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계 항공편 일본·베트남·러시아 늘고 제주는 감소”
입력 2019.03.29 (11:13)
수정 2019.03.29 (11: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 하계시즌 국제선은 일본과 베트남, 러시아를 중심으로 늘어나지만 국내선은 제주노선 등이 감편돼 소폭 줄어듭니다.
중국 노선은 계속 회복세를 보여 사드 논란 이전인 2016년의 94% 이상 수준으로 올라섰습니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인가 신청한 2019년 하계(3월 31일∼10월 26일) 국제선과 국내선의 정기편 항공운항 일정표 내용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국제선은 94개 항공사가 총 385개 노선을 운영하고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운항횟수는 주 301회(6.3%) 늘어났습니다.
국가별로는 일본이 주 1,258회로 전체 운항횟수의 23.0%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은 중국이 1,240회(22.6%), 미국 508회(9.3%), 베트남 491회(9.0%) 등 순입니다.
지난해와 대비해 운항횟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국가는 주 98회가 증가한 일본이고, 다음이 베트남(82회), 러시아(36회) 등 순이었습니다.
지방 국제공항 운항횟수도 늘어났습니다. 대구공항은 주 77회, 무안공항은 50회, 김해공항은 43회 운항합니다.
국토부는 항공편을 이용하는 여행객과 화주들에게 31일부터 변경되는 하계 운항스케줄을 항공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미리 확인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중국 노선은 계속 회복세를 보여 사드 논란 이전인 2016년의 94% 이상 수준으로 올라섰습니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인가 신청한 2019년 하계(3월 31일∼10월 26일) 국제선과 국내선의 정기편 항공운항 일정표 내용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국제선은 94개 항공사가 총 385개 노선을 운영하고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운항횟수는 주 301회(6.3%) 늘어났습니다.
국가별로는 일본이 주 1,258회로 전체 운항횟수의 23.0%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은 중국이 1,240회(22.6%), 미국 508회(9.3%), 베트남 491회(9.0%) 등 순입니다.
지난해와 대비해 운항횟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국가는 주 98회가 증가한 일본이고, 다음이 베트남(82회), 러시아(36회) 등 순이었습니다.
지방 국제공항 운항횟수도 늘어났습니다. 대구공항은 주 77회, 무안공항은 50회, 김해공항은 43회 운항합니다.
국토부는 항공편을 이용하는 여행객과 화주들에게 31일부터 변경되는 하계 운항스케줄을 항공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미리 확인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하계 항공편 일본·베트남·러시아 늘고 제주는 감소”
-
- 입력 2019-03-29 11:13:13
- 수정2019-03-29 11:33:50

올 하계시즌 국제선은 일본과 베트남, 러시아를 중심으로 늘어나지만 국내선은 제주노선 등이 감편돼 소폭 줄어듭니다.
중국 노선은 계속 회복세를 보여 사드 논란 이전인 2016년의 94% 이상 수준으로 올라섰습니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인가 신청한 2019년 하계(3월 31일∼10월 26일) 국제선과 국내선의 정기편 항공운항 일정표 내용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국제선은 94개 항공사가 총 385개 노선을 운영하고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운항횟수는 주 301회(6.3%) 늘어났습니다.
국가별로는 일본이 주 1,258회로 전체 운항횟수의 23.0%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은 중국이 1,240회(22.6%), 미국 508회(9.3%), 베트남 491회(9.0%) 등 순입니다.
지난해와 대비해 운항횟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국가는 주 98회가 증가한 일본이고, 다음이 베트남(82회), 러시아(36회) 등 순이었습니다.
지방 국제공항 운항횟수도 늘어났습니다. 대구공항은 주 77회, 무안공항은 50회, 김해공항은 43회 운항합니다.
국토부는 항공편을 이용하는 여행객과 화주들에게 31일부터 변경되는 하계 운항스케줄을 항공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미리 확인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중국 노선은 계속 회복세를 보여 사드 논란 이전인 2016년의 94% 이상 수준으로 올라섰습니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인가 신청한 2019년 하계(3월 31일∼10월 26일) 국제선과 국내선의 정기편 항공운항 일정표 내용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국제선은 94개 항공사가 총 385개 노선을 운영하고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운항횟수는 주 301회(6.3%) 늘어났습니다.
국가별로는 일본이 주 1,258회로 전체 운항횟수의 23.0%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은 중국이 1,240회(22.6%), 미국 508회(9.3%), 베트남 491회(9.0%) 등 순입니다.
지난해와 대비해 운항횟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국가는 주 98회가 증가한 일본이고, 다음이 베트남(82회), 러시아(36회) 등 순이었습니다.
지방 국제공항 운항횟수도 늘어났습니다. 대구공항은 주 77회, 무안공항은 50회, 김해공항은 43회 운항합니다.
국토부는 항공편을 이용하는 여행객과 화주들에게 31일부터 변경되는 하계 운항스케줄을 항공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미리 확인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
-
서영민 기자 seo0177@gmail.com
서영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