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줌인] 2019년의 ‘빨갱이’ 논란
입력 2019.03.04 (21:35)
수정 2019.03.04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뉴스 줌인 시간입니다. 정윤섭 기자 나와 있습니다.
정 기자, 어떤 소식인가요?
[기자]
네, 뒤에 화면 좀 보시면요,
태극기인데, 지금과는 모양이 많이 다르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회라고 할수 있는 임시의정원에서 쓰던 태극긴데요,
지난 3.1운동 100주년 행사 때 세종문화회관 외벽에 걸렸던 태극깁니다.
[앵커]
그날 저희 뉴스도 거기서 특집뉴스를 해서, 태극기가 곳곳에 걸려있더라고요.
[기자]
네. 그런데 이 SNS 글을 보면 지금도 정당의 당협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전직 국회의원인데,
태극기에서 청색을 없앴다, 차라리 붉은색을 없앴으면 몰라도 빨갱이 나라를 만들겠다는 의도가 보인다.
이런글을 올렸습니다.
지금은 일부 단어가 수정됐지만 저 의심은 그대롭니다.
[앵커]
한기호 전 의원이 했다는 거죠?
그런데 왜 갑자기 빨갱이가 나오나요?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두고 한 말입니다.
'빨갱이'와 변형된 색깔론은 '청산해야 될 친일 잔재'다,
'독립운동가를 낙인찍는 말이었다'라고 규정했는데, 빨갱이란 표현을 두고 일부 논란이 일고 있는 겁니다.
[앵커]
지금 대통령의 기념사가 이렇게 빨갱이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는 건가요?
[기자]
또 보시면, 동아일보 칼럼인데요,
제목은 빨갱이를 빨갱이라 부르지 못하는 나라, 빨갱이라는 말은 현 정부의 책임이 크다,
북한 대변인이라고 할 만큼 친북적인 언행과 정책 때문이다, 이렇게 비판했습니다.
[앵커]
현 정부의 현재 북한에 대한 정책 혹은 언행이 빨갱이 같다 이런 뜻인가요?
[기자]
그렇게 해석이 될 수 밖에 없죠.
그래서 일단 빨갱이라는 단어가 현대 사회에서 아픈단어라서 말의 유래부터 찾아봤는데,
일제강점기 항일유격대원을 가리키던 파르티잔, 즉 빨치산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가장 일반적이었는데요,
여기에 공산당의 상징인 붉은색 이미지가 추가됐고,
특히 해방 직후엔 친일파들이 많이 쓴 걸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게 추정이 된다는 거잖아요? 사전에 정식으로 과학적으로 증명이 됐다 이런건 아니고요?
[기자]
그렇죠. 그런데 역사적 사건이 하나 있는데,
1948년 여순사건입니다.
이 여순사건에 좌익세력이 연루됐다면서 이승만 대통령이 유혈 진압을 했는데, 많은 사람들이 희생됐고요.
이 사건을 계기로 탄생한게 바로 국가보안법입니다.
결국 이후 반공을 국시로 내건 정권들에서
탄압의 수단이 된 게 빨갱이란 말이었습니다.
[앵커]
공산주의에 대한 기본적인 아픈 경험이 있어서 그렇다 치지만 그렇다고 해도 결국 이런 빨갱이 낙인은 간첩조작사건으로 많이 이어지지 않았습니까?
[기자]
특히 군사독재 시절에 그랬죠.
간첩이 아닌데도 간첩이다, 북한의 지령을 받았다...
빨갱이 낙인이 찍히면 처벌은 물론 목숨을 잃기도 하고, 그 가족들도 고향을 떠나야 할 정도였고요.
결국 빨갱이 논란은 과거 희생자들의 고통을 되살리는 건데...
지금도 이른바 레드콤플렉스를 자극하면 통할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남아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 소식 여기까집니다.
[앵커]
뉴스줌인 정윤섭 기자였습니다.
뉴스 줌인 시간입니다. 정윤섭 기자 나와 있습니다.
정 기자, 어떤 소식인가요?
[기자]
네, 뒤에 화면 좀 보시면요,
태극기인데, 지금과는 모양이 많이 다르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회라고 할수 있는 임시의정원에서 쓰던 태극긴데요,
지난 3.1운동 100주년 행사 때 세종문화회관 외벽에 걸렸던 태극깁니다.
[앵커]
그날 저희 뉴스도 거기서 특집뉴스를 해서, 태극기가 곳곳에 걸려있더라고요.
[기자]
네. 그런데 이 SNS 글을 보면 지금도 정당의 당협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전직 국회의원인데,
태극기에서 청색을 없앴다, 차라리 붉은색을 없앴으면 몰라도 빨갱이 나라를 만들겠다는 의도가 보인다.
이런글을 올렸습니다.
지금은 일부 단어가 수정됐지만 저 의심은 그대롭니다.
[앵커]
한기호 전 의원이 했다는 거죠?
그런데 왜 갑자기 빨갱이가 나오나요?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두고 한 말입니다.
'빨갱이'와 변형된 색깔론은 '청산해야 될 친일 잔재'다,
'독립운동가를 낙인찍는 말이었다'라고 규정했는데, 빨갱이란 표현을 두고 일부 논란이 일고 있는 겁니다.
