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내일 밤 하노이 도착…“핵실험 없는 한 행복”

입력 2019.02.25 (21:06) 수정 2019.02.25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금부터 약 5시간 쯤 뒤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는 베트남 하노이로 출발합니다.

내일(26일) 밤 도착 예정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차 정상회담이 완전한 비핵화의 기회라며 기대감을 나타내면서도 서두르지 않겠다며 속도 조절 의사도 동시에 내비쳤습니다.

워싱턴 이재원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시간 내일(26일) 새벽 2시 반 출발한다고 밝혔습니다.

하노이에는 우리 시간 내일(26일) 밤 도착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출국 전날 밤 열린 전미 주지사협회 연회에서 2차 북미 정상회담 출사표를 던졌습니다.

[트럼프/미국 대통령 : "나는 서두르지 않을 겁니다. 우리는 제재를 해제하지 않을 겁니다. 베트남에서 매우 흥미로운 이틀 반을 보낼 거라고 봅니다."]

정상회담의 성패를 가를 핵심은 비핵화 협상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윗에 "우리 둘 모두 싱가포르 1차정상회담에서 이룬 진전이 하노이에서 계속되길 기대한다, 비핵화?" 라고 썼습니다.

이와 관련해 완전한 비핵화의 기회를 가지고 있다면서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반복했습니다.

[트럼프/미국 대통령 : "나는 서두르지 않습니다. 누구도 서두르게 하고 싶지 않습니다. 나는 단지 (핵·미사일) 실험을 원하지 않습니다. 실험이 없는 한 우리는 행복합니다."]

핵 실험이 없으면 행복하다는 건 폐기보다는 일단 동결과 맥이 닿아 보입니다.

미국 내 회의론자들의 비판을 의식해 회담 성과에 대한 눈높이를 미리 낮추려는 의도성 발언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트럼프 대통령보다 하루 앞서 출발한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방송 인터뷰에서 비핵화를 견인하기 위해 북한과 경제 발전은 물론 안전 보장 문제를 논의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폼페이오/미국 국무장관 : "우리는 북한의 안전 보장을 확실히 하는 문제를 김정은 위원장과 공유해 왔습니다. 그들은 중국에 대해 걱정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필요로 하는 안전 보장이 합리적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습니다."]

북미 정상회담 전까지 실무협상은 계속될 예정입니다.

미 전문가들은 회담 결과의 불확실성을 우려하는 분위기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낙관, 기대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내일 밤 하노이 도착…“핵실험 없는 한 행복”
    • 입력 2019-02-25 21:08:22
    • 수정2019-02-25 22:02:08
    뉴스 9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금부터 약 5시간 쯤 뒤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는 베트남 하노이로 출발합니다.

내일(26일) 밤 도착 예정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차 정상회담이 완전한 비핵화의 기회라며 기대감을 나타내면서도 서두르지 않겠다며 속도 조절 의사도 동시에 내비쳤습니다.

워싱턴 이재원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시간 내일(26일) 새벽 2시 반 출발한다고 밝혔습니다.

하노이에는 우리 시간 내일(26일) 밤 도착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출국 전날 밤 열린 전미 주지사협회 연회에서 2차 북미 정상회담 출사표를 던졌습니다.

[트럼프/미국 대통령 : "나는 서두르지 않을 겁니다. 우리는 제재를 해제하지 않을 겁니다. 베트남에서 매우 흥미로운 이틀 반을 보낼 거라고 봅니다."]

정상회담의 성패를 가를 핵심은 비핵화 협상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윗에 "우리 둘 모두 싱가포르 1차정상회담에서 이룬 진전이 하노이에서 계속되길 기대한다, 비핵화?" 라고 썼습니다.

이와 관련해 완전한 비핵화의 기회를 가지고 있다면서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반복했습니다.

[트럼프/미국 대통령 : "나는 서두르지 않습니다. 누구도 서두르게 하고 싶지 않습니다. 나는 단지 (핵·미사일) 실험을 원하지 않습니다. 실험이 없는 한 우리는 행복합니다."]

핵 실험이 없으면 행복하다는 건 폐기보다는 일단 동결과 맥이 닿아 보입니다.

미국 내 회의론자들의 비판을 의식해 회담 성과에 대한 눈높이를 미리 낮추려는 의도성 발언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트럼프 대통령보다 하루 앞서 출발한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방송 인터뷰에서 비핵화를 견인하기 위해 북한과 경제 발전은 물론 안전 보장 문제를 논의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폼페이오/미국 국무장관 : "우리는 북한의 안전 보장을 확실히 하는 문제를 김정은 위원장과 공유해 왔습니다. 그들은 중국에 대해 걱정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필요로 하는 안전 보장이 합리적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습니다."]

북미 정상회담 전까지 실무협상은 계속될 예정입니다.

미 전문가들은 회담 결과의 불확실성을 우려하는 분위기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낙관, 기대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