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유총 개학 연기’ 엄정 대처…비상돌봄체계 가동”

입력 2019.03.02 (19:02) 수정 2019.03.02 (19: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국유치원총연합회가 '개학연기' 투쟁 방침을 밝힌 데 대해 이낙연 총리가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아이들을 볼모로 한 투쟁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정부는 비상 돌봄체계를 가동하는 한편 개학을 무단 연기한 유치원은 시정명령을 거쳐 형사고발을 하는 등 강력 대응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유호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사립유치원 단체인 한국유치원총연합회가 '유치원 3법' 철회 때까지 개학을 연기하겠다고 나서자 정부가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했습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자기 이익을 위해 아이들을 볼모로 잡겠다는 것은 교육기관의 자세가 아니라며 개학 연기 투쟁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낙연/국무총리: "해당 사립유치원은 개학연기를 즉각 철회하시고 공공성과 투명성 갖춘 교육기관으로 당당하게 돌아오기를 바랍니다."]

회계 투명성을 위해 어제부터 시작한 국가관리회계시스템 '에듀파인'도 한유총이 사실상 수용 거부한 것으로 보고 정부는 강력 대응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무단으로 개원을 연기한 유치원에 대해 즉각 시정명령을 내리고, 거부 시 형사고발 하겠다며 '무관용 원칙'을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정부는 일부 유치원들이 개학 연기를 강행할 것에 대비해 '비상돌봄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교육부는 내일 오전 9시부터 시도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해 돌봄신청을 받고, 유치원 개원일인 모레부터 국공립 유치원 등을 통해 돌봄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여성가족부도 긴급 돌봄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전국 공동육아 나눔터에 아이 돌보미를 파견하는 등 정부는 '돌봄 공백' 최소화에 집중한다는 방침입니다.

앞서 한유총은 그제 '유치원 3법 철회'와 '사립유치원 사유재산 인정' 등을 요구하며 정부 입장 변화 때까지 입학을 연기하는 준법투쟁을 벌이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KBS 뉴스 유호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한유총 개학 연기’ 엄정 대처…비상돌봄체계 가동”
    • 입력 2019-03-02 19:04:33
    • 수정2019-03-02 19:07:59
    뉴스 7
[앵커]

한국유치원총연합회가 '개학연기' 투쟁 방침을 밝힌 데 대해 이낙연 총리가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아이들을 볼모로 한 투쟁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정부는 비상 돌봄체계를 가동하는 한편 개학을 무단 연기한 유치원은 시정명령을 거쳐 형사고발을 하는 등 강력 대응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유호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사립유치원 단체인 한국유치원총연합회가 '유치원 3법' 철회 때까지 개학을 연기하겠다고 나서자 정부가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했습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자기 이익을 위해 아이들을 볼모로 잡겠다는 것은 교육기관의 자세가 아니라며 개학 연기 투쟁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낙연/국무총리: "해당 사립유치원은 개학연기를 즉각 철회하시고 공공성과 투명성 갖춘 교육기관으로 당당하게 돌아오기를 바랍니다."]

회계 투명성을 위해 어제부터 시작한 국가관리회계시스템 '에듀파인'도 한유총이 사실상 수용 거부한 것으로 보고 정부는 강력 대응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무단으로 개원을 연기한 유치원에 대해 즉각 시정명령을 내리고, 거부 시 형사고발 하겠다며 '무관용 원칙'을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정부는 일부 유치원들이 개학 연기를 강행할 것에 대비해 '비상돌봄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교육부는 내일 오전 9시부터 시도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해 돌봄신청을 받고, 유치원 개원일인 모레부터 국공립 유치원 등을 통해 돌봄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여성가족부도 긴급 돌봄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전국 공동육아 나눔터에 아이 돌보미를 파견하는 등 정부는 '돌봄 공백' 최소화에 집중한다는 방침입니다.

앞서 한유총은 그제 '유치원 3법 철회'와 '사립유치원 사유재산 인정' 등을 요구하며 정부 입장 변화 때까지 입학을 연기하는 준법투쟁을 벌이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KBS 뉴스 유호윤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