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지역만 쏙 빠져...뒤늦은 합의 '아쉬움'

입력 2019.03.13 (19: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정부가 내일(광장:오늘)부터
전국 8개 권역을 돌아가며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합동 채용설명회를 엽니다.

해당지역에서 학교를 졸업한
지역인재 의무채용을 위한 자리인데
대학이 30여곳 넘는 대전·세종·충남만
쏙 빠졌습니다.


박장훈 기잡니다.

[리포트]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은
해당지역 학교를 최종 졸업한
학생과 청년을 일정비율 의무적으로
뽑아야 합니다.

지난해 18%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30%로 늘려야 합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합동채용설명회를 여는데,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광역시도가운데
대전·세종·충남만 쏙 빠졌습니다.
우리 지역만
혁신도시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세종·충남에는
혁신도시법에서 의무채용이 규정된
개별 이전 공공기관이 있지만

충남은 단 2곳 뿐이고,
세종은 19곳 대부분이 연구기관으로
지역인재 의무채용에서 제외된
연구·경력직 채용이 많습니다.

이렇다보니 지난해
전국에서 23%인 1,423명이
지역인재로 의무채용됐지만
대전과 세종은 0명, 충남은 32명에
불과합니다.

이선영/ 배재대학교 학생 [인터뷰]
대전 충남까지 같이 해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만약 넓혀지지 않는다면 대전의 대학생 입장에서는 너무 속상할 것 같습니다.

대전·충남을
혁신도시로 지정하는 법안과
예전에 이전한 공공기관까지 포함시키자며
발의된 법안은 아직도 국회에 계류중입니다

때문에 충청권 4개 시도가
우선 법 시행령만 고쳐도
지역인재 의무채용 광역화가
가능하도록하는 협약을 준비중입니다.

이은학/ 대전시 자치분권과장[인터뷰]
현재 4개 지자체가 합의에 거의 이르러서
조만간 좋은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가
시행령 개정보다 관련법의 개정 쪽에
무게를 두면서 해결이 늦어질 수도 있어
민관정의 긴밀한 협력이 요구됩니다.
KBS뉴스 박장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 지역만 쏙 빠져...뒤늦은 합의 '아쉬움'
    • 입력 2019-03-14 07:06:22
    대전
[앵커멘트] 정부가 내일(광장:오늘)부터 전국 8개 권역을 돌아가며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합동 채용설명회를 엽니다. 해당지역에서 학교를 졸업한 지역인재 의무채용을 위한 자리인데 대학이 30여곳 넘는 대전·세종·충남만 쏙 빠졌습니다. 박장훈 기잡니다. [리포트]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은 해당지역 학교를 최종 졸업한 학생과 청년을 일정비율 의무적으로 뽑아야 합니다. 지난해 18%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30%로 늘려야 합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합동채용설명회를 여는데,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광역시도가운데 대전·세종·충남만 쏙 빠졌습니다. 우리 지역만 혁신도시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세종·충남에는 혁신도시법에서 의무채용이 규정된 개별 이전 공공기관이 있지만 충남은 단 2곳 뿐이고, 세종은 19곳 대부분이 연구기관으로 지역인재 의무채용에서 제외된 연구·경력직 채용이 많습니다. 이렇다보니 지난해 전국에서 23%인 1,423명이 지역인재로 의무채용됐지만 대전과 세종은 0명, 충남은 32명에 불과합니다. 이선영/ 배재대학교 학생 [인터뷰] 대전 충남까지 같이 해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만약 넓혀지지 않는다면 대전의 대학생 입장에서는 너무 속상할 것 같습니다. 대전·충남을 혁신도시로 지정하는 법안과 예전에 이전한 공공기관까지 포함시키자며 발의된 법안은 아직도 국회에 계류중입니다 때문에 충청권 4개 시도가 우선 법 시행령만 고쳐도 지역인재 의무채용 광역화가 가능하도록하는 협약을 준비중입니다. 이은학/ 대전시 자치분권과장[인터뷰] 현재 4개 지자체가 합의에 거의 이르러서 조만간 좋은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가 시행령 개정보다 관련법의 개정 쪽에 무게를 두면서 해결이 늦어질 수도 있어 민관정의 긴밀한 협력이 요구됩니다. KBS뉴스 박장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