를 찍고, 졸업장이나마 받았지만, 미수습 학생 2명을 포함해 아직도 5명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래 기다렸지만 맘껏 기뻐할 수 없는 졸업식이 있습니다.
바로 어제 경기도 안산 단원고에서 치러진 명예 졸업식.
5년전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학생 250명이 어제 졸업장을 받았는데요.
이 졸업장이 수여되기까지 그동안 많은 사연도 있었다고 합니다.
김병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설렘과 기대감으로 부풀어야할 졸업식장에 침통한 분위기가 가득합니다.
졸업생들이 있어야 할 자리에 꽃다발이 놓여있는가 하면, 학생증을 목에 건 가족이 대신 자리를 지키기도 했습니다.
["이영만, 최덕하."]
졸업장을 받을 학생들이 호명되자 곳곳에서 흐느끼는 소리가 터져 나옵니다.
어제 오전 열린 세월호 참사 희생 학생들의 명예 졸업식 현장인데요,
사고 당시 단원고 2학년이었던 250명의 이름이 한 명 한 명 호명됐습니다.
세월호 참사가 없었다면 3년 전인 2016년 졸업했어야 하는 학생들이었습니다.
[이희운/단원고 졸업생 : "오늘은 졸업을 축하한다는 말을 더하고 싶습니다. 그리 긴 시간은 아니었지만 선배님들과 함께 한 4계절은 든든하고 예뻤습니다."]
후배 학생들과 먼저 졸업장을 받은 친구들이 잊지 않고 찾아와 눈물 속에 자리를 지켰습니다.
[조현수/단원고 재학생 :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선배님들을 꼭 잊지 않겠습니다."]
지난 시간 서로를 다독이며 의지하고 힘을 냈던 유족들은 다시 한 번 서로 위로를 건네는데요.
[유경근/故 유예인 학생 아버지 : "별로 기분 안 좋아요. 예인이가 받아야 되는데…. 우리 엄마 아빠들이 우스갯소리로 그냥 하는 이야기가 '중졸일 뻔했는데 고졸 됐구나.'이러고 그냥 그래요."]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엄마가 대신 받기는 했지만 아이가 당당하게 받아야 할 졸업장인데…. 오늘 졸업했다고 안아주고 싶은데……."]
오래 기다렸지만 결코 기뻐할 수 없는 졸업식은 아이들이 없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홍영미/故 이재욱 학생 어머니 : "엄마지만 덤덤하긴 해요. 덤덤해요. 졸업은 진상 규명의 연결 선상에 있다고 보시면 되고 아직까지 왜 참사가 이렇게 일어났는지에 대한 원인이 밝혀지지도 않았고…."]
아이들의 학창시절 마지막 추억은 노란 보자기 안에 준비돼 있었는데요.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친구들하고 같이 찍은 사진, 중학교 때 여기 벚꽃 아래서 찍은 사진이에요."]
졸업 사진을 찍지 못했지만 반 아이들의 사진을 모아 정성스럽게 준비한 졸업 앨범.
당시 2학년 8반 안주현군의 어머니는 졸업앨범과 졸업장을 들고 아들을 찾아갔습니다.
[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잘 있었어. 주현이? 우리 주현이 이제 졸업했네. 엄마 곁에서 졸업했으면 얼마나 좋을까…."]
어린 나이에도 동생을 잘 챙기는 항상 믿음직스러웠던 아들.
세월이 흘렀다지만 가슴에 묻기엔 아직 아들의 부재가 실감이 나지 않습니다.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어엿한 대학생이 됐을 우리 주현이. 그리고 사회 나가서도 예쁜 대접했을 우리 주현이었는데, 엄마가 그런 모습을 못봐서…."]
사고만 아니었더라면 대학교에서 사회에서 저마다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갔을 아이들.
한창 꿈 많은 나이 제대로 피워보지도 못한 것이 안타깝기만 합니다.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이거 주현이 졸업장하고 꽃다발이야. 엄마가 잘 갖고 왔으니까 주현이한테 넣어줄게."]
사실 졸업장은 아들에게 주는 어머니의 특별한 선물입니다.
쉽게 얻은 게 아니기 때문인데요.
원래대로라면 학생들이 졸업해야 했던 2016년 2월 당시 미수습 학생 4명은 유급 처리가, 희생 학생 246명은 제적처리가 됐던 상황이었습니다.
[전명선/故 전찬호 학생 아버지 : "2016년 1월 12일. 피해 가족들에게 어떠한 연락도 없이 공문 한 장으로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관례에 따라서 제적 처리를 했습니다."]
[학교 관계자/음성변조 : "(당시) 희생된 아이들의 학적들이 그대로 살아있었잖아요. 그러면 신입생들을 입학시킬 수가 없어요.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유가족들은 즉각 제적 처리에 반발했고, 교육부 훈령으로 희생 학생들의 학적을 되살릴 수 있었습니다.
[전명선/故 전찬호 학생 아버지 : "학사 일정 중에 희생되신 그런 학생들에 대한 제적 처리를 당하는 일은 이제 대한민국 내에서 없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아이들의 제적을 막았던 유족들은 미수습 학생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명예 졸업식을 미뤄오다 올초 졸업식을 결정했습니다.
[김정해/故 안주현 학생 어머니 : "여태까지 우리 아이들 제적 처리당하지 않고 이렇게 학적부에 제대로 기록되면서 받은 졸업장이라서 그것에 의미를 둬야 될 것 같아요."]
[유경근/故 유예인 학생 아버지 : "마음 좋지 않습니다. 저희 아이들이 살아 돌아오는 것 외에 저희들에게 위로와 위안이 될 것은 없습니다. 저희는 아프지만 이 자리가 고통스럽지만 이후에 살아있는 우리 아이들의 그런 안전과 명예를 위해서 이 자리를 준비했고 그것으로 또 다른 의미와 위안을 찾고 있습니다."]
유족들은 세월호 참사는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이라고 말합니다.
[유은혜/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아직 우리가 해결해야 할 많은 일들이 남아있는 거 잘 알고 있습니다. 사람 중심의 안전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약속하고 다짐했던 일들 더 잘 챙겨나가겠습니다."]
세월호 참사 5년.
돌아오지 못한 학생들이 그 길었던 고등학교 생활에 마침표를 찍고, 졸업장이나마 받았지만, 미수습 학생 2명을 포함해 아직도 5명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
-
김병용 기자 2by8282@gmail.com
김병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