[앵커]
지금 대통령의 기념사가 이렇게 빨갱이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는 건가요?
[기자]
또 보시면, 동아일보 칼럼인데요,
제목은 빨갱이를 빨갱이라 부르지 못하는 나라, 빨갱이라는 말은 현 정부의 책임이 크다,
북한 대변인이라고 할 만큼 친북적인 언행과 정책 때문이다, 이렇게 비판했습니다.
[앵커]
현 정부의 현재 북한에 대한 정책 혹은 언행이 빨갱이 같다 이런 뜻인가요?
[기자]
그렇게 해석이 될 수 밖에 없죠.
그래서 일단 빨갱이라는 단어가 현대 사회에서 아픈단어라서 말의 유래부터 찾아봤는데,
일제강점기 항일유격대원을 가리키던 파르티잔, 즉 빨치산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가장 일반적이었는데요,
여기에 공산당의 상징인 붉은색 이미지가 추가됐고,
특히 해방 직후엔 친일파들이 많이 쓴 걸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게 추정이 된다는 거잖아요? 사전에 정식으로 과학적으로 증명이 됐다 이런건 아니고요?
[기자]
그렇죠. 그런데 역사적 사건이 하나 있는데,
1948년 여순사건입니다.
이 여순사건에 좌익세력이 연루됐다면서 이승만 대통령이 유혈 진압을 했는데, 많은 사람들이 희생됐고요.
이 사건을 계기로 탄생한게 바로 국가보안법입니다.
결국 이후 반공을 국시로 내건 정권들에서
탄압의 수단이 된 게 빨갱이란 말이었습니다.
[앵커]
공산주의에 대한 기본적인 아픈 경험이 있어서 그렇다 치지만 그렇다고 해도 결국 이런 빨갱이 낙인은 간첩조작사건으로 많이 이어지지 않았습니까?
[기자]
특히 군사독재 시절에 그랬죠.
간첩이 아닌데도 간첩이다, 북한의 지령을 받았다...
빨갱이 낙인이 찍히면 처벌은 물론 목숨을 잃기도 하고, 그 가족들도 고향을 떠나야 할 정도였고요.
결국 빨갱이 논란은 과거 희생자들의 고통을 되살리는 건데...
지금도 이른바 레드콤플렉스를 자극하면 통할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남아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 소식 여기까집니다.
[앵커]
뉴스줌인 정윤섭 기자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줌인] 2019년의 ‘빨갱이’ 논란
-
- 입력 2019-03-04 21:37:10
- 수정2019-03-04 22:07:00

[앵커]
뉴스 줌인 시간입니다. 정윤섭 기자 나와 있습니다.
정 기자, 어떤 소식인가요?
[기자]
네, 뒤에 화면 좀 보시면요,
태극기인데, 지금과는 모양이 많이 다르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회라고 할수 있는 임시의정원에서 쓰던 태극긴데요,
지난 3.1운동 100주년 행사 때 세종문화회관 외벽에 걸렸던 태극깁니다.
[앵커]
그날 저희 뉴스도 거기서 특집뉴스를 해서, 태극기가 곳곳에 걸려있더라고요.
[기자]
네. 그런데 이 SNS 글을 보면 지금도 정당의 당협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전직 국회의원인데,
태극기에서 청색을 없앴다, 차라리 붉은색을 없앴으면 몰라도 빨갱이 나라를 만들겠다는 의도가 보인다.
이런글을 올렸습니다.
지금은 일부 단어가 수정됐지만 저 의심은 그대롭니다.
[앵커]
한기호 전 의원이 했다는 거죠?
그런데 왜 갑자기 빨갱이가 나오나요?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두고 한 말입니다.
'빨갱이'와 변형된 색깔론은 '청산해야 될 친일 잔재'다,
'독립운동가를 낙인찍는 말이었다'라고 규정했는데, 빨갱이란 표현을 두고 일부 논란이 일고 있는 겁니다.
[앵커]
지금 대통령의 기념사가 이렇게 빨갱이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는 건가요?
[기자]
또 보시면, 동아일보 칼럼인데요,
제목은 빨갱이를 빨갱이라 부르지 못하는 나라, 빨갱이라는 말은 현 정부의 책임이 크다,
북한 대변인이라고 할 만큼 친북적인 언행과 정책 때문이다, 이렇게 비판했습니다.
[앵커]
현 정부의 현재 북한에 대한 정책 혹은 언행이 빨갱이 같다 이런 뜻인가요?
[기자]
그렇게 해석이 될 수 밖에 없죠.
그래서 일단 빨갱이라는 단어가 현대 사회에서 아픈단어라서 말의 유래부터 찾아봤는데,
일제강점기 항일유격대원을 가리키던 파르티잔, 즉 빨치산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가장 일반적이었는데요,
여기에 공산당의 상징인 붉은색 이미지가 추가됐고,
특히 해방 직후엔 친일파들이 많이 쓴 걸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게 추정이 된다는 거잖아요? 사전에 정식으로 과학적으로 증명이 됐다 이런건 아니고요?
