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사업 "전남에서 미리 살아봐요"
입력 2019.03.29 (21:50)
수정 2019.03.29 (23: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멘트]
인구문제가
심각한 전라남도가
귀농, 귀촌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남에서 미리 살아보기' 사업을
추진해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도시민이
농어촌 마을에서 일정 기간
직접 생활할 수 있도록
주거 비용 등을 지원하겠다는
겁니다.
윤주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탁 트인 바다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전원주택입니다.
외지인을 찾아보기 힘든
시골 마을이지만 조만간
도시민들을 손님으로 맞게 됩니다.
부산에서 귀농한
집 주인은 시골에서 살아가려는
도시민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많습니다.
<신남희 고흥군 남양면 선정마을(2014년 귀농)>
저처럼 크게 지어서 휑하니 이렇게 한 가구 살기에는 힘들어요.
그래서 같이 오시면 도시처럼 살 수도 있을것 같고 그렇습니다.
귀농, 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이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새로운 생활의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돕자는 취지입니다.
아름다운 풍광만 보고
귀농, 귀촌을 결정하기 보다
주민들과 직접 어우러져
생활하게 하자는 겁니다.
<박영대 고흥군 남양면 선정마을 이장>
여기서 진짜 실질적으로 주민들하고 같이 밥도 먹고
생활도 같이 해보고 하는 일도 같이 해보며 적응해보는 거예요.
전남에서 먼저 살아보기
사업에 참여하는 마을은
고흥과 신안, 완도 등 17개 시군
30곳으로 5일에서 최대 60일까지
체류 비용이 지원됩니다.
<주경천 전라남도 귀농어귀촌지원팀장>
상반기 사업은 4월 15일 시작해서 7월 14일 끝나게 되고요
하반기는 8월 15일 시작해서 11월 15일에 끝나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지방소멸이라는 말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전남에서 먼저 살아보기 사업이
귀농,귀촌 활성화에 실질적 도움이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윤주성입니다.
인구문제가
심각한 전라남도가
귀농, 귀촌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남에서 미리 살아보기' 사업을
추진해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도시민이
농어촌 마을에서 일정 기간
직접 생활할 수 있도록
주거 비용 등을 지원하겠다는
겁니다.
윤주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탁 트인 바다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전원주택입니다.
외지인을 찾아보기 힘든
시골 마을이지만 조만간
도시민들을 손님으로 맞게 됩니다.
부산에서 귀농한
집 주인은 시골에서 살아가려는
도시민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많습니다.
<신남희 고흥군 남양면 선정마을(2014년 귀농)>
저처럼 크게 지어서 휑하니 이렇게 한 가구 살기에는 힘들어요.
그래서 같이 오시면 도시처럼 살 수도 있을것 같고 그렇습니다.
귀농, 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이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새로운 생활의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돕자는 취지입니다.
아름다운 풍광만 보고
귀농, 귀촌을 결정하기 보다
주민들과 직접 어우러져
생활하게 하자는 겁니다.
<박영대 고흥군 남양면 선정마을 이장>
여기서 진짜 실질적으로 주민들하고 같이 밥도 먹고
생활도 같이 해보고 하는 일도 같이 해보며 적응해보는 거예요.
전남에서 먼저 살아보기
사업에 참여하는 마을은
고흥과 신안, 완도 등 17개 시군
30곳으로 5일에서 최대 60일까지
체류 비용이 지원됩니다.
<주경천 전라남도 귀농어귀촌지원팀장>
상반기 사업은 4월 15일 시작해서 7월 14일 끝나게 되고요
하반기는 8월 15일 시작해서 11월 15일에 끝나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지방소멸이라는 말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전남에서 먼저 살아보기 사업이
귀농,귀촌 활성화에 실질적 도움이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윤주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귀농·귀촌 사업 "전남에서 미리 살아봐요"
-
- 입력 2019-03-29 21:50:12
- 수정2019-03-29 23:31:36

[앵커멘트]
인구문제가
심각한 전라남도가
귀농, 귀촌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남에서 미리 살아보기' 사업을
추진해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도시민이
농어촌 마을에서 일정 기간
직접 생활할 수 있도록
주거 비용 등을 지원하겠다는
겁니다.
윤주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탁 트인 바다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전원주택입니다.
외지인을 찾아보기 힘든
시골 마을이지만 조만간
도시민들을 손님으로 맞게 됩니다.
부산에서 귀농한
집 주인은 시골에서 살아가려는
도시민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많습니다.
<신남희 고흥군 남양면 선정마을(2014년 귀농)>
저처럼 크게 지어서 휑하니 이렇게 한 가구 살기에는 힘들어요.
그래서 같이 오시면 도시처럼 살 수도 있을것 같고 그렇습니다.
귀농, 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이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새로운 생활의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돕자는 취지입니다.
아름다운 풍광만 보고
귀농, 귀촌을 결정하기 보다
주민들과 직접 어우러져
생활하게 하자는 겁니다.
<박영대 고흥군 남양면 선정마을 이장>
여기서 진짜 실질적으로 주민들하고 같이 밥도 먹고
생활도 같이 해보고 하는 일도 같이 해보며 적응해보는 거예요.
전남에서 먼저 살아보기
사업에 참여하는 마을은
고흥과 신안, 완도 등 17개 시군
30곳으로 5일에서 최대 60일까지
체류 비용이 지원됩니다.
<주경천 전라남도 귀농어귀촌지원팀장>
상반기 사업은 4월 15일 시작해서 7월 14일 끝나게 되고요
하반기는 8월 15일 시작해서 11월 15일에 끝나는 것으로 돼 있습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지방소멸이라는 말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전남에서 먼저 살아보기 사업이
귀농,귀촌 활성화에 실질적 도움이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윤주성입니다.
-
-
윤주성 기자 yjs@kbs.co.kr
윤주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