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인구 ‘자연 감소’…10년 뒤 전체인구 감소
입력 2019.03.29 (07:19)
수정 2019.04.02 (11: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인구 절벽이 먼 이야기일 줄 알았는데 성큼 다가왔습니다.
올해부터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되고 2098년엔 지금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들 전망입니다.
3년 전 발표 때보다 그 시점이 확 앞당겨졌습니다.
오수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부터 태어나는 아기가 사망하는 사람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이런 인구 자연감소가 2029년에 시작될 것이라는 3년 전의 전망보다 10년이나 빨라졌습니다.
합계출산율이 한 명도 되지 않는, 심각한 저출산 때문입니다.
5년마다 하던 인구 예측을 3년 만에 내놓은 이유입니다.
[김진/통계청 인구동향과장 : "가장 출생률이 비관적인, 낮다고 예측한 것보다 더 낮게 떨어지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 부분을 반영한 특별 추계를 올해 발표하게 됐습니다."]
전체 인구는 외국인이 들어오면서 당분간 유지되겠지만, 이마저도 10년 뒤엔 줄기 시작해 2067년에는 4천만 명 아래로 떨어집니다.
2098년엔 지금의 절반까지 감소합니다.
이미 줄기 시작한 생산연령인구 감소 속도는 더 빨라져 앞으로 10년간 한 해 평균 25만 명씩 줄어듭니다.
2065년이 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보다 더 적어집니다.
약 46%의 인구가 전체 인구를 부양하게 되는 겁니다.
그나마 합계출산율이 2040년 이후 다시 1.27명까지 높아진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 예측입니다.
[조영태/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 "2020년대 중반엔 다시 30만 명 대로, 35만 명까지도 태어나는 아이 숫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만 실제로 그렇게 될 가능성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 같습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정부는 다음 달까지 부처 합동으로 조직을 만들어 상반기안에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인구 절벽이 먼 이야기일 줄 알았는데 성큼 다가왔습니다.
올해부터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되고 2098년엔 지금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들 전망입니다.
3년 전 발표 때보다 그 시점이 확 앞당겨졌습니다.
오수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부터 태어나는 아기가 사망하는 사람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이런 인구 자연감소가 2029년에 시작될 것이라는 3년 전의 전망보다 10년이나 빨라졌습니다.
합계출산율이 한 명도 되지 않는, 심각한 저출산 때문입니다.
5년마다 하던 인구 예측을 3년 만에 내놓은 이유입니다.
[김진/통계청 인구동향과장 : "가장 출생률이 비관적인, 낮다고 예측한 것보다 더 낮게 떨어지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 부분을 반영한 특별 추계를 올해 발표하게 됐습니다."]
전체 인구는 외국인이 들어오면서 당분간 유지되겠지만, 이마저도 10년 뒤엔 줄기 시작해 2067년에는 4천만 명 아래로 떨어집니다.
2098년엔 지금의 절반까지 감소합니다.
이미 줄기 시작한 생산연령인구 감소 속도는 더 빨라져 앞으로 10년간 한 해 평균 25만 명씩 줄어듭니다.
2065년이 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보다 더 적어집니다.
약 46%의 인구가 전체 인구를 부양하게 되는 겁니다.
그나마 합계출산율이 2040년 이후 다시 1.27명까지 높아진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 예측입니다.
[조영태/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 "2020년대 중반엔 다시 30만 명 대로, 35만 명까지도 태어나는 아이 숫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만 실제로 그렇게 될 가능성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 같습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정부는 다음 달까지 부처 합동으로 조직을 만들어 상반기안에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올해부터 인구 ‘자연 감소’…10년 뒤 전체인구 감소
-
- 입력 2019-03-29 07:33:43
- 수정2019-04-02 11:04:14

[앵커]
인구 절벽이 먼 이야기일 줄 알았는데 성큼 다가왔습니다.
올해부터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되고 2098년엔 지금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들 전망입니다.
3년 전 발표 때보다 그 시점이 확 앞당겨졌습니다.
오수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부터 태어나는 아기가 사망하는 사람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이런 인구 자연감소가 2029년에 시작될 것이라는 3년 전의 전망보다 10년이나 빨라졌습니다.
합계출산율이 한 명도 되지 않는, 심각한 저출산 때문입니다.
5년마다 하던 인구 예측을 3년 만에 내놓은 이유입니다.
[김진/통계청 인구동향과장 : "가장 출생률이 비관적인, 낮다고 예측한 것보다 더 낮게 떨어지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 부분을 반영한 특별 추계를 올해 발표하게 됐습니다."]
전체 인구는 외국인이 들어오면서 당분간 유지되겠지만, 이마저도 10년 뒤엔 줄기 시작해 2067년에는 4천만 명 아래로 떨어집니다.
2098년엔 지금의 절반까지 감소합니다.
이미 줄기 시작한 생산연령인구 감소 속도는 더 빨라져 앞으로 10년간 한 해 평균 25만 명씩 줄어듭니다.
2065년이 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보다 더 적어집니다.
약 46%의 인구가 전체 인구를 부양하게 되는 겁니다.
그나마 합계출산율이 2040년 이후 다시 1.27명까지 높아진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 예측입니다.
[조영태/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 "2020년대 중반엔 다시 30만 명 대로, 35만 명까지도 태어나는 아이 숫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만 실제로 그렇게 될 가능성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 같습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정부는 다음 달까지 부처 합동으로 조직을 만들어 상반기안에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인구 절벽이 먼 이야기일 줄 알았는데 성큼 다가왔습니다.
올해부터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되고 2098년엔 지금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들 전망입니다.
3년 전 발표 때보다 그 시점이 확 앞당겨졌습니다.
오수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부터 태어나는 아기가 사망하는 사람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이런 인구 자연감소가 2029년에 시작될 것이라는 3년 전의 전망보다 10년이나 빨라졌습니다.
합계출산율이 한 명도 되지 않는, 심각한 저출산 때문입니다.
5년마다 하던 인구 예측을 3년 만에 내놓은 이유입니다.
[김진/통계청 인구동향과장 : "가장 출생률이 비관적인, 낮다고 예측한 것보다 더 낮게 떨어지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 부분을 반영한 특별 추계를 올해 발표하게 됐습니다."]
전체 인구는 외국인이 들어오면서 당분간 유지되겠지만, 이마저도 10년 뒤엔 줄기 시작해 2067년에는 4천만 명 아래로 떨어집니다.
2098년엔 지금의 절반까지 감소합니다.
이미 줄기 시작한 생산연령인구 감소 속도는 더 빨라져 앞으로 10년간 한 해 평균 25만 명씩 줄어듭니다.
2065년이 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보다 더 적어집니다.
약 46%의 인구가 전체 인구를 부양하게 되는 겁니다.
그나마 합계출산율이 2040년 이후 다시 1.27명까지 높아진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 예측입니다.
[조영태/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 "2020년대 중반엔 다시 30만 명 대로, 35만 명까지도 태어나는 아이 숫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만 실제로 그렇게 될 가능성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 같습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정부는 다음 달까지 부처 합동으로 조직을 만들어 상반기안에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
-
오수호 기자 oasis@kbs.co.kr
오수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