[기자]
그렇죠. 그런데 역사적 사건이 하나 있는데,
1948년 여순사건입니다.
이 여순사건에 좌익세력이 연루됐다면서 이승만 대통령이 유혈 진압을 했는데, 많은 사람들이 희생됐고요.
이 사건을 계기로 탄생한게 바로 국가보안법입니다.
결국 이후 반공을 국시로 내건 정권들에서
탄압의 수단이 된 게 빨갱이란 말이었습니다.
[앵커]
공산주의에 대한 기본적인 아픈 경험이 있어서 그렇다 치지만 그렇다고 해도 결국 이런 빨갱이 낙인은 간첩조작사건으로 많이 이어지지 않았습니까?
[기자]
특히 군사독재 시절에 그랬죠.
간첩이 아닌데도 간첩이다, 북한의 지령을 받았다...
빨갱이 낙인이 찍히면 처벌은 물론 목숨을 잃기도 하고, 그 가족들도 고향을 떠나야 할 정도였고요.
결국 빨갱이 논란은 과거 희생자들의 고통을 되살리는 건데...
지금도 이른바 레드콤플렉스를 자극하면 통할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남아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 소식 여기까집니다.
[앵커]
뉴스줌인 정윤섭 기자였습니다.
뉴스 줌인 시간입니다. 정윤섭 기자 나와 있습니다.
정 기자, 어떤 소식인가요?
[기자]
네, 뒤에 화면 좀 보시면요,
태극기인데, 지금과는 모양이 많이 다르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회라고 할수 있는 임시의정원에서 쓰던 태극긴데요,
지난 3.1운동 100주년 행사 때 세종문화회관 외벽에 걸렸던 태극깁니다.
[앵커]
그날 저희 뉴스도 거기서 특집뉴스를 해서, 태극기가 곳곳에 걸려있더라고요.
[기자]
네. 그런데 이 SNS 글을 보면 지금도 정당의 당협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전직 국회의원인데,
태극기에서 청색을 없앴다, 차라리 붉은색을 없앴으면 몰라도 빨갱이 나라를 만들겠다는 의도가 보인다.
이런글을 올렸습니다.
지금은 일부 단어가 수정됐지만 저 의심은 그대롭니다.
[앵커]
한기호 전 의원이 했다는 거죠?
그런데 왜 갑자기 빨갱이가 나오나요?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두고 한 말입니다.
'빨갱이'와 변형된 색깔론은 '청산해야 될 친일 잔재'다,
'독립운동가를 낙인찍는 말이었다'라고 규정했는데, 빨갱이란 표현을 두고 일부 논란이 일고 있는 겁니다.
[앵커]
지금 대통령의 기념사가 이렇게 빨갱이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는 건가요?
[기자]
또 보시면, 동아일보 칼럼인데요,
제목은 빨갱이를 빨갱이라 부르지 못하는 나라, 빨갱이라는 말은 현 정부의 책임이 크다,
북한 대변인이라고 할 만큼 친북적인 언행과 정책 때문이다, 이렇게 비판했습니다.
[앵커]
현 정부의 현재 북한에 대한 정책 혹은 언행이 빨갱이 같다 이런 뜻인가요?
[기자]
그렇게 해석이 될 수 밖에 없죠.
그래서 일단 빨갱이라는 단어가 현대 사회에서 아픈단어라서 말의 유래부터 찾아봤는데,
일제강점기 항일유격대원을 가리키던 파르티잔, 즉 빨치산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가장 일반적이었는데요,
여기에 공산당의 상징인 붉은색 이미지가 추가됐고,
특히 해방 직후엔 친일파들이 많이 쓴 걸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게 추정이 된다는 거잖아요? 사전에 정식으로 과학적으로 증명이 됐다 이런건 아니고요?
[기자]
그렇죠. 그런데 역사적 사건이 하나 있는데,
1948년 여순사건입니다.
이 여순사건에 좌익세력이 연루됐다면서 이승만 대통령이 유혈 진압을 했는데, 많은 사람들이 희생됐고요.
이 사건을 계기로 탄생한게 바로 국가보안법입니다.
결국 이후 반공을 국시로 내건 정권들에서
탄압의 수단이 된 게 빨갱이란 말이었습니다.
[앵커]
공산주의에 대한 기본적인 아픈 경험이 있어서 그렇다 치지만 그렇다고 해도 결국 이런 빨갱이 낙인은 간첩조작사건으로 많이 이어지지 않았습니까?
[기자]
특히 군사독재 시절에 그랬죠.
간첩이 아닌데도 간첩이다, 북한의 지령을 받았다...
빨갱이 낙인이 찍히면 처벌은 물론 목숨을 잃기도 하고, 그 가족들도 고향을 떠나야 할 정도였고요.
결국 빨갱이 논란은 과거 희생자들의 고통을 되살리는 건데...
지금도 이른바 레드콤플렉스를 자극하면 통할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남아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 소식 여기까집니다.
[앵커]
뉴스줌인 정윤섭 기자였습니다.
-
-
정윤섭 기자 bird2777@kbs.co.kr
정윤섭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